뱅가드(Vanguard) 금융회사가 올해 50주년을 기념한다. 미국에서 최초로 인덱스 펀드를 출시한 것을 기념하는 것이다. 그 배경에는 ‘자유롭게 움직이는 주식시장(Random Walk Down Wall Street)’이란 책이며 저자는 프린스턴 대학의 버튼 멕키엘 교수이다. 책의 요점은 “주식전문가가 주식을 선별하는 것이나 원숭이가 주식 선별하는 것이나 다를 바가 없다”는 문장으로 요약된다. 미래의 유망한 회사를 선택해서 투자한다는 것이 매우 어렵다는 뜻이다. 이 책은 150만 권 이상이 팔렸다. 뮤추얼 펀드 투자종목에는 크게 두 종류가 있다. 투자하는 방법에 따라서 ‘액티브 투자(Active Investment)’와 ‘패시브 투자(Passive Investment)’로 구분된다. 뮤추얼 펀드는 펀드 매니저가 주식을 선별하여 투자하므로 액티브 투자라고 말하며 펀드 매니저 없이 미리 선정된 회사에 투자하는 것을 패시브 투자라고 말한다. 일반 투자자는 물론 주식 전문가라는 사람도 미래에 유망한 기업을 선택할 수 없다는 개념에 인덱스 펀드를 처음 시작한 것이다. 투자자의 최대 관심사는 투자한 후 발생하는 수익률이다. 뮤추얼 펀드는 펀드 매니저가 투자자의 돈을 모아서 유망하다고 예상하는 회사 주식에 투자한다. 일반적으로 매니저 혼자 결정하는 것도 아니고 ‘투자 선별가(Stock Analyst)’의 의견을 종합하여 투자 결정한다. 이와 반면 인덱스 펀드는 회사 규모에 따라서 이미 선정되어 있기에 펀드 매니저가 필요하지 않다. 한 예로 S&P 500은 미국 500대 기업으로 구성되어 있다. 정보력도 좋고 투자 돈도 풍부한 뮤추얼 펀드가 기업을 잘 선정해서 투자하기에 수익률이 인덱스 펀드보다 분명 높을 것으로 생각한다. 그러나 사실은 전혀 다르다. 지난 10년 뮤추얼 펀드와 인덱스 펀드의 수익률을 비교해 보면 모든 뮤추얼 펀드 중에서 인덱스 펀드 수익률보다 높은 뮤추얼 펀드는 약 10%에 불과하다. 뮤추얼 펀드 대부분이 인덱스 펀드 수익률보다 떨어진다는 사실이다. 일반 투자자나 투자를 도와주는 재정설계사가 어떤 한 해에 수익률이 탑 25%(Top Quartile)에 속한 뮤추얼 펀드에 투자했다고 가정하자. 그러나 1년 후 같은 뮤추얼 펀드가 탑 25%에 속할 확률은 7.33% (S&P Dow Jones Indices)에 불과하다. 다시 설명하면 1년 전에 100개의 뮤추얼 펀드 중에서 수익률이 가장 높았던 펀드 25개 중에서 2년 후에도 같은 자리에 남아있을 뮤추얼 펀드는 단 1.4개라는 뜻이다. 좋은 기업을 선택해서 투자한다는 것이 누구에게나 어렵다는 뜻이다. 뮤추얼 펀드의 평균 비용은 0.9% 정도이지만 인덱스 펀드(Vanguard S&P 500 Index) 투자 비용은 0.03%이다. 1만 달러 투자에 비용은 단 3달러다. 우리가 미래의 수익률을 알 수는 없지만, 투자 비용을 절약하면 그만큼 수익으로 바로 이어진다. 투자로 이익이 발생하거나 손실이 나와도 투자 경비는 꾸준히 부과된다. 한 푼이라도 경비가 적으면 그만큼 나의 호주머니로 들어오는 것이다. 금융산업 투자에선 “싼 것이 비지떡”이라는 말이 성립하지 않는다. 오히려 투자 상품이 비싸면 제대로 된 상품이 아닐 확률이 높다. 제대로 된 상품이 아니라는 말은 수익률이 높지 않다는 뜻이다. 뮤추얼 펀드를 운용하는 매니저는 인덱스 펀드의 평균 수익률보다 높게 하기 위해서는 500대 기업에서 유망한 회사만 선정하여 투자해야 한다. 이 뜻은 투자한 회사 수가 500개보다는 적은 숫자가 될 것이다. 특정한 몇 개 회사에 투자하는 것은 투자 위험성이 그만큼 높아질 것이다. 월스트리트에서 지난 5월1일 ‘투자자들이 축하하는 날(A day for investors to celebrate, Spencer Jakab, WSJ)’이란 기사를 보도했다. 일반 투자자는 투자 경비, 수익률, 위험성, 등을 고려할 때 인덱스 펀드의 유리한 점을 언급한 것이다. 우리 한인 모두 제대로 하는 투자로 성공하는 노후대책이 되기를 기대해 본다. 이명덕 / 재정학 박사재정칼럼 인덱스 펀드 인덱스 펀드 뮤추얼 펀드 펀드 매니저
2025.06.12. 18:36
최근 국내 정권교체와 새로운 정책의 출범으로 인해 주식시장이 그 어느 때보다 불안정한 움직임을 보이고, 이러한 리스크로 인한 경기 침체의 우려 등으로 향후 시장경제의 불안감이 커지고 있는 상황입니다. 이러한 불확실성은 은퇴를 앞두었거나 은퇴 생활을 계획 중인 이들에게 큰 불안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특히 401(k)나 IRA와 같은 전통적인 은퇴연금 계좌는 대부분 주식시장에 직접 노출되어 있어, 시장 하락에 따른 자산 가치의 감소 위험이 항상 존재합니다. 노후를 위해 평생 모아온 자산이 시장 불황으로 노후를 바로 앞둔 시점에서 큰 손실을 본다면, 삶의 질은 물론 생계에도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이처럼 금융시장이 불안정한 상황에서 주목받고 있는 것이 바로 보험회사의 인덱스 어뉴이티(Indexed Annuity) 상품입니다. 