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전체

최신기사

인도계 불법이민도 본격 추방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인도계 불법체류자 104명을 미 공군 수송기 편으로 인도로 추방했다.   추방정책에 따라 미국에서 추방된 인도인 100여명이 본국에 도착했다. 인도계 불체자 추방에 군용기가 동원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인도 펀잡지역 암리차르 공항에 도착한 수송기에는 남성 72명, 여성 19명, 미성년자 13명이 탑승했으며, 이들 중 최장 불법체류 기간은 9년이었다.   인도계 불법체류자 단속은 사실상 사각지대였다는 평가를 받아왔다.   연방국토안보부와 퓨 리서치 센터 등의 통계에 의하면 2022년 인도계 불체자는 72만5천명으로 멕시코, 엘살바도르에 이어 3위에 올라있다.     하지만 2023년 11월부터 2024년 10월 사이 추방된 인도인은 519명에 불과했다.   멕시코 등 중남미계 국가 추방이민자가 수만명에서 수십만명에 이르는 것에 비하면, 사실상 인도계 불체자 단속이 없었다고 보는게 옳다.   인도계 불법이민자들의 체포와 추방이 여의치 않은 이유는 중남미계와 달리 인도계가 주로 미국-캐나다 국경을 통해 밀입국하기 때문이다.   연방국경보호국(CBP) 통계에 의하면 2024회계연도에 미국-캐나다 국경을 통해 밀입국하던 인도계 불법이민자 1만4천여명을 체포했다.   이는 2년전에 비해 10배 이상 증가한 것이다.   인도계 불법체류자는 주로 인도 펀잡과 구자라트지역 출신으로, 전체 불법 월경 건수의 3%를 차지한다.     연방국토안보부는 작년 11월 현재 인도계 불체자 2만407명을 추방 리스트에 올려놓고 있다고 밝혔으나, 장거리 수송에 대한 비용 부담 등을 이유로 실제 추방 실적은 매우 미미한 실정이다.   전문가들은 인도계 불법체류자가 증가하는 가장 큰 이유로 청년 계층의 높은 실업률을 거론한다.   인도의 20-30대 청년 실업률은 45%에 이른다.     인도 청년 계층 중 상당수는 미국 밀입국을 지상과제로 삼고 있으며, 이를 실행하기 위해 돈을 모으고 있다.   미국에는 인도 IT 인력에 의존하는 경향이 강하지만, H1-B 취업비자와 취업 및 가족 초청 영주권 쿼터가 국가별로 적용되기 때문에, 합법적으로 미국에 체류하다가도 오버스테이 불법체류자로 남는 경우가 흔하다.   워싱턴 지역의 한 IT기업에서 일하는 한인 박모씨는 “우리 회사 인력이 30명 정도인데, 여기에도 인도계 불체자가 있다”면서 “임금을 적게 줘도 되기 때문에 오히려 인도계 불체자를 선호하는 기업도 있다”고 귀띔했다.   트럼프 대통령과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는  지난주 통화를 통해 인도계 불체자 문제를 본격  논의했다.   인도 측은 자국민 불체자를 신원확인 후 곧바로 수용하겠다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불법체류 문제를 통상협상 카드로 꺼내, 인도가 미국산 보안장비를 더 많이 구매하고  공정무역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옥채 기자 [email protected]불법이민 인도계 인도계 불법이민자들 인도계 불법체류자 인도계 불체자

2025.02.06. 12:31

썸네일

“중위 연소득 인도계 12만불, 한인 7만불”

