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리노이가 전국에서 두번째로 높은 집 보험 인상률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비영리단체인 미국소비자연맹(CFA)이 1일 내놓은 보고서에 따르면 최근 3년간 미국 전체 평균 집 보험 인상률은 24%로 집계됐다. 일리노이의 경우 지난 2021년부터 2024년까지 집 보험료 인상률은 50%로 유타주(59%)에 이어 전국에서 두번째로 높은 수준이었다. 시카고에 본사를 두고 있는 올스테이트 보험사가 지난 2월 증권거래위원회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자사 보험 가입자가 청구한 강풍, 우박 피해가 전체 자연재해 손실의 79%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만큼 중서부 지역의 자연 재해로 인한 재산 손실 가능성이 높다는 의미다. CFA에 따르면 최근 3년간 국내 우편번호의 95%에서 집 보험료가 올랐다. 인상률이 아닌 금액으로 따졌을 때 가장 많이 오른 곳은 플로리다로 같은 기간 보험료가 2118달러가 올라 9462달러의 평균 집 보험료를 내고 있었다. 전국 평균 집 보험료는 3303달러였고 일리노이 평균 집 보험료는 2942달러로 전국 평균 보다는 낮았다. 보험료 평균 인상률이 높은 지역으로는 애리조나 48%, 펜실베니아 44%로 집계됐다. 금액으로는 루이지애나 1775달러, 켄터키 1426달러로 확인됐다. CFA는 이같은 주택 보험료 인상 요인으로 팬데믹 이후 크게 인상된 건축 자재 비용과 인건비를 꼽았다. 또 자연재해가 빈발하고 있는 것과 보험사들이 보험을 드는 글로벌 재보험 시장이 규제되지 않는 것도 언급했다. 아울러 각 주정부가 급격한 보험료 인상을 규제하는 것을 막지 않는 것도 문제로 지적했다. 현재 일리노이주 의회도 집과 자동차 보험의 인상을 규제하는 것을 골자로 하는 법안이 상정됐지만 관련 업계의 로비 등으로 인해 통과 여부는 불투명하다. 관련 업계에서는 캘리포니아주와 같이 보험료 인상을 규제하게 될 경우 자연재해 등으로 인해 보험 청구가 많아지고 있는 상황에서 보험사간 경쟁이 사라지고 이는 곧 보험료 인상으로 이어질 것이라는 입장이다. 한편 올스테이트 보험사는 올 2월부터 평균 집 보험료를 14.3% 올렸다. 지난해에도 올스테이트사는 12.7%를 올린 뒤 1년만에 다시 보험료를 두 자리수 이상 인상한 것이다. 블루밍턴에 본사를 둔 스테이트팜사 역시 지난해 5월 주택 보험료를 12.3% 올린 바 있다. Nathan Park 기자보험료 인상률 보험료 인상률 주택 보험료 기간 보험료
2025.04.02. 13:13
조 바이든 대통령이 렌트 인상률을 5% 이하로 제한하는 것을 추진하고 나섰다. 50개 이상 유닛을 동시에 보유한 ‘기업형’ 랜드로드가 세입자로부터 렌트를 5% 넘게 못 올리도록 해 시민들의 렌트 부담을 덜겠다는 취지다. 만약 랜드로드가 5% 이상 렌트를 올릴 경우, 세제 혜택을 박탈하겠다는 입장이다. 16일 바이든 행정부는 ‘주택비용 절감을 위한 신규 조치’를 발표하고, “미국인 수백만 명의 렌트를 더 저렴하게 만들고, 인플레이션을 완화하기 위한 방안”이라고 밝혔다. 바이든 대통령은 기업형 랜드로드의 경우, 렌트를 5% 넘게 못 올리도록 제한할 수 있는 법안을 통과할 것을 연방의회에 촉구했다. 렌트 인상률이 5%를 넘어설 경우, 세제 혜택을 박탈하는 내용도 법안에 포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렌트용 부동산의 경우 감가상각에 따른 세금 혜택을 제공하는데, 이를 박탈하겠다는 설명이다. 