인덱스 어뉴이티는 주식시장의 지수변화를 기반으로 수익이 결정되지만, 직접 주식에 투자하는 방식이 아닌 ‘간접 투자’ 방식을 채택하고 있어 시장 하락 시에도 원금 손실이 전혀 발생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자산관리 차원에서의 큰 장점이 있습니다. 즉, 주식시장이 상승할 경우에는 일정 수준의 수익을 얻고, 하락하더라도 투자 원금은 보호받을 수 있는 구조입니다. 또한 기본적으로 간접 투자방식을 사용하기 때문에 투자옵션에 따른 서비스 비용이나 그 외에 추가비용이 전혀 없습니다. 최근 출시되는 인덱스 어뉴이티 상품들은 과거 4~5년 전보다 훨씬 경쟁력 있는 수익 구조를 갖추고 있습니다. 일부 상품은 주식시장의 상승에 따라 최대 연 10%까지 이자 수익을 제공하며, 이 경우 최근 10년 평균 수익률이 7~8%에 달할 정도로 안정성과 수익성을 겸비하고 있습니다. 이는 일반적인 채권형 투자나 안정형 펀드보다도 높은 수준이며, 주식 시장의 위험을 완전히 피하면서도 준수한 수익을 원하는 투자자들과 노후생활을 위한 연금자산을 안전하게 관리하며 사용하시는데 매력적인 선택지로 작용합니다. 이 경우 원금은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매년 발생한 이자수익만 뽑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연금자산 상속을 원하시는 분들에게도 좋은 대안이 되기도 합니다. 게다가 인덱스 어뉴이티는 일정 기간 이후에는 평생 연금 형태로 수령할 수 있도록 설계할 수 있어, 노후 자산을 보다 체계적이고 안정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해줍니다. 특히 부부 공동 생존 연금 옵션을 제공해, 한 배우자가 사망하더라도 남은 배우자가 평생 연금을 받을 수 있는 구조도 갖추고 있습니다. 이는 가족 전체의 노후 재정 안정에도 큰 도움을 줍니다. 또한 물가상승에도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매년 주식시장의 상승 이자율만큼 연금금액 또한 증가하는 옵션은 점점 길어지는 노후생활을 준비하는 분들에게 매우 효과적인 방법을 제공해 드릴 수 있습니다. 물론 인덱스 어뉴이티는 일반 투자 상품과는 달리 일정 기간의 계약 유지 조건과 중도 해지 시 수수료 등의 제한 요소가 있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장기적인 노후 자산 관리의 관점에서 본다면, 안정적인 수익과 원금 보호, 그리고 연금 전환 기능이라는 강점을 충분히 고려할 필요가 있습니다. 시장이 불안정할수록 자산의 일부는 반드시 원금이 보장되는 안전한 투자처에 배분되어야 하며, 인덱스 어뉴이티는 그러한 니즈를 만족하게 할 수 있는 최적의 금융 상품으로 재조명되고 있습니다. 지금이야말로 단순히 수익률만을 좇기보다는, 노후생활의 안정성과 지속 가능한 소득을 보장할 수 있는 전략적인 자산 배분이 필요한 때입니다. 인덱스 어뉴이티는 그러한 전략의 중심에 설 수 있는 중요한 해법이 될 수 있습니다. ▶문의: (562)644-4560 라이언 우 / 블루앵커 재정보험은퇴 준비 연금 인덱스 간접 투자방식 대부분 주식시장 투자 원금
2025.04.13. 17:04
아이비리그에서 보는 아카데믹 인덱스란 무엇이며 어떻게 계산되는가? 아이비리그 및 다른 명문 대학에 입학하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요소들이 중요하지만, 그중에서도 아카데믹 인덱스(AI)는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아카데믹 인덱스가 무엇인지, 대학들이 이 지표를 어떻게 계산하며 왜 중요한지에 대해 살펴보자. ▶아카데믹 인덱스(AI)란 무엇인가 아카데믹 인덱스(AI)는 아이비리그 및 명문 대학들이 입학 사정 시 지원자들에게 부여하는 점수이다. 이 점수는 지원자의 고등학교 학업 순위(Class Rank), 학업 성적(GPA), 표준화 시험 점수(SAT/ACT/AP) 등을 조합하여 환산한다. 입학 사정관들이 지원서를 검토하기 전에 가장 먼저 AI 지표를 확인하고, 기준치에 맞는 지원서들만 검토하게 된다. 이런 AI 시스템은 처음에는 운동선수들의 영입을 위해 사용되었으나, 현재는 모든 명문 대학의 입학 심사 과정의 첫 단계로 사용되고 있다. 대학의 지원자 수가 계속 늘어나고 입학률이 낮아지는 상황에서, AI 지표는 많은 지원서를 선별하는 첫 단계로 시간을 절약할 수 있는 중요한 과정이다. 