미주중앙일보

광고닫기

전체

최신기사

[열린광장] 시험대 오른 ‘질서 있는 자유’

요즘 미국에 사는 것이 참으로 불편하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2기 출범 이후, 이미 깊었던 정치적 양극화는 더욱 심화하였고, 사회 전반에 당황함을 넘은 피로감이 번지고 있다. 이민자들의 삶은 점점 위축되고, 일상의 평온조차 위협받고 있다.     트럼프는 공약대로 자신의 정책을 거침없이 밀어붙이고 있으며, 필요하다면 사실을 왜곡해서라도 정당화한다. 그가 임명한 고위 공직자와 공화당 정치인들은 무조건 그의 뜻에 따르고 있다.   지난 6일, 이민세관단속국(ICE)은 남가주 일대의 일터 여러 곳을 기습해 수십 명의 불법 체류자를 체포했다. 대부분은 수년, 수십 년을 이 땅에서 살아온 이들이며, 별다른 범죄 기록도 없이 가족을 부양하며 지내던 사람들이었다. 법적 절차도 생략된 즉각적인 추방에 많은 이들은 분노했고, 그 분노는 곧 전국적인 시위로 번졌다.   하지만 일부 시위는 폭력과 약탈로 얼룩졌다. 이는 시위의 정당성을 흐리고, 정부 측에 빌미를 제공했다. 트럼프는 캘리포니아 주지사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주 방위군을 연방으로 편입시켜 파병했고, 급기야는 지원 방위군과 군병력까지 배치했다.   시위의 정점은 지난 14일이었다. 트럼프의 79세 생일이자 미 육군 창설 250주년을 맞아 워싱턴에서는 대규모 열병식이 열렸다. 동시에 전국 2100여 개 도시에서는 ‘노 킹스(NO KINGS)’라는 문구가 적힌 팻말을 든 수백만 명의 시민들이 시위에 나섰다. 같은 날, 같은 나라에서 마치 전혀 다른 두 현실이 공존하는 듯한 장면이었다.   캘리포니아는 무역과 이민자 노동력에 기반한 경제 구조를 가지고 있다. 농업, 요식업, 건설, 의료, 운송, 조경업 등 주요 산업은 이민자 없이는 제대로 운영되기 어렵다. 그러나 정부의 막무가내 단속으로 인해 많은 이민자들이 외출조차 꺼리게 되었고 일터는 인력난에 시달리고 있다.     문제는 강경한 이민정책 그 자체가 아니다. 많은 이들은 불법 체류자 단속의 필요성에 공감한다. 하지만 지금의 방식은 도를 넘고 있다. 트럼프의 통치는 점점 민주주의적 절차와 시민의 권리, 때론 법원의 판결도 무시하는 방향으로 기울고 있다.   시위대를 범죄자 취급하고, 무력으로 진압하며, 주정부 권한까지 침해하는 통치는 미국이 지켜온 ‘질서 있는 자유’의 전통을 위협하고 있다.   트럼프의 2기 임기는 아직 반년밖에 지나지 않았다. 그러나 남은 3년 반 후 미국은 지금보다 훨씬 더 낯선 모습이 되어 있을지도 모른다. 지난 250년간 미국은 수많은 혼란과 대립을 지나오면서도, 자유와 관용, 다양성이라는 가치를 지켜왔다. 그 유산이 지금 심각한 시험대 위에 올랐다.   나와 같은 이민자들은 그저 조용히 성실하게 이 땅에서 삶을 일구고 싶을 뿐이다. 그러나 지금의 미국은 그 소박한 바람마저 두려움으로 바꾸고 있다. 선조 이민자들의 눈물과 분노, 침묵과 고통이 헛되지 않기를 바란다. 그래도 나는 여전히 ‘인간미 있는 미국’을 기대하며 희망의 끈을 높고 싶지 않다. 레지나 정 / LA 독자열린광장 시험대 질서 이민자 노동력 도널드 트럼프 선조 이민자들