백악관은 “이 법이 적용될 주택은 약 2000만채에 해당할 전망으로, 전국 렌트 시장의 절반에 달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약 2년간 렌트 인상 폭을 제한함으로써, 더 많은 주택 공급이 이뤄지기까지 세입자들의 렌트 부담을 줄이는 가교 구실을 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이날 네바다주 라스베이거스를 방문한 바이든 대통령은 렌트 상한제 추진과 함께, 전국적인 주택 공급 확대방안도 발표했다. 네바다주에만 최대 1만5000채 주택을 공급하고, 전국적으로는 연방정부 기관이 소유한 잉여 토지 등을 파악해 주택개발을 할 수 있는지 적극적으로 재검토하겠다고 전했다. 신규 주택건설과 커뮤니티 개발을 위해서는 연방정부가 3억2500만 달러 규모를 투자하기로 했다. 뉴욕주 시라큐스, 뉴저지주 트렌턴·캠든 등의 지역이 연방정부 지원을 받아 주택 공급에 나서게 될 지역으로 꼽혔다. 김은별 기자인상률 렌트 렌트 인상률 제한 추진 렌트용 부동산
2024.07.16. 21:23
데이케어와 프리스쿨 등에 지불하는 보육비용이 급증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세계 4대 회계법인 가운데 하나인 KPMG가 발표한 연구결과에 따르면 1990년부터 2024년까지 34년 새 보육비는 263%가 올랐다. 동기간 내에 전체 물가가 133% 올랐음을 고려하면 보육비의 증가세는 2배에 육박하는 것이다. 다이앤 스원크 KPMG 수석 경제학자는 연구결과 발표와 함께 ABC와 진행한 인터뷰에서 미국인들이 경제전망을 어둡게 보는 이유 중 하나가 팬데믹 이후 급상승한 보육비라고 밝혔다. 여성들이 적극적으로 노동시장에 참여하지 못하는 가장 큰 이유 중 하나를 보육비에 대한 부담으로 꼽기도 했다. 실제로 6세 이하의 자녀를 가진 여성의 노동시장 참여비율은 2023년 기준 69%에 불과했다. 6세 이하 자녀를 가진 남성의 경우가 95%에 달하는 것과 비교하면 눈에 띄게 낮은 수치다. 스원크 경제학자는 “결국 많은 여성이 자녀를 돌봐야 하는지 아니면 생계를 위해 일을 해야 하는지 몹시 어려운 선택에 직면하게 된다”고 지적했다. 연방준비제도(연준)가 5월 발표한 연구결과에 따르면 국내 부모들이 지불하는 보육비 중간값은 한 달에 800달러에 달했다. 일주일에 20시간 이상 보육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는 중간값이 1100달러까지 올라갔다. 이러한 보육비의 상승이 가계에 큰 부담으로 작용한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조원희 기자 [email protected]보육비 인상률 보육비 중간값 물가 인상률 전체 물가
2024.06.02. 19:00
앞으로는 뉴욕시에서 집주인이 세입자를 쫓아내기 위해 렌트를 터무니없이 올리는 것이 금지된다. 기존 렌트의 10% 수준, 혹은 소비자물가지수(CPI) 상승률에 5%포인트를 더한 수준 중 낮은 상승률까지만 렌트를 올릴 수 있다. 22일 뉴욕주의회는 2024~2025회계연도 예산안을 통과시킨 후 발표한 보도자료에서 “주택 부족 위기를 해결하기 위해 저렴한 주택을 공급하고, 세입자 권리를 보호하는 패키지 법안도 함께 통과시켰다”고 밝혔다. 특히 주택 패키지 법안에는 당초 줄리아 살라자르(민주·18선거구) 뉴욕주 상원의원이 발의한 ‘정당한 사유 없는 퇴거 금지법’(S305/A4454)을 수정한 내용이 포함됐다. 통과된 패키지 법안에 따라 앞으로 집주인은 소비자물가지수(CPI) 상승률에 5%포인트를 더한 수준 이상 렌트를 올려받을 수 없다. 인플레이션이 심각해져 물가상승률+5% 수준이 10%를 넘어가도, 집주인은 렌트를 10%까지만 올릴 수 있다. 