특히 아이비리그 대학에서는 AI 지표에 맞지 않는 지원서는 리뷰조차 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아카데믹 인덱스 계산 고등학교마다 GPA와 석차 등 학업 성적을 제공하는 방식이 다르기 때문에 모든 학교가 동일한 방식으로 AI를 산출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석차가 없는 학교의 경우 GPA에 더 가중치를 두거나 SAT, ACT, AP 등의 점수가 상대적으로 높다면 이를 반영할 수 있다. 다음은 대학에서 AI를 계산할 때 사용하는 가중치를 가상의 예로 들어본 사례다. · SAT/ACT 점수: 50% · GPA: 30% · 학업 석차: 20% 이런 가상의 % 가중치를 적용하여 다음과 같은 성적을 가진 학생의 AI 지수를 계산해 보자. · SAT 점수: 1500점 · GPA: 4.0 · 학업 석차: 상위 5위 (2.5%) 이 학생의 AI 지수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 AI= (1500/1600 SAT) x 50% + (4.0/4.0 GPA) x 30% + (100/2.5% Rank) x 20% · AI= 46.9% + 30% + 19.4 % = 96.4% 이 학생의 AI 지수는 96.4%로 환산되었고 그는 또 등급별로 나누어질 수 있다. ▶AI 지표의 중요성 하버드 대학의 2028년 졸업생 통계를 보면, 4명 중 3명의 학생이 GPA 4.0을 받았고, SAT 중간 점수는 1550점이었으며, 94%의 학생이 고등학교에서 상위 10%에 들었던 학생들이었다는 데이터가 나왔다. 이처럼 우수한 성적을 가진 학생들이 많기 때문에, AI 지수는 필수 조건일 뿐만 아니라, 다른 요소들 즉 특별활동, 추천서, 에세이 등의 중요성 또한 당연히 특별하게 잘 준비되어야 합격을 바라볼 수 있다. 이렇게 대학 입학의 기본은 내신 성적이니만큼 개학을 앞둔 학생들은 도전적인 클래스 선택을 미루었다면 수업을 변경할 수 있는 2주 Window Period를 활용하여 자신의 클래스를 변경할 수 있다. 여름방학 동안 수학을 선행 학습한 학생들은 수학 수업 난도를 높이기 위해 학교와 상의하여 수학 수업을 앞당기거나 더 높은 수학 클래스로 배정받을 수 있는지 확인해보는 것이 좋겠다. 또한, 학업 난이도와 클래스 선택을 신중히 고려하여 자신의 능력에 맞는 Honor 또는 AP 클래스를 선택하는 것도 성적을 향상하는 효과적인 방법이다. 이를 통해 학업의 깊이를 더하고, 보다 도전적인 학습 환경에서 자신을 성장시킬 수 있겠다. ▶문의:(323)933-0909 www.Thebostoneducation.com 수 변 원장 / 보스턴 에듀케이션에듀 포스팅 아카데믹 인덱스 명문 대학들 아카데믹 인덱스 아이비리그 대학
2024.08.04. 19:09
최근 수년간 주식시장의 호황을 발판으로 많은 개미 투자자들이 주식투자에 뛰어들었다. 물론 주식 호황이 계속되면 개미 투자자들도 짭짤한 투자이익을 거두기도 하지만 만일 시장이 하락세로 돌아서면 대규모 기간 투자자들에 비해 개미 투자자들의 손해가 막심해지는 것도 그동안의 분석에서 여실히 증명되고 있다. 한 가지 흥미로운 투자자들의 심리를 보자. 5년 전 뮤추얼 펀드에 20만 달러를 투자한 P 모 씨의 경우 2년여 년 전 투자가치가 10만 달러 선까지 떨어졌다가 최근 들어 16만 달러까지 복구된 상태. 2년 전만 해도 괜히 투자했다고 증권회사의 담당 직원과 멱살잡이 일보 직전까지 이르렀던 그였지만 지금은 굉장한 기대감으로 들떠있다. 문제는 그의 시각이다. 현재의 투가 가치를 평가하면서 원금에서 4만 달러나 줄어있다는 것보다는 최저가치에서 6만 달러나 복구됐다는 점에 주목하고 있다는 것이다. 냉정한 투자원칙의 입장에서는 빵점을 줘야 한다. P씨가 손해 본 것은 비단 원금 4만 달러가 아니고 지난 5년간의 기본 이자와 인플레이션, 그리고 그동안 들인 노력에 대한 인건비가 모두 포함된 금액이어야 한다. 참으로 많은 이들이 투자라는 개념에 대해 수익을 올리면 다행히고 아니면 손해를 봐도 할 수 없는 일쯤으로 생각하고 있지만, 이는 투자와 도박을 혼동하고 있다. 정확한 투자는 어느 정도의 안정적인 보장을 바탕으로 수익을 창출하는 것이다. 주식투자를 보험의 관점에서 볼 때 배리어블 펀드와 인덱스 펀드에 대한 비교는 매우 중요하다. 이 두 가지 투자유형은 저축형 생명보험이나 연금플랜을 선택하는 데 있어서 새로운 라이벌 구도를 형성하고 있다. 수익에 대한 기대치라는 측면에서는 배리어블이 유리하고 안정성으로 볼 때는 인덱스 펀드가 더 선호된다. 만약 주식시장이 매년 50% 오르고 내림을 6년간 반복한다면 앞서 설명한 것처럼 계산할 때 10만 달러의 원금은 배리어블 펀드에서 4만2000달러 선으로 떨어진다. 이에 반해 인덱스 펀드 경우는 원금 보장과 더불어 수익 상한선이 주어진다. 수익 상한선을 15%로 볼 때 10만 달러의 원금은 인덱스 가치가 50% 올라가도 다음 해에 11만5000달러가 되며 다음 해에 50% 내려가도 11만5000달러로 원금이 고정된다. 이런 식으로 6년 후의 가치를 보면 15만2000달러대로 늘어난다. 