2025.06.29. 16:21

썸네일

이민자 50년 만에 감소 가능성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강력한 이민단속 여파로 최근 50년 만에 처음으로 미국 내 이민자 수가 줄어들 수 있다는 보고서가 나왔다. 비영리 씽크탱크 중 진보 성향의 브루킹스 연구소와 소수 성향의 미국기업연구소의 보고서에 의하면, 미국 내 이민자 숫자가 1970년대 이후 처음으로 순감소를 기록할 수 있다.     연방의회의 초당적 기관인 의회예산처(CBO) 자료에 의하면 트럼프 대통령 1기 행정부 당시 이민규제가 심했던 2019년에도 이민자 수는 41만5000명 증가했으나, 현재의 이민단속 강도는 과거와 판이하게 다르다. 미국은 또한  2008년 금융위기에서도 이민자가 계속 순증가했다.     하지만 연방노동부 자료를 보면 지난 3월 이후 이민 노동자 수가 100만명 이상 감소했다. 샌프란시스코 연방준비은행의 2023년 보고서에 의하면, 미국이 펜데믹 이후 가장 빠른 속도로 경제회복을 한 이유는, 2020년 이후에도 연간 100만명에서 330만명의 순이민 유입이 있었기 때문이다.     여론조사기관 퓨리서치센터에 따르면 2000년 이후 이민자가 차지하는 노동인구 비율은 2024년 19%로, 최근 50년래 최고치를 찍었다. 전문가들은 이민 순감소가 진행될 경우 극심한 노동력 부족 현상이 재현될 수도 있다고 우려했다. 특히 건설업, 농업 등은 이민자 노동력 의존 비율이 절반을 넘기 때문에 막대한 타격이 예상된다.     전문가들은 베이비부머 세대의 은퇴가 가속화되고 있는 가운데, 이민자 유입 동력을 상실할 경우 인플레이션이 심화되고 징세 수입 부족으로 인한 장기 불황 가능성이 있다고 우려했다. 트럼프 대통령도 노동력 부족 현상을 인정하고 “우리의 위대한 농부들과 관광업계 관계자들이 우리의 매우 공격적인 이민 정책이 매우 유능한 숙련 근로자의 이탈을 불러오고 있다고 우려한다”면서 “그들의 일자리는 대체가 거의 불가능하다”고 말했다. 연방이민세관단속국(ICE)도 농장과 식당의 단속금지 태도를 취하고 있다.     김옥채 기자 [email protected]이민자 가능성 이민자 노동력 이후 이민자 이민자 숫자

2025.06.16. 11:51

썸네일

뉴욕시 이민자 노동력 정체

해외에서 태어나 뉴욕시에 거주하는 이민자 노동인구 규모가 10년째 제자리걸음을 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22일 뉴욕주 감사원이 노동부 데이터를 토대로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2023년 기준 뉴욕시 이민자 노동인구 규모는 181만6400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2015년 당시 뉴욕시 이민자 노동인구 규모(182만6900명) 대비 0.6% 감소한 수준이다.     같은 기간 미국 내 이민자 노동인구 규모는 2629만7200명에서 3117만5200명으로 18.5% 늘어났지만, 뉴욕시의 해외 출생 이민노동인력은 오히려 감소한 셈이다.     아시아 국가 출신 이민 노동자는 뉴욕시에 56만3500명이 거주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는데, 2015년 대비 6.5% 늘어난 것으로 파악됐다. 다만 전국 아시안 노동력 증가율(22.0%)에는 크게 못 미치는 수준이다.     톰 디나폴리 주감사원장은 “뉴욕시 노동시장과 경제는 이민 노동력 의존도가 높고, 많은 산업들이 사업을 지속하려면 이민자들을 고용해야 하지만 관련 인력 풀은 오히려 줄어들었다”고 전했다.     뉴욕시 대부분의 산업이 이민 노동력에 의존하고 있는 가운데, 특히 건설 분야에서는 해외에서 태어난 근로자가 전체 근로자의 69.5%를 차지하고 있다.     운송 및 유틸리티 분야에서는 이민 노동력 비중이 65.3%, 서비스 산업에서는 59.9%를 차지한다.   디나폴리 주감사원장은 해외에서 태어나 미국에서 일자리를 찾는 개인들이 여전히 높은 장벽을 경험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해외 출생 근로자들이 뉴욕시 경제 번영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연방 이민정책을 개혁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민자 노동력이 감소한 데에는 코로나19 팬데믹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2020년 기준 취업비자를 발급받은 이들의 규모는 팬데믹 전이었던 2019년 대비 33.6% 감소한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한편 이민자들은 자영업에 도전하는 경우가 점점 많아지는 것으로 파악됐다. 뉴욕시 이민 노동인구 중 10.2%가 자영업에 종사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또한 뉴욕시 전체 자영업자 중 49%는 이민자로, 전국 자영업자 중 이민자 비율(23%)보다 훨씬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자영업에 도전한 이민자들은 대부분 리테일이나 e-커머스 산업에 도전한 경우가 많았다. 김은별 기자 [email protected]노동력 이민자 이민자 노동력 이민자 노동인구 이민자 비율

