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주중앙일보

광고닫기

전체

최신기사

[기고] 이준석 대표의 ‘나쁜 정치인’ 모습

윤석열 대통령이 취임 100일도 되기 전에 국정 운영 지지율 28%로 위기를 맞았다. 지지하는 국민의 마음은 편치 않은 것이 사실이다.     과연 이러한 지지율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생각하지 않을 수 없다. 윤 대통령에 대한 기대가 컸기에 더욱 그렇다. 문재인 정권의 적패청산을 당시 검찰총장이었던 윤 대통령이 잘 알고 있기에 기대를 가졌던 것이 사실이다. 윤 대통령을 뽑은 이유로 ‘정권교체’(39%)가 가장 많았다. 다음이 ‘상대 후보가 싫어서 또는 그보다 나아서’(17%)였고, 신뢰감(15%)과 공정·정의(13%) 순이었다. 정권심판 여론은 대선 기간 내내 50%를 웃돌았다. 대선 승리 후 이런 기대감이 사라졌으니 지지율이 떨어지지 않을 수 있겠는가. 문재인 정권에 맞선 강단 있는 ‘검찰총장 윤석열’은 어디로 갖는가. 심증은 있는데 물증이 없어서인지 아니면 여론이 무서워서 인지, 취임 100일 되어 가는데도 묵묵부답이니 기대를 걸었던 많은 보수층에 좌절을 가져다 준 것이 아닌지 안타깝다.     거기에 소위 여당 대표인 이준석의 안하무인격 막말이 윤 대통령의 국정운영에 걸림돌로 작용했다. 국정운영에 힘을 보태야 할 여당 대표가 허구한 날 자기정치에 몰입하니 어느 누가 긍정적인 평가를 하겠는가. 사실 윤 대통령이 후보로 부상될 때부터 비단주머니 운운하며 자신이 상왕이나 된 것처럼 설쳐대는 모습이란 가관이었다. 대선기간 당 대표의 가장 큰 책임이 대선후보 경선을 공정하고 객관적으로 관리하는 일인데, 윤석열 대선후보 측과 대놓고 각을 세우는 상황은 납득하기 어려웠다. 걸핏하면 SNS에 윤 후보를 조롱하는 듯한 언사를 쏟아냈다. 그래도 윤 후보는 대통령에 당선됐다.      지난 달 8일 국민의힘 윤리위(중앙윤리위원회)는 이 대표의 성상납 관련 증거인멸교사 의혹에 대해 당원권 정지 6개월의 중징계를 내렸다. 이 전 대표는 징계 결정을 윤 대통령과 윤핵관(윤 대통령 핵심 관계자)과 연계하는 발언을 했다. 또한 윤리위와 관련해서 ‘조폭과 같다’ ‘당권 쿠데타 세력’ 등의 표현을 거침없이 쏟아냈다. 이러한 언사는 당 대표의 태도가 아니다.  당 윤리위의 독립성과 공정성 훼손을 넘어 존재 자체를 부정하는 것이다. 이에 대해 윤리위는 입장문을 통해 “윤리위 징계 결정을 개인의 정치적 단상과 편견에 따라 정치적으로 왜곡과 폄하한 것도 모자라 소문과 억측으로 윤석열 대통령을 비롯해 소위 윤핵관과 연계시키는 악의적 정치적 프레임 씌우기는 보장받아야 할 표현의 자유가 아닌 반드시 청산돼야 할 구태정치 행위”라고 했다.   지난 9일 국민의힘이 의원총회와 전국위(전국위원회)를 잇따라 열어 주호영 의원을 위원장으로 하는 비대위(비상대책위원회) 체제로 전환했다. 주 위원장은 “비대위의 첫째 임무는 당의 갈등과 분열을 조속히 수습해 하나 되는 당을 만드는 것”이라고 밝혔다.     우려했던 대로 이 대표는 페이스북에 “가처분 신청 전자로 접수했다”고 밝혔다. ‘자동 해임’을 저지하기 위한 법적 대응에 나선 것이다. 한심한 작태가 아닐 수 없다. 설령 자신에 대한 성접대 의혹이 사실 아닌 모함이라고 할지라도 사건의 당사자로 뒤로 물러서 자중하는 것이 여당의 대표로 지녀야 할 덕목이 아니겠는가. 결국 자기정치의 과욕으로 내부분열을 조장하고, 국정안정에 해를 끼친 나쁜 정치인 모습을 보여줬다.     이제라도 늦지 않았다. 모든 것이 자신의 부덕의 소치로 여기고, 소취하와 더불어 잠시 일선에서 물러나는 것이 최선의 방법임을 알아야 할 것이다. 박철웅 / 일사회 회장기고 이준석 정치인 윤석열 대선후보 윤석열 대통령 여당 대표

2022.08.12. 20:12

[시카고 사람들] 이준석 IL 한인 회계사협회장

“신속한 회계 서비스를 통해 한인 고객들에게 편리함을 느끼게 해드리고 싶습니다.” 일리노이 한인 회계사협회 회장을 맡고 있는 이준석(53) 공인회계사.   서울에서 성장한 그는 중앙고를 나와 연세대 학부(88학번)와 대학원을 졸업했다. 전공은 행정학. 일리노이 주 샴페인에서 Post-Doc 과정을 하던 형이 있어 지난 2002년 시카고로 왔다. 어카운팅을 공부하고 CPA 자격증을 취득, 샴버그에 첫 CPA 사무실을 오픈한 게 2010년이다. 이후 알링턴하이츠 사무실을 거쳐 작년 10월 이전한 글렌뷰에서 회계사 사무실을 운영하고 있다.   그의 회계 비즈니스 모토는 ‘신속한 서비스’다. 테크놀로지의 급속한 변화만큼 회계 비즈니스 업무도 시대 변천에 빨리 적응해 나가야 한다고 강조한다.     지난 2010년 10월 북미주기독실업인협회가 시카고에서 주최한 ‘성경적으로 기업을 운영하는 CEO School 세미나’에 참가했던 그는 크리스천 공인회계사로서 어떻게 하면 비즈니스를 올바르게 해 나갈 수 있는지 목표와 방향을 배우는 소중한 시간을 갖게 됐다고 말한다. 이후 그는 이 단체에 참여해 활동하며 현재 북미주기독실업인협회 Y총연합회 회장을 맡아 봉사하고 있다.   미 중서부 한인 JC청년회의소, 시카고 한인회 임원으로도 활동한 그는 시카고 한인사회에 대해 LA, 뉴욕과 달리, 확실히 한국인 특유의 정이 넘치는 동포사회라고 평가한다.   그는 “이민자 감소로 유입 인구가 줄어 한인사회가 고령화 되어 가지만 반면에 한인 1.5세, 2세들의 경제활동이 점차 늘어나면서 동포사회가 재도약하는, 활기찬 분위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코로나로 쉬고 있지만 건강 운동으로 잔디밭을 걸으며 스트레스도 풀고 야외에서 즐기는 골프를 좋아한다는 그는 선교기관에서 일하던 민형은씨를 만나 지난 2009년 시카고에서 결혼, 슬하에 아들 성민(11세)군을 두고 있다. 북서 서버브 버팔로그로브에 거주하면서 샴버그휄로쉽교회에 출석 하고 있다.     박우성 위원시카고 사람들 회계사협회장 이준석 한인 회계사협회장 시카고 한인사회 시카고 한인회

2022.02.18. 13:42

썸네일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