만일 주식시장이 매년 20% 이상씩 꾸준히 성장한다면 단연 배리어블 펀드의 수익률이 인덱스 펀드를 압도적으로 넘어설 것이지만 큰 폭의 오르내림이 반복되는 경우라면 인덱스 펀드가 훨씬 유리한 선택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투기성 투자의 개념이라면 당연히 위험도를 감수하고 배리어블 펀드를 노릴 테지만 안정성을 추구하는 보험 플랜이라면 안정적이면서도 적지 않은 수익률이 보장되는 인덱스 펀드가 우선순위로 꼽히는 것이 당연하다. 매일 매일 주식 상황을 살피면서 저축성 생명보험의 펀드 선택을 바꾸는 보험가입자를 필자는 단 한 번도 만난 적이 없기 때문이다. 물론 선택은 당사자의 몫이다. ▶문의:(213)503-6565 알렉스 한 / 재정보험 전문가보험 상식 펀드 인덱스 인덱스 펀드 펀드 선택 뮤추얼 펀드
2024.02.21. 17:45
보험업계 전문가들을 개발하고 지원하는 리서치 회사인 림라(LIMRA)는 최근 어뉴이티 판매가 2008년 이후 지속해서 늘고 있다고 보고했다. 2022년 4분기 총 연금 판매액은 872억 달러로 2021년 전년 대비 39%가 증가했다. 그중에서도 픽스드 인덱스 어뉴이티(fixed indexed Annuity) 판매는 전년 대비 32% 증가한 219억 달러였다. 그만큼 은퇴를 준비하는 미국인들에게 어뉴이티는 필수품이 되었다. 은퇴 이후 가장 중요한 것은 꾸준한 현금흐름 창출로 첫걸음은 바로 다양한 연금준비다. 그 시작점이 되어주는 것이 바로 어뉴이티다. 생명보험 회사에 투자할 수 있는 어뉴이티는 다양한 유형의 상품으로 제공된다. 특히 소득의 흐름을 위해 사용할 수 있도록 퇴직 자산인 401(k), IRA, 퍼스널 세이빙스 등을 보호하고 미래의 고정인컴 창출을 보장하는 기능은 은퇴자들이 가장 많이 선호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어뉴이티에는 픽스드 어뉴이티(Fixed Annuity), 픽스드 인덱스드 어뉴이티(Fixed Indexed Annuity), 베리어블 어뉴이티(Variable Annuity) 등 여러 종류가 있다. 오늘은 픽스드 인덱스 어뉴이티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픽스드 인덱스 어뉴이티는 투자 시 원금을 보장하며, 주식시장이 상승할 때는 투자액이 늘어나고, 주식시장이 내려갈 때는 원금이 내려가지 않는 상품이다. 그럼 어떤 기능들이 있는지 함께 살펴보자. 첫째, 안정성에 대해 알아보자. 보험회사에서 취급하는 어뉴이티는 1달러에 대한 1달러를 지급준비금으로 유지해야 한다. 우리가 생각하는 최고의 안전한 곳인 은행도 1달러에 대한 1달러를 지급준비금으로 가지고 있지 않다. 연준에서 요구하는 지급준비금은 10%다. 나머지는 모두 대출금으로 나간다. 쉽게 말해 전체 은행 예금이 100달러라면, 10%인 10달러를 뺀 나머지 90달러는 대출로 나가는 것이다. 이는 이번 실리콘밸리은행(SVB) 사태만 보더라도 쉽게 알 수 있다. 은행보다는 보험회사의 어뉴이티가 훨씬 더 안정성으로는 우세하다고 볼 수 있다. 둘째, 평생인컴 보장에 대해 알아보자. 어뉴이티의 특징 중 하나가 바로 내가 원하는 시점에 평생 고정된 인컴을 개런티 받을 수 있다는 것이다. 소셜연금이나 기업연금, 혹은 기업 펜션연금이 없는 경우라면 개인적으로 준비하는 개인연금은 은퇴 후 보장되지 않은 인컴의 갭을 채우는 중요한 장치일수 있다. 현재 나와 있는 어뉴이티에는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된 인컴을 보장하는 연금상품들이 있다. 크게 2가지로 나뉘는데, 적립 후 바로 인컴으로 쓸 수 있는 즉시연금(Immediate Annuity)과 적립 후 일정 기간을 기다렸다 인컴으로 쓸 수 있는 거치연금(deferred Annuit)이 있다. 셋째, 합리적인 수익률에 대해 알아보자. 돈의 가치는 해를 거듭할수록 떨어진다. 저축의 기본은 적어도 물가상승률만큼은 수익률을 낼 수 있어야 그 효율성을 갖는다. 특히나 요즘처럼 고물가 시대에서는 가만히 앉아서도 내 돈의 가치는 하락하고 있다. 어뉴이티의 수익률 창출은 크게 3가지 방법인 고정, 변동, 인덱스로 선택이 가능하다. 인덱스는 고정과 변동의 장점을 접목한 하이브리드 형태를 띠며 S&P 500 인덱스 지수에 의해 이자를 받는 방법이다. 주식시장이 떨어지더라도 내 원금은 보장되며, 주식시장이 고공행진을 한다 하더라도 보험회사가 정한 cap과 participation 이상은 이자를 받을 수 없다. 요즘 대세는 MYGA 상품으로 최고 5.4%의 고정이자를 주는 상품도 있다. 넷째, 세금유예에 대해 알아보자. 은행의 CD와 비교하자면, 은행의 CD는 그해 받은 이자에 대해 그해 세금을 내야 한다. 하지만 어뉴이티 상품을 통해 매해 받는 이자수익에 대해선 바로 세금이 부과되지 않는다. 