캘리포니아 레이크우드의 한 시의원이 연방 국경수비대(U.S. Customs and Border Protection·CBP) 요원들이 이유 없이 자신의 보트를 수색하고 신분증을 요구했다며, 이는 인종차별적 행위라고 공개적으로 비판했다. 데이비드 아레야노(David Arellano) 시의원은 지난 7월 15일 페이스북에 올린 글에서, 친구와 함께 항구 근처에서 보트를 타고 휴식을 취하던 중 전술 장비를 갖춘 CBP 요원들이 접근했다고 밝혔다. 아레야노에 따르면, 요원들은 “어디로 가느냐”고 묻고, 곧이어 “서류를 확인하라”는 말을 한 뒤 두 명이 배에 올라와 신분증을 요구했다. 그는 “설명도, 이유도 없었다. 그저 피부색 때문에 의심받은 것”이라며 “나와 친구 모두 충격을 받았다”고 말했다. 신분증을 확인한 요원들의 태도는 곧 사과로 바뀌었지만, 아레야노는 “이미 마음의 상처는 남았다”고 했다. 그는 자신이 태어나고 자란 미국 시민이며 공직자임에도 “그 순간 나는 그저 ‘브라운(Brown·라틴계)’ 사람일 뿐이었다”고 했다. 이에 대해 국토안보부(DHS) 대변인 트리샤 맥러플린은 8월 6일 성명을 통해 “해안 국경을 지키는 CBP 요원들을 근거 없이 인종차별로 몰아가는 것은 부끄럽고 잘못된 일”이라며 “이는 차량을 단속할 때 운전면허증을 요구하는 것과 유사한 합법적 절차였으며, 요원들은 전문성과 예의를 갖춰 행동했다”고 반박했다. DHS는 이번 점검이 정기 해상 단속의 일환으로, 밀수범들이 일반 선박에 섞여 활동하는 경우가 있어 무작위 검문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아레야노는 이번 조치가 무작위라고 보지 않는다며, “이는 수백만 명의 라틴계 미국인들이 매일 겪는 현실”이라며 “우리는 서로를 존중과 존엄, 품위를 갖고 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AI 생성 기사레이크우드 국경수비대 레이크우드 시의원 캘리포니아 레이크우드 인종차별적 행위
2025.08.09. 7:00
한인 대학생 레베카 리(이예은)는 최근 애틀랜타 '폰스 시티 마켓'에 있는 일본 라면 식당에 갔다가 황당한 일을 겪었다. 후에 식당에서 찍은 사진을 보니, 뒤에 앉아있던 어른이 아이에게 '인종차별적 제스처'를 가르치고 있던 것이다. 이 씨는 지난 13일 자신의 트위터에 "잠깐만…여기 줌인(Zoom-in)해보자"라는 캡션과 함께 자신이 찍은 사진을 올렸다. 이 씨 뒤에 찍힌 사람들은 일명 'Chinky Eyes'라고 불리는 동양인을 비하하는 눈 찢기 제스처를 하고 있던 것이다. 사진 속 어른은 아이에게 해당 제스처를 가르치는 것처럼 보였다. 이 트위터 게시물은 22일 오후 현재 51만이 넘는 '좋아요'를 받았으며, 7만번 넘게 리트윗되면서 폭발적인 반응을 얻고 있다. 이 씨는 언론 매체 '투데이 푸드'에 "식당에 있을 당시 내 뒤에서 웃음소리가 들렸지만, 일반적인 가족 외식이라고 생각했다"며 "내 앞에 앉아 있던 친구도 당시에는 저런 일이 있었는지 몰랐다"고 전했다. 이 씨는 이어 "공공장소에서, 그것도 아시안 식당에서 대놓고 인종차별적 제스처를 보였다는 게 믿기지 않는다. 상처를 안 받았다고 하면 거짓말"이라고 덧붙였다. 트위터 사용자들은 해당 게시물에 대해 자신의 의견을 피력했다. 어떤 사용자는 "사진 한장만 보고 판단할 수 없다. 그냥 눈 주위를 마사지하는 방법을 가르치고 있는걸 수도 있다"라는 반응부터 자신이 당한 인종차별과 그에 대응하는 방식까지 다양했다. 한편 눈을 찢는 듯한 제스처는 오랜 기간 동양인을 비하하는 인종차별적 행위로 인식되어왔으며, 최근까지도 텔레비전 방송 또는 운동 경기 중에 동양인을 놀리거나 비하는 장면을 볼 수 있었다. 윤지아 기자인종차별 제스처 인종차별적 제스처 인종차별적 행위 트위터 사용자들
2022.11.22. 15: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