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전체

최신기사

인구대비 도난차량 콜로라도가 최고

 콜로라도의 인구 대비 도난차량수가 전국에서 가장 많으며 도난차량이 많은 톱 10 도시(메트로폴리탄) 순위에서도 무려 3곳이 콜로라도 주내 도시로 드러나 경종을 울리고 있다. 국립 보험 범죄국(National Insurance Crime Bureau/NICB)이 연방수사국(FBI) 산하 국립 범죄 정보 센터(National Crime Information Center/NCIC)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발표한 2022년 각 주별 인구 10만명당 도난 차량수 조사에서 콜로라도는 인구 10만명당 731.28대의 차량이 도난당해 2년 연속 전국 1위라는 불명예를 안았다. 콜로라도는 2021년에도 인구 10만명당 661.21대를 기록해 전국 1위를 기록했으며 2021~2022년 1년 사이에 10% 이상 증가했다. 2위는 워싱턴 DC(인구 10만명당 700.06대)였으며 이어 워싱턴주(603.54대), 오레곤주(540.88대), 뉴멕시코주(540.57대), 캘리포니아주(520.17대), 미조리주(482.60대), 네바다주(480.81대), 텍시스주(350.10대), 테네시주(337.95대)가 3~10위를 차지했다.       메트로폴리탄 도시별 순위에서도 콜로라도의 푸에블로가 인구 10만명당 1,086.44대의 차량이 도난당해 전국 1위의 오명을 얻었다. 2위는 캘리포니아주의 베이커스필드(1,072.36대)였고 3위는 덴버-오로라-레이크우드(1,062.67대), 4위는 멤피스(845.68대), 5위는 포틀랜드-밴쿠버- 힐스보로(796.94대)였다. 6~10위는 뉴멕시코주 앨버커키(795.18대), 시애틀-타코마-벨뷰(758.68대), 샌프란시스코-오클랜드-버클리(600.30대), 그릴리(589.42대), 캔자스시티(572.67대)의 순이었다.특히 도난차량 최다 도시 톱 10 가운데 푸에블로, 덴버, 그릴리 등 무려 3곳이 콜로라도 주내 도시들로 나타나 차량 절도의 심각성을 그대로 보여주었다.       한편 NICB의 분석 결과 전국에서 도난을 당한 차량 1위 셰비 픽업트럭인 것으로 나타났다. 포드 픽업트럭이 그 뒤를 따랐다. 셰비 픽업트럭과 포드 픽업트럭은 지난해 미국에서 가장 많이 판매된 차량이다. 이어 3위는 혼다 시빅, 4위는 혼다 어코드가 차지했다.한국차 중에서는 현대 소나타가 5위, 기아 옵티마는 6위로 집계됐다. 소나타와 옵티마의 경우 판매량을 고려한 도난 비율로 보면 사실상 가장 높은 수준이다. 현대와 기아차는 지난해 틱톡과 유튜브 등 소셜미디어를 통해 ‘차량 훔치기 챌린지’가 유행하면서 해당 모델이 집중 표적이 되기도 했다. 한편, FBI에 따르면 2019년 기준으로 미국에서는 32초마다 1대 꼴인 연간 100만대 이상의 차량이 도난당하고 있으며 이로 인한 피해액수는 64억 달러에 달하고 있다. 경찰 당국은 차량 도난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차량에 귀중품을 두지 말고 안전한 차고 혹은 최대한 밝은 곳에 차를 주차하며, 내릴 때는 창문을 완전히 올리고 차문이 잠겨졌는지를 반드시 확인하고 도난방지 장치를 설치하라고 조언했다.                이은혜 기자인구대비 도난차량 도난차량 최다 메트로폴리탄 도시별 차량수 조사

2023.11.27. 15:01

BC 인구대비 이민자 비율 전국 최고 수준

 이민자들이 주로 정착하는 온타리오주와 BC주의 전체 인구 중 이민자 수 비율이 가장 높은 편인데, 특히 BC주는 비영주거주자 비율이 전국에서 가장 높았다.   연방통계청이 2021년 인구센서스 분석 통계 자료로 21일 발표한 영주권자 관련 자료에서 BC주의 전체 인구 대비 이민자 비율은 29%를 보였다. 온타리오주의 30%에 이어 2번째로 높았다.     캐나다 전체로는 23%였는데, 전국 평균보다 높은 주는 온타리오주와 BC주 이외에23.2%의 알버타주 등 3개 중에 불과했다. 또 다른 이민자 주요 정착주인 퀘벡주는 14.6%였으며, 마니토바는 19.7%, 사스카추언주는 12.4%였다. 나머지 주는 10%에도 미치지 못했다.   각 주의 전체 이민자 중 2016년에서 2021년 사이의 최근에 온 이민자의 비율을 보면, 전국적으로 15.9%였다. BC주는 13.85%로 10개 주중에 가장 낮았다. 그 뒤로 온타리오주로 13.9%, 퀘벡주는 16.75% 알버타주가 19.89% 등이었다. 반면 나머지 주들은 모두 20%가 넘어 최근 이민자는 작은 주들에 정착하는 것으로 보였다.   반면에 각 주에서 2001년 이전에 온 이민자 비중은 온타리오주와 BC주가 52.8%와 52.2%로 가장 높았다.   학생비자나 노동허가서 등으로 체류하는 비영주거주자의 경우 2001년에 전국적으로 92만 4845명이었다. 이는 전체 인구 대비 2.55%였다. BC주는 3.48명으로 PEI가 3.61%에 이어 전국에서 가장 높았고, 그 뒤로 온타리오주가 2.76%, 그리고 마니토바가 2.62%였다.   전국적으로 이민자 수는 총 836만 1505명인데, 2001년 이전 397만 6410명이었고, 그 뒤로 인구센서스 조사주기인 5년 단위로 볼 때, 2001년~2005년이 91만 1240명, 2006년~2010년 101만 9285    2011년~2015년이 1126,330, 그리고 가장 최근인 2016년~2021년에 132만 8240로 가장 많았다.   BC주는 총 이민자 수가 142만 5715명인데, 2001년 이전 74만 3720이고, 그 뒤로 5년 간격으로 14만 7025명, 16만 9890명, 16만 7650명, 그리고 최근 19만 7420명으로 나타났다. 표영태 기자인구대비 이민자 인구대비 이민자 이민자 비중 최근 이민자

