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최신기사

[K컬처에 빠지다] 더이상 익명이 아닌 여성들

세계에서 가장 감동적인 예술 작품들 중 일부는, 무명의 재능 있는 예술가들에 의해 탄생했다. 종교적 황홀경 속에서 그려진 신앙 예술, 가정의 안녕과 보호를 기원하며 정성껏 만든 민속 예술, 그리고 실용적인 물건이면서도 창의적인 공예품들이 그렇다.   불행하게도, 오랫동안 일부 사람들은 공예를 ‘예술’로 인정하지 않았다. 입거나, 마시거나, 혹은 어떤 방식으로든 사용되는 물건이라면 ‘진정한 예술’이 될 수 없다고 믿은 것이다. 다행히 이제 그런 편견은 점차 사라지고 있다. 그러나 오늘날 공예의 예술성을 새롭게 인식하는 이 변화는, 자신들의 이름을 작품에 남길 수 없었던 과거의 창작자들에게는 너무 늦었다. 그들 중 다수는 문자 그대로 ‘노예처럼’ 일했다. 실제로 많은 이들이 진짜 노예였기 때문이다. 그리고 그들과 마찬가지로, 수세기 동안 ‘노예 바로 위의 존재’로 취급받았던 또 다른 예술가들이 있었으니, 바로 여성들이었다.   여성들은 붓과 캔버스를 사용할 수 없었고, 청동으로 조각할 수도 없었다. 예술적 감수성을 지닌 여성이 창의력을 펼치려면, 자신에게 허락된 재료로 작업해야 했다. 그것이 흙일 수도 있었지만, 대개는 직물이었다. 그러나 역사가 증명하듯, 예술가가 억압받을수록 그들의 창조적 에너지는 자신에게 주어진 좁은 통로를 통해 폭발적으로 표출된다. 예를 들어, 오직 턴테이블과 마이크로만 음악적 아이디어를 표현할 수 있었던 이들이 만들어낸 것이 바로 ‘힙합’이다. 오늘날 대중문화의 가장 혁신적인 예술 중 하나로 평가받는 장르다.   이와 같은 창조적 폭발은 한국의 섬유 예술에서도 발견된다. 색채와 창의성, 예술적 감각, 그리고 생명력으로 터져 나오는 한국의 직물 예술은 경이롭다. 몬드리안보다 훨씬 이전에 등장한 듯한 기하학적 구성의 보자기 패치워크, 바늘로 그린 회화 같은 자수, 잃어버릴 뻔한 상징의 의미를 매듭으로 보존한 노리개, 대나무와 종이까지 확장된 직조 예술에 이르기까지…. 이름 없는 여성 예술가들이 창조한 아름다운 한국 예술의 세계는 끝이 없다.   다행히 오늘날 섬유를 예술적 표현의 매체로 선택한 여성 예술가들은 더 이상 익명이 아니다. 이는 수십 년간 역사적 소외를 바로잡기 위해 헌신해온 여러 단체들의 노력 덕분이다. 그중에서도 특히 주목할 만한 단체가 풀브라이트 장학생 출신 이정희 교수가 설립한 ‘코리아 보자기 포럼(Korea Bojagi Forum)’이다.   이정희 교수는 수년간 국제 심포지엄과 전시, 행사를 꾸준히 주최하며 보자기와 한국 섬유 예술을 통해 한국 문화를 알리는 데 힘써왔다. 그녀는 미국, 한국, 핀란드 등지에서 교편을 잡으며 국제적 교육자로서 폭넓은 경험을 쌓았다. 그녀의 작품이 소장된 주요 미술관 목록은 세계 유수의 예술 기관 목록과 다름없다.   만약 11월에 보스턴 지역을 방문할 계획이 있다면, 11월 8일부터 23일까지 렉싱턴 예술공예협회(Lexington Arts and Craft Society)에서 열리는 그녀의 개인전을 놓치지 말기를 바란다. 그녀의 놀라운 작품 세계를 감상하며, 동시에 그녀가 예리하게 다루는 여성의 권리 문제를 함께 성찰해볼 수 있을 것이다.   최근 일본은 사상 처음으로 여성 총리를 임명했다. 한국 역시 몇 주 전 최초의 미국 주재 여성 대사로 강경화씨를 임명했다. 물론 여성의 완전한 대표성에 이르기까지 아직 갈 길은 멀다. 그러나 이러한 변화는 분명 진보의 신호다. 우리는 이 방향으로 계속 나아가야 한다. 정부와 기업뿐 아니라 예술의 세계에서도 더 많은 여성이 힘을 갖게 될수록, 결국 그 혜택은 우리 모두에게 돌아오기 때문이다.   (이 글의 일부는 곧 출간될 로버트 털리의 회고록 『잉크타운(Inktown)』에서 발췌했습니다.)   ▶코리안아트소사이어티: 이메일([email protected])/페이스북(Facebook.com/RobertWTurley) 로버트 털리 / 코리안아트소사이어티 회장K컬처에 빠지다 익명 여성 여성 예술가들 한국 예술 예술 작품들

2025.11.06. 20:16

썸네일

21희망재단에 줄잇는 익명 기부

 희망재단 익명 익명 기부

2025.01.02. 18:01

썸네일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