자라난 수익은 다시 원금과 합쳐져 새로운 원금이 되는데 이를 세금유예라 부르고, 그 새로운 원금에 이자를 받기에 자금을 불려주는 복리효과를 가져온다. 세금은 돈을 꺼내는 인출 시에 그동안 불어난 이자수익에 대해 세금이 부과되므로 더 큰 수익창출이 가능하다. 다섯째, 롱텀 케어 혜택에 대해 알아보자. 현재 평균 60세 남성이 남은 생애 중 롱텀케어 혜택이 필요할 확률은 최소 50%에 달한다고 한다. 보험회사마다 각각의 상품에 따라 어뉴이티가 가지고 있는 혜택이 조금씩 다른데, 롱텀케어 혜택을 선택할수 있는 옵션의 어뉴이티 상품이 있다. 요즘 대세는 생명보험 안에 롱텀 케어 혜택 옵션을 선택 할수 있어 살아생전 롱텀케어가 필요할 시 사망보상금의 일부를 먼저 앞당겨 쓸 수 있는 혜택이 있다. 어뉴이티에도 롱텀 케어가 필요한 상황이 되면 적립한 금액의 두 배나 세 배까지 롱텀케어 비용으로 지불해 주는 상품이 있어 인기가 높다. ▶문의:(213)284-2616 클라우디아 송 / 아메리츠 파이낸셜재정설계 인덱스 세금유예 인덱스 지수 variable annuity 케어 혜택
2023.04.26. 17:30
9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에서 연준은 금리를 0.75% 포인트 올렸다. 지난 3월부터 조금씩 올라가기 시작한 금리는 4개월 만에 무려 2.25% 포인트나 올랐다. 금리 인상으로 주식시장도 극도로 불안하다. 단지 금리 인상의 영향으로만 볼수 없는 건 여전히 진행 중인 우크라이나 전쟁, 중국 코로나 봉쇄로 인한 공급문제, 미국과 유럽의 인플레이션 문제 등 다양한 변수들 때문이라고 전문가들은 입을 모은다. 최근 CNBC 기사에 따르면, 좋지 못한 주식시장으로 인해 많은 투자자가 고정 수입을 기대할 수 있는 어뉴이티로 발길을 돌리고 있다. 보험 및 재정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는 림라(LIMRA)에 따르면 2022년 어뉴이티 상품 판매 기대치는 2670억~2880억 달러라고 한다. 이는 서브 프라임 사태가 발생한 2008년의 2550억 달러 이후 최고 수치다. 그중에서도 인덱스 어뉴이티가 인기있는 배경은 고정과 변동 양쪽의 장점만을 갖는 하이브리드 형식의 상품으로 받아들여지고 있기 때문이다. 인덱스 어뉴이티는 안정적인 수익률을 목표로 하는 지수형 연금상품이다. 개인의 목적과 목표, 투자 성향, 그리고 자금 운용에 따라 자금 증식이 목적인지, 평생 보장된 인컴 제공이 목적인지에 따라 선택할수 있는 상품 옵션은 다양하다. 또 인덱스 어뉴이티는 별도의 매니저먼트 비용이 없고, 자라난 이자소득에 대해 세금유예가 있어 자금 증식을 극대화할 수 있다. 매년 전체 금액의 10%까지 현금계좌에서 페널티 없이 돈을 자유롭게 꺼내 쓸 수 있어, 만기 전 필요한 자금 흐름에도 도움이 된다. 인덱스 어뉴이티의 제일 큰 장점은 원금 보장에 있다. 그리고 한번 발생한 이자수익은 락인(Lock-in) 효과를 가지는데, 락인은 ‘가두다, 감금하다’라는 사전적 의미처럼, 한번 발생한 이자 수익은 그대로 묶여 애초 원금에 합쳐져 새로운 원금이 형성되므로 아무리 시장이 하락장이라도 한번 락인된 내 계좌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다. 인덱스 어뉴이티 상품은 주식이나 뮤추얼 펀드, 혹은 인덱스 펀드 등 증권시장을 통해 얻는 수익 구조가 아니다. 따라서 직접 마켓에 투자해 지분을 사는 구조로 수익을 내는 대신 선택한 인덱스 투자전략에 따라 해당 지수의 변동을 측정 계산하게 된다. 각각의 S&P500, 다우지수, 나스닥 인덱스에 연동된 시장지수 변동에 따라 실제 나의 수익률은 산출된다. 그리고 실제 수익률은 회사가 정해 놓은 상한선(Cap Rate), 스프레드(Spread), 참여율(Participation Rate)등 추가적인 요인들에 따라 결정된다. 캡은 주로 회사가 미리 정해 놓은 맥시멈 이자 퍼센티지의 상한선을 말한다. 예를 들어, 시장이 너무 좋아 20%의 수익을 냈다고 하더라도 회사가 정해 놓은 캡(Cap rate) 상한선이 10%라면 그해 나의 수익률은 10%다. 스프레드란 회사에서 지정한 일종의 마진 같은 개념이다. 만약 내가 선택한 상품의 스프레드가 그해 4%라면, 그해 인덱스 옵션 이자가 10%일 경우, 그 10%에서 스프레드인 4%를 뺀 나머지 6%를 최종 이자로 적용하게 된다. 참여율은 상품에 따라 정해놓은 퍼센티지가 다르고, 만약 내가 정한 옵션의 참여율이 80%라고 할 경우, 그해 이자를 10%를 받으면, 10%의 80%가 되므로 최종적으로 받는 이자는 8%가 되는 것이다. 요즘처럼 금리 인상과 주식시장의 변동성이 심한 시장에서 나의 은퇴자금은 어떻게 관리되고 있는지 어떤 리스크를 안고 있는지 들여다 봐야 한다. 은퇴를 준비하는 예비 은퇴자들에겐 평생 모은 나의 은퇴자금을 보존하는 전략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남들이 다한다고 해서, 주변에서 가입을 권유한다고 해서 무조건 가입하기보다는 어떤 상품인지, 어떻게 운용되는지, 어떤 이자방식으로 이자를 주는지, 과연 본인에게 맞는 상품인지 전문가와 잘 따져보고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문의: (213)284-2616 클라우디아 송 / 아메리츠 파이낸셜 Field Manager재정설계 연금 인덱스 인덱스 투자전략 인덱스 펀드 이자 수익