그 이상 렌트 인상을 요구했다가, 기존 세입자가 감당할 수 없다고 할 경우 리스연장을 거부할 수 없다. 예를 들어 월 렌트가 3000달러였는데, 집주인이 리스 재계약시 월 렌트를 3300달러로 올려달라고 하면 세입자는 집주인이 억지로 렌트를 올려 내쫓으려 한다며 집주인을 고소할 수 있다. 렌트 상승폭(10%)이 물가상승률(3.5%)에 5%포인트를 더한 수준(8.5%)보다 높기 때문이다. 이 정책은 뉴욕시 5개 보로에 즉시 적용된다. 뉴욕시에는 자동 적용되고 뉴욕주 내 다른 지역은 로컬정부에서 자체적으로 적용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문제는 이번에 통과된 내용이 기존 발의된 법안보다는 상당히 완화됐다는 점, 그리고 이 법이 모든 주택에 적용되진 않는다는 점이다. 주의회는 ▶2009년 이후 지어진 건물 ▶고급 주거용 건물(스튜디오 기준 월 렌트 5846달러 이상) ▶아파트 유닛이 10개 이하인 경우(혹은 집주인이 소유한 주택유닛이 10개 이하인 경우) ▶콘도나 코압 등은 적용 대상에서 빼기로 했다. 이미 렌트 인상률 제한이 있는 렌트안정화아파트도 적용 대상이 아니다. 지역매체 더 시티(The City)는 “30만~40만채 아파트가 새 법의 적용을 받을 것으로 예상되지만, 문제는 어떤 아파트가 적용 대상인지 알기 어렵다는 점”이라고 지적했다. 법안에서는 이 법이 적용되는 건물주는 세입자에게 내용을 통보하도록 하고 있다. 다만 단속이 쉽지 않고, 법을 어길 경우 세입자가 집주인을 고소해야만 한다는 점도 법의 허점으로 꼽힌다. 김은별 기자 [email protected]인상률 렌트 렌트 인상률 뉴욕시 렌트 렌트 상승폭
2024.04.22. 20:04
뉴저지주가 작년에도 재산세 전국 1위를 기록했지만, 이곳에 거주하는 한인들의 부담은 크게 늘지 않았을 것으로 보인다. 한인밀집지역인 팰리세이즈파크, 포트리 등의 인상률은 버겐카운티 평균 이하를 기록했다. 뉴저지주 소비자보호국(DCA)에 따르면 2023년 뉴저지주 재산세 평균은 9803달러로 전년(9490달러)보다 3% 올랐다. 인상률은 최근 인플레이션율과 비슷한 수준이다. 버겐카운티의 경우 작년 재산세가 평균 1만2855달러에 달했다. 전년보다 2.7%(334달러) 올랐다. 한인이 많이 거주하는 팰리세이즈파크의 경우 평균 1만700달러로 전년보다 2.3%(243달러) 올랐다. 포트리는 1만1796달러에서 1만1824달러로 0.2%(27달러) 인상되는 데 그쳤다. 잉글우드클립스(1.9%)·리틀페리(2.4%)·리지필드(1.1%)·에지워터(0.9%) 등의 인상률도 평균보다 낮았다. 인상률이 가장 높은 타운은 라클리였다. 1년 새 9.7%(1122달러) 오른 1만2636달러를 기록했다. 우드클리프 레이크와 레오니아도 각각 7%, 5.9% 인상되며 거센 오름세를 보였다. 우드클리프 레이크의 작년 평균 재산세는 1만8549달러, 레오니아는 1만4777달러로 집계됐다. 엘름우드파크와 테터보로는 전년보다 오히려 감소했다. 엘름우드파크는 1만61달러에서 1만1달러로, 테터보로는 2337달러에서 2108달러로 각각 줄었다. 인상 폭이 둔화했어도 카운티 평균 1만2000달러를 훌쩍 넘는 재산세는 여전히 부담스러운 수준이다. 뉴저지주는 2023년에도 또다시 재산세율 전국 1위라는 불명예를 안았다. 금융정보업체 월렛허브에 따르면 뉴저지주의 재산세율은 2.33%로 전국에서 가장 높았다. 일리노이(2.11%), 커네티컷(2%) 등이 뒤를 이었다. 뉴욕은 1.64%로 6번째였다. 이하은 기자 [email protected]재산세 인상률 재산세 인상률 뉴저지주 재산세 재산세율 전국
2024.02.21. 21:14
