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주중앙일보

광고닫기

전체

최신기사

이튼 산불 진화 후 첫 부지 매매

최근 LA지역서 발생한 대형 산불 중 하나인 이튼 화재로 인해 초토화된 알타데나 지역에서 피해를 본 주택 부지의 첫 매매(에스크로 중)가 성사됐다.     LA이스트는 알타데나 지역 95 웨스트칼라버라스 스트리트의 부지가 44만 9000달러에 매물로 나와 수십 건의 문의 끝에 55만 달러의 현금 거래로 판매됐다고 지난 9일 보도했다.   매물은 9109스퀘어피트 규모 부지로 주택은 전소됐다.     진화 후 일주일 만에 이루어진 이번 부지 거래는 향후 재건축과 지역 주택 시장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지난 2023년 2개의 침실과 2개의 욕실을 갖춘 주택을 96만 달러에 매입 후 임대해오다 화재 피해를 본 이전 소유주는 재건축 감당이 어려워 부동산 회사를 통해 매각을 결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거래를 진행한 부동산 중개업자 브록해리스는 해리스는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지역 주민들이 다시 정착할 수 있도록 주택을 신속하게 재건축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누구도 불합리한 가격에 매각하도록 강요받아서는 안 되며, 패닉에 빠져 헐값에 팔아서는 안 된다”면서도 “도시가 회복되려면 주택이 필요하고, 이를 위해서는 부지 소유주, 개발업자, 지역사회가 협력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번 부지 매매 성사가 알타데나 지역의 재건과 주택 시장 회복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귀추가 주목된다. 박낙희 기자이튼 산불 이튼 산불 이튼 화재 매매 성사 LA산불 화재 주택 전소 피해 복구 #koreadailyus #California #Korean #한인 미주중앙일보 로스앤젤레스 가주 미국 OC LA

2025.02.10. 20:04

썸네일

이튼 산불에도 타지 않은 집 268만 달러에 매물로 나와

알타데나에서 발생한 ‘이튼 산불’로 6000여 채의 주택이 전소되거나 화재 피해를 입은 가운데, 불길을 피한 한 채가 매물로 나왔다.     지난 4일 부동산 전문 매체 더리얼딜에 따르면, 지난 1963년 지어진 단독주택 한 채가 268만 달러에 매물로 등록됐다. 이튼 산불이 발생한 이튼 캐년에서 차로 8분 거리에 위치한 집(2966 제인 그레이 테라스)이다. 주택은 3베드룸, 3배스룸 구조로, 실내 면적 2303스퀘어피트, 부지 면적 1.37에이커 규모다. 중앙 냉난방 시스템이 설치돼 있다.   이 주택은 지난 2022년 7월 249만5000달러에 거래됐다. 지난 2023년 6월 288만 달러에 다시 시장에 나왔지만, 매매가 성사되지 않았으며, 이후 두 차례 가격이 조정돼 현재 268만 달러로 재등록됐다.     이곳은 산불 피해 지역 한가운데 온전한 상태로 남아 있어서 주목받고 있다. 오렌지색 스페인식 기와지붕과 울창한 녹지가 조화를 이루고 있으며 대형 창문과 높은 천장을 통해 LA 도심과 산의 풍광도 조망할 수 있다. 거실에는 벽난로가 설치됐으며, 주방은 고급 가전과 넓은 조리 공간을 갖췄다고 한다.       현재 리스팅은 소캘 프리미어 프로퍼티스(SoCal Premier Properties)의 스테이시 리와 샤오 캐시 리가 담당하고 있다. 정윤재 기자파이어 이튼 이튼 파이어 premier properties 오렌지색 스페인식

2025.02.05. 20:31

썸네일

이튼 산불 지역 공기서 유독성 물질

  이튼 산불이 발생한 알타테나 지역 공기에서 납·석면 등 유독성 물질이 검출돼 주의가 요구된다. 산불 피해자 지원에 나선 간호사들이 알타테나 인근의 임시 셸터로 향하고 있다.   김상진 기자유독성 이튼 유독성 물질 이튼 산불 지역 공기

2025.01.19. 20:51

썸네일

이튼 산불 피해자 SCE<남가주에디슨> 제소 잇따라

이튼 산불 피해자들이 전기 공급업체인 남가주에디슨(이하 SCE)사를 상대로 잇따라 소송을 제기하고 있다.   피해 주민들은 SCE가 위험 경보에도 전기 장비의 전원을 차단하지 않은 것과 송전 설비 등에서 발생한 불꽃이 산불의 원인이라고 주장했다.   KTLA, 뉴욕타임스, ABC7 등에 따르면 이튼 산불 피해 지역인 알타데나 주민들은 지난 13일 LA카운티 수피리어법원에 소장을 접수했다. ABC7은 “SCE를 상대로 최소 5건의 소송이 제기된 상태”라고 전했다.   주택 소유주, 임차인 등 피해 주민들은 소장에서 SCE 소유 전선 등 송전 설비에서 불꽃이 튀는 것을 봤다고 주장했다. 소송을 제기한 한 주민은 SCE가 송전 설비 관리 부실, 소유 장비 및 시설 검사 미비, 강풍 대비 미흡 등에 책임을 져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번 산불로 주택을 잃은 한 주민의 변호인은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로펌 자체 조사 결과 SCE가 강풍 경보에도 이튼 캐년을 가로지르는 전선의 전원을 차단하지 않아 불이 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다른 피해자들의 변호인인 패트릭 맥니콜라스는 “책임 관리 실패를 넘어 기상 경보와 강풍 위험이 잘 문서화된 지역에서 중대한 과실을 범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와 관련해 이튼 산불 당시 이튼 캐년의 한 송전탑에서 거대한 불꽃이 튀는 사진이 공개됐다. LA타임스는 가주 소방국이 해당 송전탑에서 산불이 처음 발화했는지 여부를 조사 중이라고 전했다.   하지만 SCE 측은 송전 설비에서 불꽃이 튄 뒤 산불이 발화했다는 원고 측 주장을 부인했다. SCE 측은 지난주 사고 보고서에서 산불이 발생한 지 한 시간이 지나도록 현장 설비에서 ‘전기 또는 작동 이상’은 보고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한편, 14일 LA한인타운에서는 이튼 산불 피해 소송과 관련한 기자 회견도 열렸다. 헨리 박 변호사, 존 피스케 변호사, 에드 디아브 변호사는 SCE의 전기 인프라 관리 소홀이 이튼 산불의 원인이라고 주장하며 향후 소송 계획을 발표했다. 변호사들은 이튼 산불 피해자 중 소송에 동참을 원하면 전화(310-770-7560)로 연락해달라고 당부했다. 김형재 기자남가주에디슨 이튼 이튼 산불 이번 산불 송전 설비

2025.01.14. 20:33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