2022.09.28. 17:47
저축성 생명보험으로 많이 알려진 인덱스 생명보험은 다양한 보험상품 가운데 저축과 사망보상금이 합쳐진 대표적인 생명보험이다. 특히 예금금리가 초저금리 시대에 은행보다는 높은 이율을 제공하고 있어 많이 사랑받는 인기 높은 상품 중 하나다. 오늘은 인덱스 보험이 주는 혜택들에 대해 알아보자고 한다. 첫째, 사망보상금으로 보험이 가지고 있는 가장 기본 기능이다. 보험계약은 보험자가 보험계약자 또는 제삼자(피보험자)의 생사에 관해 일정한 금액을 지급할 것을 약정하는 계약이므로 피보험인의 사망 시 반드시 지급되는 사망 보상금이다. 둘째, 인덱스 생명보험은 자금증식을 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도록 집중된 플랜이다. 매달 내는 보험료(premium) 중 기본 보험료(cost of insurance)를 제외한 나머지 금액으로 투자할 수 있는 옵션 선택에 따라 이자를 받는 방식으로 자금을 증식할 수 있다. 최고 장점은 한 번 받은 수익에 대해서는 락인이 된다는 것이다. 아무리 시장이 마이너스로 떨어진다 하더라도 그동안 증식된 돈은 떨어질 걱정이 없다. 납입한 보험료 이상의 수익을 기대할 수 있으며, 진정한 보험 재테크의 효용을 보려면 장기간 유지해야 한다는 전제조건을 지켜야 한다. 또한 복리 방식의 이자 지급 방식으로 목돈이 생긴다는 특징이 있어 보통 은퇴 후 생활자금이나 결혼자금, 교육비 등의 목돈이 필요할 때 적합하다. 셋째, 리빙 베네핏이다. 말 그대로 피보험인이 살아서 받는 베네핏을 말한다. 미국에서는 라이더(Rider) 라고 부르고 한국에서는 이를 특약 조건이라고 부르는데, 피보험인이 사망하지 않아도 특약조건에 해당 되면 받을수 있는 베네핏이다. 크게 3가지로 구분되며, 터미널(Terminal), 크리티컬(Critical), 크로닉(Chronic)으로 나뉘어 있다. 말기 환자나 시한부 선고를 받았을 경우, 만성질환이나 심각한 질병, 암, 뇌졸중, 심장마비, 주요 장기이식, 그리고 롱텀케어에해당할 경우 사망보상금의 일부를 미리 앞당겨 쓸 수가 있다. 옛말에 '중병에 효자 없다'는 말이 있다. 긴 간병상황에 놓이게 된다면 사랑하는 가족일지라도 원망의 대상이 될 수도 있다. 이런 상황들을 미리 대비한다면 힘든 상황에 놓이게 될 가족에게 큰 힘이 될 것이다. 넷째, 보조 은퇴자금이다. 저축성 생명보험은 IRS의 택스 코드(IRC7702A)에서 세금 면제 혜택을 받는 대표적인 플랜 가운데 하나다. 이와 같이 세제 혜택을 받는 것 중 또 다른 하나가 로스 IRA이다. 로스 IRA는 소득 제한과 매해 적립할 수 있는 한도액이 정해져 있지만, 저축성 생명보험은 이런 제한이 없다. 그래서 생명보험을 통해 보조 은퇴자금을 마련할 수 있는 플랜으로 은퇴 후 필요한 금액을 만들기 위해 최대한 자금을 넣을 수 있다. 자금 증식이 이뤄지는 기간에는 수익에 대해 세금이 붙지 않는다. 또한 나중에 자라난 캐시 밸류(cash value)에서 돈을 인출할 때에도 융자형식으로 사용하게 되면 소득세를 내지 않아도 된다. 물론 융자이기 때문에 그에 따른 이자가 발생하지만, 오히려 융자 이자보다 더 높은 수익의 이자를 벌 수 있는 구조여서 세금 혜택에 유리하다. 지금 세금을 절약하기 위해 401(k)와 IRA에 저축하듯 은퇴 후 소득세를 최소화하는 방법으로 저축성 생명보험을 활용하는 것이다. ▶문의: (213)284-2616 클라우디아 송 / 아메리츠 파이낸셜 Field Manager재정설계 생명보험 인덱스 인덱스 생명보험 저축성 생명보험 인덱스 보험
2022.03.30. 17:36
일반 투자자들이 주식과 관련해 가장 많이 투자하는 종목 중 하나는 S&P 500 지수 펀드(Standard&Poor 500 Index Fund)다. S&P 지수 펀드는 지수에 포함돼 있는 500개 기업의 주식을 해당 지수와 흡사하게 편성 함으로써 지수와 유사한 수익률을 달성하려는 펀드다. 이처럼 펀드 매니저가 주식의 개별 주식의 좋고 나쁨을 판단해서 매매를 하지 않고 인덱스의 구성대로 투자가 이루어지는 유형의 투자를 패시브 인베스팅(Passive Investing) 이라고 한다. 이에 반해 액티브 인베스팅(Active Investing) 은 기업 분석을 바탕으로 매매 결정을 적극적으로 판단하는 유형이다. 인덱스 투자 같은 패시브 인베스팅의 장점은 투자자의 개인적인 의견이 거의 배제된다는 것이다. 