내년 사회보장연금(소셜연금)이 3.2% 오른다. 사회보장국(SSA)은 12일 내년도 사회보장연금 물가조정분(COLA)이 3.2%라고 발표했다. 지급액 인상은 오는 12월 29일부터 시작된다. 이례적으로 큰 증가 폭(8.7%)을 보였던 작년에 비하면 한참 낮지만, 지난 20년간 평균 상승치인 2.6%보다는 0.6%포인트 높다. 인상 폭은 매년 10월 3분기 도시 및 사무직 근로자 소비자물가지수(CPI-W)를 기반으로 결정된다. 이에 따라 은퇴자는 평균 월 1848달러에서 59달러 증가한 1907달러를 수령하게 된다. 부부가 모두 연금을 받는 경우 월 평균 수령액은 2939달러에서 3033달러로 오른다. 시니어 권익 옹호 단체 시니어시티즌스리그(TSCL)는 이날 “3.2% 증가로는 생활에 충분하지 않다”며 “최근 인플레이션이 둔화하긴 했지만 생활비 걱정이 여전히 큰 상황”이라고 밝혔다. 이하은 기자 [email protected]연금 인상률 내년 소셜 내년 사회보장 사회보장 물가조정분
2023.10.12. 20:21
임금 상승률이 2년 만에 처음으로 물가 상승세를 넘어서면서 앞으로 연방준비제도(Fed)의 긴축 계획에도 차질이 생길지 주목된다. 17일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연방 노동부가 발표한 6월 인플레이션 조정 평균 시간당 임금이 전년 대비 1.2% 상승한 가운데 이는 2년 만에 두 달 연속 계절 조정으로 상승률을 기록했다. 인플레이션을 조정하지 않은 민간 부문 근로자의 시간당 임금은 전년 대비 4% 이상 상승해 지난 6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전년 대비 3% 상승한 것을 훨씬 앞질렀다. 매체는 이러한 추세가 지속되면 지출을 늘려 경제를 활성화해 경기 침체를 피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전한다. 실제 6월 소비자신뢰지수는 2022년 1월 이후 최고치를 기록하며 현재 경제 상황에 대한 평가와 미래 전망이 개선됐음을 보여줬다. 그러나 임금 상승은 인플레이션과 싸우는 연준의 지속적인 노력과 상충한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연준의 인플레이션 억제 노력에 만족하기에는 임금 상승세가 여전히 너무 강하다는 신호를 보냈다. 파월 의장은 “특히 소득 하위 계층의 임금이 인상되는 것은 매우 반가운 일”이라면서도 “우리는 인플레이션을 2%로 낮추는 과정의 일부로서 모든 사람에게 혜택이 돌아갈 수 있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다만, 전문가들은 임금 상승세도 물가 상승세 둔화와 함께 갈 것으로 내다봤다. 옥스퍼드 이코노믹스의 밥 슈워츠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일자리가 구직자 수를 초과하는 타이트한 노동 시장이 지속적인 임금 상승을 촉진하는 요인”이라면서도 “인플레이션이 낮아지고 있기 때문에 임금 수요도 줄어들 것”이라고 예상했다. 집리크루터의 줄리아 폴락 이코노미스트도 “평균 근무 시간이 작년에 비해 감소해 주당 임금은 더 느리게 상승하고 있다”며 “또한, 올봄에는 채용도 줄었다”고 전했다.인상률 상승률 임금 상승률 물가 상승률 임금 상승세
2023.07.17. 20:14
뉴욕주 렌트안정법 적용을 받는 뉴욕시 아파트 100만 가구의 렌트가 지난해에 이어 또 오른다. 매년 렌트안정아파트의 최대 렌트 인상률을 결정하는 렌트가이드위원회(RGB)는 21일 맨해튼 헌터칼리지에서 최종 표결을 실시하고, 인상안을 찬성 5표, 반대 4표로 가결했다. 인상안에 따라 오는 10월 1일부터 내년 9월 30일 사이 아파트 리스를 갱신할 경우, 1년 연장시 렌트를 3.0%까지 올릴 수 있다. 2년 연장하게 되면 첫 해에는 2.75%, 이듬해에는 3.20% 올릴 수 있다. 렌트안정법 적용을 받는 로프트의 경우에도 같은 인상률을 적용할 방침이다. 