2024.03.22. 22:23

늘어나는 이민자, 노동력 부족 해소하나

미국으로 유입되는 이민자 수가 빠르게 회복되면서 노동력 부족은 물론, 고물가 문제까지 해결할 수 있을 것이란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29일 투자은행(IB) 골드만삭스는 노동 관련 보고서에서 “이민자가 늘면서 향후 3분기동안 약 50만명의 노동인력이 추가될 수 있다”고 추산했다. 지난 6월 현재 실업자 수(600만명)에 비해 일자리(960만개)가 더 많은 상황인데, 이민자가 꾸준히 유입되면 약 360만개 수준의 갭을 채울 수 있을 것으로 골드만삭스는 예상했다.     노동인력 중 이민자들이 차지하는 비율도 높아지고 있다. 지난 5월 기준 해외출생 근로자 비율은 18.7%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2010년 이후 꾸준히 오른 이 수치는 2019년 말 17%대를 기록했지만, 팬데믹 타격이 컸던 2020년 9월 16.7%까지 떨어졌다. 그러나 지난해에 이민자가 집중적으로 유입되면서 해외출생 근로자 비율이 19%에 육박하게 됐다.   골드만삭스는 “적체됐던 비자가 대량 승인되고, 연방정부가 인도주의적 난민을 월 3만명씩 받아주면서 외국인 노동력 비율이 높아졌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지난 12개월간 취업비자와 영주권 승인으로 인한 노동자 수는 33만5000명 가량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2021~2022회계연도(2021년 10월~2022년 9월)에 영주권을 취득한 한인도 전년대비 31% 늘어난 1만6172명으로, 이 중 64%는 취업이민을 통해 영주권을 받았다.     경제 전문가들은 이민자 유입이 물가상승률을 낮추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그간 일할 사람을 구하기 어려운 고용주가 임금을 올리고, 인건비와 함께 물가도 덩달아 오르는 상황이었기 때문이다.   이런 가운데 JP모건·화이자·블랙록 등 뉴욕 기반 120개 기업 최고경영자(CEO)들은 조 바이든 대통령과 연방의회에 공동 서한을 보내 “최근 남부 국경을 넘어 유입된 망명신청자들에게도 신속한 취업허가를 내줘 노동력 부족을 해결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아울러 이들은 “이민 정책과 국경 통제는 연방정부 책임”이라며 최근 세수 부담이 극심한 뉴욕시에 연방정부가 구호지원을 해 줘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은별 기자 [email protected]노동력 이민자 이민자 노동력 이민자 유입 외국인 노동력