2023.06.22. 13:33

썸네일

인구대비 증오단체 최다…처벌 법규는 미비

“수십명이 떼로 몰렸고 쇼핑몰 하나가 불에 탔어요. 근데 출동한 경찰들이 다들 쳐다만 보고 있더라고요. 이런 적이 없었으니까 대응 매뉴얼이 없는 것 같았어요.”   지난 2020년 5월 30일. 미니애폴리스에서 발생한 조지 플로이드 사망 사건에 대한 분노가 남부를 휩쓸었을 때 플로리다 탬파도 예외는 아니었다. 탬파 지역 파울러 애비뉴 선상의 한 쇼핑몰은 약탈과 방화 피해를 당했다.     평화로웠던 도시에 이런 폭력적 시위는 경찰에게도 낯선 일인 듯했다. 당시 현장에 있었던 신광수 서부플로리다 한인회장은 “이곳에 살면서 이런 일은 거의 처음이었다”며 “(경찰도) 처음에 다들 숨어서 차 안에서 방송으로만 경고하다가 사태가 심각해지니까 추가 인력을 요청해 진압에 나섰다”고 말했다.   시큐리티 관련 기관 ‘세이프와이즈’가 연방수사국(FBI) 범죄데이터를 분석해 통계낸 결과에 따르면 2022년 기준 플로리다주의 강력범죄 피해자는 1000명당 3.8명으로, 전국 평균인 1000명당 4.0명보다 낮다. 캘리포니아주는 전국 평균을 넘은 4.4명이다.     이처럼 강력범죄 발생 빈도가 낮다 보니 그간 아시안 증오범죄에 대해서도 당연히 대응책이 없었다. 플로리다주는 애틀랜타 스파 총격 사건이 있었던 2021년에야 현행 법령을 다시 살펴보고 개정하는 노력을 진행 중이다.     플로리다주 소재 ‘펌프리 로펌’은 “현재 플로리다의 증오범죄법은 증오에 찬 생각이나 말로 누구도 처벌하지 않는다”고 전했다. 이어 “SNS와 인터넷 사용으로 혐오 발언이 점점 더 흔해지고 있는 상황에서 (플로리다주) 증오범죄법은 범죄 행위와 범죄에 목적을 둔 편향된 동기를 요구한다”며 “사람들은 정확히 어디에 선이 그어져 있는지 궁금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플로리다주의 경우 증오범죄와 관련해 잠재적인 가능성이 있는 곳이다. 인종 정의 그룹인 남부 빈곤법률센터(Southern Poverty Law Center) 2021년 보고서에 따르면 플로리다는 주내 68개의 증오단체(hate groups)를 보유, 전국에서 인구 대비 가장 많은 증오단체를 기록했다. 보고서는 증오단체 중 47개(69%)가 백인 우월주의와 연관이 있다고 밝혔다.   또 유대인 단체 ‘반명예훼손연맹(ADL)’이 지난해 9월 발표한 ‘선샤인 스테이트 내 증오(Hate in the Sunshine State)’ 보고서는 2020년과 2022년 사이 인종적 증오와 반유대주의와 관련된 플로리다의 극단주의 사건이 71% 증가했다고 밝혔다.     이런 사실은 최근 한인 등 유입 인구가 증가하고 있는 플로리다주에 대한 우려를 키우기에 충분하다.   지난해 인구조사국 발표에 따르면 플로리다는 2020년 7월~2021년 7월 21만1196명이 늘어나 인구 증가율이 텍사스(31만288명 증가) 다음으로 전국 2위를 기록했다.     특히 플로리다 한인 인구 약 5만 명 중 약 1만5000명(30%)이 거주하는 한인 최다 거주 도시 탬파는 전국적으로도 신규 거주민이 가장 많이 증가한 곳 중 하나로 꼽혔다.   린크드인(LinkedIn)에 따르면 2020년 4월부터 2021년 2월 사이 탬파시는 5.7%의 증가율을 기록해 주요 도시 중 6위를 기록했다.   거주민들은 실생활에서 인구 증가를 몸소 실감하고 있다고 전했다.     17년째 탬파에 거주 중이라는 이경림(57·자영업)씨는 “낭만의 도시는 옛말이다. 작년부터 아침 트래픽이 너무 심해져 직장 출퇴근 시간이 늘어났다”며 “출석하는 교회에도 최근 신규 등록 인원이 증가했다”고 말했다.     사우스플로리다대학교(USF) 사회복지학과 박난숙 교수는 “인종에 기반을 둔 증오범죄 중에 경제적이나 사회적 지위에 대해 특정 인종에 대한 열등감, 피해 의식으로 저질러지는 경우가 많다”며 “아무래도 다양한 인종적 문화적 배경을 가진 인구가 중점적으로 늘고 있는 대도시의 경우 범죄 가능성이 커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     장수아 기자증오단체 인구대비 플로리다주 소재 기준 플로리다주 신광수 서부플로리다

2023.01.12. 22:43

썸네일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