당초 RGB는 지난 4월 리스 1년 연장시 8.25%, 2년 연장시 15.75%까지 렌트를 올릴 수 있도록 허용하는 방안을 제안했었다. 인플레이션 영향에 보험료·재산세·수리비용 등 집주인이 건물을 운영하는 데 드는 비용이 대폭 늘어났다는 것이 높은 인상률을 제안한 이유였다. 그러나 세입자들의 거센 반발을 불러일으키면서 RGB는 결국 초안보다는 낮은 인상률을 채택했다. 이번에 RGB가 허용한 인상률은 작년보다는 낮아졌다. 지난해 RGB는 아파트 리스 1년 연장은 3.25%, 2년 연장할 경우 5.0% 인상을 허용하며 10년래 최고 수준 인상률을 결정한 바 있다. 예상보다는 낮아졌지만, 2년 연속 3%대 인상률이 결정되자 세입자 옹호 단체들은 분노하고 있다. 전날 표결 현장을 찾은 세입자 권익 단체들은 RGB를 향해 야유를 퍼부었다. 30년간 렌트안정아파트에서 거주한 마티 굿맨(73)은 "이미 렌트는 오를 대로 올랐는데 RGB가 추가 인상을 허용하면서 렌트를 부담하기 어려워졌다"고 말했다. 다만 에릭 아담스 뉴욕시장은 이번 RGB 결정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그는 성명을 내고 "균형을 찾는 일은 쉽지 않지만, RGB가 그렇게 했다고 보인다"며 "진정한 해결책은 더 많은 주택을 짓는 것"이라고 밝혔다. 뉴욕시 조사에 따르면 렌트안정아파트 거주자들의 중위소득은 4만7000달러로, 일반 아파트 거주자(6만3000달러)보다 소득이 적다. 렌트안정아파트 중간 렌트도 1400달러 수준으로 규제가 없는 아파트(1825달러)보다 저렴하다. 김은별 기자 [email protected]렌트안정아파트 인상률 뉴욕시 렌트안정아파트 렌트안정아파트 거주자들 렌트안정아파트 중간
2023.06.22. 21:32
인상률 렌트 렌트 인상률
2023.06.16. 21:05
메트로 애틀랜타 지역의 평균 임금이 지난 1년간 크게 높아졌던 가운데, 이제 인상률이 둔화되고 있다. 애틀랜타 비즈니스 크로니클(ABC)에 따르면 8월 애틀랜타의 임금이 전년 대비 1.5% 올랐지만, 이는 지난 2월 전년 동기 대비 6.6% 인상에 비해 하락한 수치이다. 8월 애틀랜타의 평균 주급은 1124.88달러이며, 작년 8월의 평균 주급은 1108.46달러였다. 애틀랜타의 임금이 지난해보다 상승했지만, 전국 평균에 비하면 낮다. 8월 전국 메트로 지역의 주급 평균은 3.1% 증가했으며, 2월 주급은 전년 동기 대비 5.7% 증가했다. 전국적으로도 인상률이 둔화하고 있지만, 애틀랜타의 경우가 더 도드라진다는 분석이다. ABC는 "인플레이션이 크게 높아져 임금 상승률을 앞지르고 있어 근로자와 기업 모두에게 부담이 된다"고 보도했다. 개인 금융 관리 사이트 '월릿 허브'는 개인소비자물가지수(CPI)를 활용해 전국 대도시 23곳의 인플레이션을 조사했다. 그 결과 전국에서 인플레이션 영향이 가장 큰 지역 순위에서 애틀랜타-샌디 스프링스-로즈웰 지역이 2위를 차지했다. '더 플레이북' 사가 노동통계국의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전국 389개의 대도시 중 거의 70% 달하는 곳이 임금 상승률이 둔화했음에도 불구하고 올해 8월이 지난해 8월보다 임금이 증가했다. 또 약 37%는 최소 5%의 임금 인상을 기록했다. 이 랭킹 상위권에는 선벨트, 중서부, 동부 연안 쪽 지역이 포함됐다. 임금 인상률 15.2%로 1위를 차지한 곳은 버지니아 비치-노포크-뉴포트 뉴스 지역이다. 2위는 12.6%의 상승률을 보인 미시시피의 잭슨 시이며, 3위는 플로리다의 10.5% 인상률의 노스포트사라소타-브래든턴 지역이다. 어거스타-리치몬드 카운티 지역은 7.3% 인상률로 전국 9위를 차지했다. 전국 대도시가 모두 상승세를 보인 것은 아니다. 