아시아계는 부유하고 고학력일 것이라는 고정관념이 있지만 출신 국가에 따라 소득과 학력은 천차만별인 것으로 드러났다고 15일 온라인 매체 악시오스가 보도했다.   악시오스에 따르면 퓨리서치센터의 최근 조사 결과 아시아계의 2019년 연간 중위 소득은 8만5800달러로 전체 가구의 중위소득인 6만1800달러를 크게 웃돌았다.   또한 아시아계는 25세 이상 인구에서 대학 학사 이상의 학력 보유자가 54%인 것으로 파악됐다. 같은 나이대의 전국민 중 이 비율이 33%인 것과 비교하면 큰 격차다.   하지만 출신 국가별로 세분화하면 편차가 컸다. 인도계의 중위소득은 11만9000달러로 전국민 평균의 2배에 달했던 반면 미얀마계의 중위소득은 4만4400달러로 전체 평균을 밑돌았다.   한인 가구의 중위소득은 인도와 미얀마의 중간쯤인 7만2200달러였다.   교육 수준도 인도계(75%), 스리랑카(60%)계, 중국계·파키스탄계·한인(이상 57%), 일본계(52%)의 학사학위 이상 소지자 비율은 50%를 넘겼지만, 캄보디아·베트남·라오스계 등 동남아시아인의 30%는 고교 졸업장조차 따지 못했다.   아시아계라고 하나로 표현하지만 출신 국가에 따라 출발점이 다르다고 퓨리서치센터의 닐 루이스 인종·민족 연구 부책임자는 밝혔다.   예를 들어 첨단기업의 고소득 일자리를 보장받고 온 인도계 이민자와 미얀마 군부의 탄압을 피해 도망친 미얀마계 망명인을 동일시할 수는 없다는 것이다.   아시아계 인구는 2000년부터 2019년까지 2배로 늘어 현재는 2200만 명에 달한다. 가장 빠르게 늘어나는 인종 그룹인 아시아계는 2060년에는 그 규모가 4600만 명에 달할 것으로 퓨리서치센터는 내다봤다.   덩치는 커졌지만, 아시아계는 고학력에 부유하고 성공한 이민자의 전형으로 편중되게 그려지고 있다. 소수에 불과한 일부 사례를 일반화하다 보니 학교 현장에선 아시아계 학생이 조용히 있으면 실제로는 도움이 필요하다는 뜻일지라도 학습 내용을 이해한 줄 알고 넘어가는 경우가 비일비재하다고 퓨리서치센터는 지적했다.   또한 아시아계는 주류 사회가 만든 ‘모범적 소수자’란 틀에 갇혀 증오 범죄의 희생양이 되는 등 이중의 피해를 보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엘런 우 인디애나대 역사학 교수는 “아시아계는 인종차별과 적대감, 폭력으로 고통받고 있다는 것을 계속해서 주장해야 했다”고 말했다.연소득 인도계 인도계 이민자 출신 국가별 아시아계 인구

2022.05.16. 21:06

“인도계 연 12만불 벌 때 한국계는 7만불”

아시아계 미국인이라고 하면 부유하고 고학력일 것이라는 고정관념이 있지만 출신 국가에 따라 소득과 학력은 천차만별인 것으로 드러났다고 15일 온라인 매체 악시오스가 보도했다.   악시오스에 따르면 퓨리서치센터의 최근 조사 결과 아시아계 미국인의 2019년 연간 중위 소득은 8만5800달러로 미국 전체 가구의 중위소득인 6만1800달러를 크게 웃돌았다.   또한 아시아계는 25세 이상 인구에서 대학 학사 이상의 학력 보유자가 54%인 것으로 파악됐다. 같은 나이대의 전체 미국인 중 이 비율이 33%인 것과 비교하면 큰 격차다.   하지만 출신 국가별로 세분화하면 편차가 컸다. 인도계의 중위소득은 11만9000달러로 미국 전체 평균의 2배에 달했던 반면 미얀마계의 중위소득은 4만4400달러로 미국 전체 평균을 밑돌았다.   미국 내 한인 가구의 중위소득은 인도와 미얀마의 중간쯤인 7만2200달러였다.   교육 수준도 인도(75%), 스리랑카(60%), 중국, 파키스탄, 한국(이상 57%), 일본(52%)의 학사학위 이상 소지자 비율은 50%를 넘겼지만, 캄보디아, 베트남, 라오스 등 동남아시아인의 30%는 고교 졸업장조차 따지 못했다.   아시아계 미국인이라고 싸잡아 표현하지만 출신 국가에 따라 출발점이 다르다고 퓨리서치센터의 닐 루이스 인종·민족 연구 부책임자는 밝혔다.   예를 들어 첨단기업의 고소득 일자리를 보장받고 미국으로 온 인도인 이민자와 미얀마 군부의 탄압을 피해 미국으로 온 미얀마 망명인을 동일시할 수는 없다는 것이다.   아시아계 미국인 인구는 2000년부터 2019년까지 2배로 늘어 현재는 2200만명에 달한다. 미국에서 가장 빠르게 늘어나는 인종 그룹인 아시아계는 2060년에는 그 규모가 4600만명에 달할 것으로 퓨리서치센터는 내다봤다.   덩치는 커졌지만, 미국 내에서 아시아계는 고학력에 부유하고 성공한 이민자의 전형으로 편중되게 그려지고 있다.   소수에 불과한 일부 사례를 일반화하다 보니 학교 현장에선 아시아계 학생이 조용히 있으면 실제로는 도움이 필요하다는 뜻일지라도 학습 내용을 이해한 줄 알고 넘어가는 경우가 비일비재하다고 퓨리서치센터는 지적했다.   또한 아시아계는 주류 사회가 만든 ‘모범적 소수자’란 틀에 갇혀 증오범죄의 희생양이 되는 등 이중의 피해를 보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엘런 우 인디애나대 역사학 교수는 “아시아계 미국인은 인종차별과 적대감, 폭력으로 고통받고 있다는 것을 계속해서 주장해야 했다”고 말했다. 김은별 기자인도계 한국계 출신 국가별 아시아계 학생 인도인 이민자

2022.05.16. 16:35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