2023.08.29. 19:54

[커뮤니티 광장] 필수업종 종사 이민자 위한 법안 필요하다

최근 방문한 애틀랜타 한인 식당에 다음과 같은 안내문이 붙어있는 것을 보았다. “인력이 부족하다구요? 일할 사람이 없어요. 가족들이 몽땅 나와서 일하고 있어요. 그러니까 주문이 늦더라도 조금만 참아주세요.”(What low staffs?! There are no staffs! It’s only the hardworking Family. Please be nice.)   연말연시부터 애틀랜타 한인비즈니스에서 “일할 사람이 없다”고 아우성이다. 한인들이 종사하는 업종 상당수가 식당, 세탁소, 도매업, 뷰티 등 현장 필수업종(front line worker, essential business)인데, 원격근무는 불가능하고 항상 현장에서 많은 사람들과 접촉하다보니 코로나19 감염 확률이 높다. 코로나19 위험이 높다보니 사람이 잘 일하려 하지 않고, 감염되면 가게 문을 닫거나 종업원을 자가격리 해야하니 업소 운영이 힘들수 밖에 없다.   한인을 비롯한 이민자들이 힘들고 어려운 현장 필수업종에 일하는데, 이들에 대한 지원은 아직도 부족하다. 비영리단체 조지아 예산정책연구소가 최근 발표한 보고서 ‘이민자들은 더 나은 대우를 받아야 한다: 숫자는 많지만 팬데믹에 취약한 이민자들'이라는 보고서를 발표했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이민자들은 미국내 인구 13.7%를 차지하지만, 필수업종 종사자는 18%, 의료보건 업종에는 16%를 차지하고 있다. 노동 가능한 이민자 인구의 69%는 의료, 인프라, 제조업, 서비스, 요식업, 경비업 등 필수적이고 중대한 업종(essential critical infrastructure)에 종사하고 있다.     조지아주의 사정도 마찬가지다. 조지아주 노동 가능 인구 가운데 14%가 외국 출생자이다. 이민자는 서비스업 종사자의 16.1%, 건설업계의 23.1%, 제조, 물류업의 16.6%를 차지하고 있다.     그러나 트럼프 행정부는 비자 및 영주권 취득 조건을 강화하여 이민자 노동력의 미국 입국을 어렵게 만들었다. 이민자들이 미국인의 일자리를 뺏는다는 주장 때문이다. 그 결과 2019-2020년 사이 외국 출생 노동 가능 인구는 38.4%가 감소했다. 그동안 힘들고 굳은 일을 자처해온 이민자들이 줄어드니 미국 요식업, 운송업, 의료보건업에 사람이 줄어들고 상황이 어려워지는 것이다.   한인을 비롯한 이민자들은 팬데믹 셧다운 기간 중에도 힘겹게 세탁소 식당 문을 열었지만 이들에 대한 지원은 미흡하다. 라티노 커뮤니티 펀드와 뉴 아메리칸 이코노미의 조사에 따르면, 조지아주 이민자들은 미국 현지 출생자에 비해 팬데믹으로 인한 수입감소, 실직 가능성이 높으며, 재택근무나 병가 기회도 적었다. 또한 서비스나 건축 등 팬데믹으로 영향받는 직종에 근무하는 확률이 높았다. 또한 한인을 비롯한 조지아주의 17만명의 서류미비 필수노동자들은 실직 위험은 높은 반면 실업수당은 받을 수 없고, 코로나에 감염되면 입원확률이 80%나 높다. 게다가 이민자들의 21.4%는 무보험 상태여서 일하다 코로나에 걸리면 병원비 지출 부담을 지게 됐다.   GPBI는 최근 개원한 연방의회 및 조지아 주의회에 (1) 서류미비 아동에 세제혜택을 제공하는 빌드 백 베터 법 통과(Build Back Better bill), (2) 이민자들의 영주권자 취득 후 메디케이드 5년 대기 기간 삭제 (3) 조지아 공공의료 투자 등을 권했다.   조지아 한인들과 이민자들은 미국인들의 일자리를 뺏는 것이 아니라, 미국인 일상에 필수적인 음식과 서비스, 물류를 제공한다. 조지아 주의회가 이번 회기에서 팬데믹으로 고통받는 이민자들을 위해 어떤 법안을 제시하는지 지켜봐야 할 것이다.     커뮤니티 광장 필수업종 이민자 이민자 노동력 이민자 인구 애틀랜타 한인비즈니스

2022.01.13. 16:38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