뉴욕, 샌프란시스코, 워싱턴 D.C. 등 주요 메트로 지역과 더불어 작은 메트로 지역도 하락세를 보였다. 전문가들은 인플레이션이 내년까지 지속할 것으로 예상하는 등 경제적 불확실성이 증가함에 따라 기업들이 급여 인상을 주저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기업은 인재를 잃을 여유가 없지만, 앞으로 지속 불가능한 급여 인상도 피해야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윌리스 타워스 왓슨 PLC'가 1400개가 넘는 미국 기업을 상대로 실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기업들은 2023년, 15년 만에 가장 높은 평균 인상을 위한 예산을 책정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윤지아 기자조지아 인상률 임금 인상률 임금 상승률 애틀랜타 지역
2022.10.12. 14:52
올해 대학 등록금 인상률이 역대급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27일 칼리지보드가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2021~2022학년도 전국 대학 평균 등록금은 4년제 공립대 거주민(In-state) 학생 기준 1만740달러로 전년도 대비 1.6% 밖에 오르지 않았다. 4년제 사립대 평균 등록금은 전년도 대비 2.1% 오른 3만8070달러였다. 2년제 공립대의 경우 1.3% 오른 3800달러였다. 현재 인플레이션을 고려한 평균 등록금 통계를 보면 2021~2022학년도 평균 등록금은 오히려 전년도 대비 저렴해졌다. 물가인상률을 반영해 계산하면, 4년제 공립대의 경우 등록금이 전년도 대비 2.2%, 4년제 사립대는 1.7%, 2년제 공립대는 2.3% 낮아졌다. 보고서에서 10년 단위 통계도 찾아볼 수 있었는데, 4년제 사립대의 경우 2011~2012학년도 기준 평균 등록금이 3만3320달러, 2001~2002학년도 기준 2만6380달러, 1991~1992학년도 기준 1만9360달러로 나타났다. 이는 인플레이션을 고려한 수치로, 10년마다 각각 7020달러(1991~1992학년도에서 2001~2002학년도), 6940달러(2001~2002학년도에서 2011~2012학년도), 4750달러(2011~2012학년도에서 2021~2022학년도)씩 등록금이 오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10년 단위로 봤을 때 대학 등록금 인상폭이 꾸준히 낮아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2020~2021학년도 평균 학자금 보조는 1만4800달러로 나타났다. 이 중 1만50달러는 그랜트(grant)로, 3780달러는 연방 학자금 대출, 880달러는 교육 세액공제, 90달러는 근로 장학금(Work Study) 형태로 지급됐다. 덕분에 4년제 공립대 학생(In-state) 당 평균 학비 지출액(net price)은 2640달러, 4년제 사립대 학생 평균 학비 지출액도 1만4990달러로 2006~2007학년도 이후 최저를 기록했다. 보고서의 공동 저자인 제니퍼 마 칼리지보드 정책 연구원은 “팬데믹 이후 등록학생이 꾸준히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는 가운데 대학들이 등록금을 동결하거나 낮추는 노력을 보이고 있다”고 지적했다. 심종민 기자등록금 인상률 대학 등록금 2012학년도 기준 2002학년도 기준
2021.10.27. 17: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