액티브 인베스팅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분석이나 판단의 오류로 인한 손실에 대한 부담이 없다는 것이다. 실제로 많은 액티브 펀드들이 시장 수익률을 넘지 못한다는 사실도 지수 펀드 투자의 잇점을 방증해 주고 있다. S&P 지수 펀드처럼 증시를 대표하는 지수를 바탕으로 구성된 펀드는 투자의 위험도를 낮추는 분산 투자의 목표를 달성하는 것도 장점의 하나이다. 특히 다우존스 지수와는 달리 포함된 기업의 시가총액에 따라 지수에 차지하는 비중이 다른 S&P 500 지수는 초 대기업의 투자 부분이 자연스럽게 커지게 된다. 이런 이유로 현재 S&P 500 지수의 톱3인 애플이 차지하는 비율은 약 6.8%, 마이크로소프트는 약 5.9%, 아마존은 약 3.6% 정도 된다. 인덱스 투자의 또 하나 장점은 투자 비용이 아주 적다는 것이다. 펀드 운용에서 발생하는 여러 비용은 투자자의 몫인데 많은 투자자들은 이런 비용을 지불하고 있다는 사실을 잘 인지하지 못한다. 보통 액티브 펀드의 1% 정도를 차지하며 매년 발생하는 이 비용은 S&P500 지수 펀드의 경우 대략 0.1에서 0.3% 정도 되는 것으로 보인다. 투자자들이 펀드 투자를 하면서 꼭 고려해야 할 부분이며 이 비용은 펀드의 Expense Ratio를 찾아보면 알 수 있다. 인덱스 투자처럼 패시브 인베스팅보다 조금 더 적극적인 투자를 원한다면 대형 지수 펀드와 분야별 인덱스를 섞은 것으로 금융 위기 이후 인기를 끌고 있는 투자 전략인 스마트 베타 전략(Smart Beta Strategies)을 연구해 보는 것도 좋을 것이다. ▶문의: (213)221-4090 김세주 / Kadence Advisors, LLC투자의 경제학 인덱스 펀드 지수 펀드 펀드 투자 인덱스 투자
2022.01.19. 17:38
지난 30년이란 오랜 세월 동안 일반 투자자는 인덱스 펀드에 투자할 것을 추천했다. 결과를 간단히 소개하면 1990년 새해에 1만달러 투자가 2020년 말 21만달러로 불어난 것으로 약 21배나 증가했다. 일반 투자자는 물론 감히 장담하건대 어느 투자 전문가도 이렇게 높은 수익을 올린다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 인덱스 펀드를 선호하는 이유가 여러 가지이지만, 그중 으뜸은 투자 경비 때문이다. 일반 투자자는 투자하며 발생하는 모든 경비를 자세히 알지 못한다. 매월 받아보는 재정문서에도 나오지 않는다. 금융상품을 파는 사람이나 투자를 도와주는 사람도 경비에 대해선 자세히 말하지 않기 때문이다. 모든 금융회사는 돈을 벌고자 한다. 간단하게 말해서 일반 투자자 호주머니에서 나오는 돈이다. 이런 이유로 놀라운 투자상품을 소개하고 투자 전문가의 도움을 받으라고 끊임없이 광고하고 선전하는데 일반 투자자가 인덱스 펀드에 투자하기로 결정했다면 금융회사는 매우 낙담할 것이다. 금융회사가 실망하는 이유는 간단하다. 투자자로부터 받을 수 있는 높은 커미션(Commissions), 화려한 사무실(Fancy Offices), 공짜 휴가(Expense-Paid Trips), 그리고 높은 봉급(Sky-High Salaries)을 기대할 수 없기 때문이다. 금융회사가 만든 투자 상품에는 커미션은 물론 100여 페이지(prospectus) 속에 있는 여러 가지 경비와 계약을 해약하면 부과되는 벌과금 등이 있다. 일반 투자자가 선호하는 뮤추얼 펀드의 경비도 약 0.95%이다. 그러나 인덱스 펀드에 투자하면 금융상품에서 부과하는 경비(투자자가 인식하기 어려운)가 전혀 없고 인덱스 펀드의 경비는 약 0.05%로 매우 저렴하다. 재정설계사들이 보는 잡지(Financial Planning)에 제목이 “연말 나눔으로 유혹하는 한 재정설계사가 당국으로부터 사기 범죄에 직면(Advisor who touts his Holiday Giving faces SEC fraud charges)”하고 있다는 소식이다. 연말에 25,000명에게 칠면조로 식사를 대접하며 마음이 선하고 좋은 사람이란 인상을 주지만 뒤에선 고객의 돈으로 본인의 욕심을 채운 것이다. 금융당국(Securities and Exchange Commission)은 재정설계사인 키스 스프링어(Keith Springer)는 북가주에서 투자 방송을 하며 높은 수수료를 받을 수 있는 어뉴이티(Annuities)나 다른 투자 상품에 고객의 돈을 투자했다는 것이다. 고객의 대부분은 이미 은퇴를 했거나 은퇴가 가까운 사람을 대상으로 투자에 깊은 지식이 없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한 것이다. 하루가 바쁘게 살아가는 우리 한인 동포는 투자상품의 속 내용을 알기 매우 어렵다. 금융상품 파는 사람 말만 듣고 혹은 막연히 믿고 피와 땀인 소중한 돈을 투자한다. 자그마한 은퇴자산이 불어나기를 기대하면서 말이다. 그러나 여러 가지 이유로 부과되는 많은 경비로 나의 돈이 불어나지 않는다. 최근 금융상품의 재정문서를 받아보면 나의 돈이 불어난 것을 확인하고 나의 투자 상품이 괜찮다고 생각할 수도 있다. 그러나 지난 12년 주식시장은 연평균은 15% 이상으로 상승했다. 투자한 원금이 1만달러였다면 5만달러 이상으로 5배가 불어났다. 금융상품이 비슷한 비율로 불어났는지를 비교해 봐야 한다. 인덱스 펀드에 투자하면 일단 알게 모르게 나가는 경비가 전혀 없다. 원금보장 한다는 금융상품에 부과되는 경비가 얼마인지, 개별적인 주식을 선택하거나 분석할 필요도 없고, 주식시장 상황에 민감할 이유도 없고 잠도 편히 잘 수 있는 투자 방법이다. 인덱스 펀드 투자는 흥분되지도 않고, 재미도 없고, 매우 지루한 투자이다. 그러나 코로나가 극성이던 작년에는 18% 그리고 올해 현재 27% 상승이며 지난 30년 연평균 수익률 10.72%가 인덱스 펀드(S&P 500)의 수익률이다. 이것이 제대로 하는 투자이며 부를 쌓을 수 있는 투자 방법이다. 독자 여러분도 인덱스 펀드 투자로 포트폴리오를 형성해서 운용하기를 다시 한번 추천한다. ▶문의: youtube 이명덕 재정계획, 재정 칼럼 인덱스 펀드 인덱스 펀드 일반 투자자 투자 경비
2021.11.24. 21:00
어느 한해에 특정 주식의 주가가 시세의 50%까지 급등하고 이어서 다음 해에는 50% 급락했을 때 원금의 변화는 어떻게 변하는지 생각해 보자. 만약 원금이 1만 달러였다면 50% 오른 주가는 1만5000원이 될 것이며 다음 해에 다시 50% 하락한다면 최종가격은 7500으로 마무리된다. 똑같이 50% 오르고 50% 내렸는데 정리를 하고 보니 2500을 손해 본 셈이다. 최근 수년간 주식시장의 호황을 발판으로 많은 개미 투자자들이 주식투자에 뛰어들었다. 물론 주식의 호황이 계속되면 개미투자자들도 짭짤한 투자이익을 거두기도 하지만 만일 시장이 하락세로 돌아서면 대규모 기간 투자자들에 비해 개미 투자자들의 손해가 막심해지는 것도 그동안의 분석에서 여실히 증명되고 있다. 한가지 흥미로운 투자자들의 심리를 보자. 5년 전 뮤추얼 펀드에 20만 달러를 투자한 P모씨의 경우 2년여전 투자가치가 10만 달러 선까지 떨어졌다가 최근 들어 16만 달러까지 복구된 상태. 2년전만 해도 괜히 투자했다고 증권회사의 담당 직원과 멱살잡이 일보 직전까지 이르렀던 그였지만 지금은 굉장한 기대감으로 들떠있다. 문제는 그의 시각이다. 현재의 투자가치를 평가하면서 원금에서 4만 달러나 줄어있다는 것보다는 최저가치에서 6만 달러나 복구됐다는 점에 주목하고 있다는 것이다. 참으로 긍정적인 삶의 자세가 아닐 수 없다. 이런 자세는 본인의 건강 차원에는 더할 나위 없이 바람직할 수는 있어도 냉정한 투자원칙의 입장에서는 빵점을 줘야 한다. P씨가 손해 본 것은 비단 원금 4만 달러가 아니고 지난 5년간의 기본 이자와 인플레이션, 그리고 그동안 들인 노력에 대한 인건비가 모두 포함된 금액이어야 한다. 참으로 많은 이들이 ‘투자’라는 개념에 대해 수익을 올리면 다행이고 아니면 손해를 봐도 할 수 없는 일 때쯤으로 생각하고 있지만, 이는 투자와 도박을 혼동하고 있다. 정확한 투자는 어느 정도의 안정적인 ‘보장’을 바탕으로 수익을 창출하는 것이다. 주식투자를 보험의 관점에서 볼 때 배리어블 펀드와 인덱스 펀드에 대한 비교는 매우 중요하다. 이 두 가지 투자유형은 저축형 생명보험이나 연금플랜을 선택하는 데 있어서 새로운 라이벌 구도를 형성하고 있다. 수익에 대한 기대치라는 측면에서는 배리어블이 유리하고 안정성으로 볼 때는 인덱스 펀드가 더 선호된다. 만약 주식시장이 매년 50% 오르고 내림을 6년간 반복한다면 앞서 설명한 바 처럼 계산할 때 10만 달러의 원금은 배리어블 펀드에서 4만2000달러 선으로 떨어진다. 이에 반해 인덱스 펀드의 경우는 원금 보장과 더불어 수익 상한선이 주어진다. 수익 상한선을 15%로 볼 때 10만달러의 원금은 인덱스 가치가 50% 올라가도 다음 해에 11만5000달러가 되며 다음 해에 50% 내려가도 11만5000달러로 원금 고정된다. 이런 식으로 6년 후의 가치를 보면 15만2000달러대로 늘어난다. 만일 주식시장이 매년 20% 이상씩 꾸준히 성장한다면 단연 배리어블 펀드의 수익률이 인덱스 펀드를 압도적으로 넘어설 것이지만 큰 폭의 오르내림이 반복되는 경우라면 인덱스 펀드가 훨씬 유리한 선택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투기성 투자의 개념이라면 당연히 위험도를 감수하고 배리어블 펀드를 노릴 테지만 안정성을 추구하는 보험 플랜이라면 안정적이면서도 적지 않은 수익률이 보장되는 인덱스 펀드가 우선순위로 꼽히는 것이 당연하다. 매일 매일 주식 상황을 살피면서 저축성 생명보험의 펀드 선택을 바꾸는 보험가입자를 필자는 단 한 번도 만난 적이 없기 때문이다. 물론 선택은 당사자의 몫이다. ▶문의: (213)503-6565 알렉스 한 / 재정보험 전문가보험 상식 펀드 인덱스 인덱스 펀드 펀드 선택 뮤추얼 펀드
2021.10.20. 17: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