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최신기사

개학 앞둔 이민자 가정 불안 커져

뉴욕시 공립교 개학이 약 일주일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이민자 가정의 불안감이 높아지고 있다.   최근 뉴욕시 공립 초등학교에 다니는 7세 아동까지 이민세관단속국(ICE)에 체포되는 등 학생들의 체포 사례가 늘어나자 불안감이 증폭되는 것이다.   앞서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 출범 이후 ICE 단속이 강화되자 일부 이민자 학부모들은 불안한 마음에 자녀를 학교에 보내지 않기도 했다.     이번 학년도에도 비슷한 현상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데, 이에 니콜 브라운스타인 시 교육국 대변인은 “학교는 안전한 공간이며, 모든 아이들은 신분과 관계 없이 교육받을 권리가 있기 때문에 학교에 보낼 것을 권장한다”고 강조했다. 시 교육국 웹사이트에 따르면, 법적으로 절대적인 필요성이 있는 경우(사법 영장이 제시된 경우 등)를 제외하고는 ICE가 학교에 출입하는 것이 허용되지 않는다.     또 학교가 학생이나 가족의 이민 신분을 추적하지 않으며, 법적으로 필요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학생 정보를 공개하지 않는 것이 원칙이다.   교육국 규정에 따르면, ICE 요원이 학교에 도착하면 경비원은 즉시 교장에게 보고하고, 요원에게 건물 밖에서 대기하도록 요청해야 한다. 교장은 추가 조치를 취하기 전에 학교 법률 고문과 상의해야 한다.   교육 전문가들은 학부모에게 자녀의 비상 연락망(emergency contact)을 항상 최신 상태로 유지할 것을 권장한다. 만약 자녀가 학교에 있는 동안 부모가 ICE에 체포되어 자녀를 데리러 갈 사람이 없을 경우, 학교는 비상 연락망에 등록된 사람에게 연락을 시도한다. 이민자 옹호 단체와 학교 관계자들은 “신뢰할 수 있는 성인의 이름과 전화번호를 비상 연락망에 추가할 것”을 권장했다.     아동 권익옹호 단체(Advocates for Children)는 “학부모들은 이민 관련 구금 가능성이 있는 약속 전에 학교와 연락을 취해보는 것이 좋다”며 “이럴 경우 교육국은 가족을 법률 지원 및 기타 자원과 연결해줄 수 있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자녀의 임시 보호자를 미리 지정해두는 것도 중요하다. 법률 전문가들에 따르면, 지정된 보호자가 없는 상태에서 부모가 구금되면 자녀가 위탁 가정으로 보내질 수 있다. 뉴욕 법률 지원 단체는 “많은 이들이 안전 계획을 미리 생각하지 않지만, 구금이나 추방 등 실질적 문제가 발생하기 전에 미리 준비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윤지혜 기자 [email protected]이민자 불안 이민자 옹호 일부 이민자 가운데 이민자

2025.08.25. 19:43

성탄이브 혹한에 '이민자 밀어내기'

미국에서 중남미 불법 이민자 문제가 여전한 가운데 공화당 주지사가 혹한의 크리스마스이브에 이들 이민자를 버스에 태워 카말라 해리스 부통령 관저 앞에 내려주는 시위를 이어갔다.   25일 폭스뉴스와 지역 매체 ABC7에 따르면 불법 이민자를 태운 버스 3대가 전날 워싱턴DC 해리스 부통령 관저 앞에 도착해 이들을 내려주고 떠났다. 이날 워싱턴DC 날씨는 1989년 이후 두 번째로 추운 성탄 이브를 기록했다. 특히 일부 이민자는 반팔 T셔츠 차림이었다고 언론들은 전했다.   이 소식을 접한 한 지역 구호단체가 이들을 인근 교회로 안전하게 이송했다. 이 단체는 공화당 소속 그레그 애벗 텍사스 주지사가 불법 이민자들을 버스에 태워 강추위 속에서 부통령 자택 앞에 내려준 것이라고 밝혔다.   애벗 주지사의 이런 행동은 조 바이든 행정부의 불법 이민자 입국 정책에 대한 항의 차원에서 이뤄진 것이다.   그간 일부 남부 지역의 공화당 주지사들은 국경을 통한 중남미로부터의 불법 이민을 정부가 강력하게 대응하지 않고 있다고 강한 불만을 제기하면서 민주당 소속 기관장이 있는 지역으로 이민자들을 이송하는 식으로 항의해왔다.   앞서 지난 9월에도 애벗 주지사는 텍사스로 유입된 불법 이민자를 버스에 태워 해리스 부통령 관저 앞으로 보냈었고, 더그 듀시 애리조나 주지사와 공화당 차기 대선 주자로 유력한 론 디샌티스 플로리다주지사도 이런 식의 항의를 한 바 있다.   애벗 주지사는 최근 바이든 대통령에게 서한을 보내 "국경이 안전하다는 거짓말을 멈추고 즉시 연방 자산을 이곳에 배치해야 한다"면서 "더 많은 무고한 생명을 잃기 전에 남부 국경을 보호하라는 헌법이 명령한 의무를 수행하라"고 촉구했다.   이에 국토안보부(DHS)는 전날 성명에서 "우린 국경에서 이민.공중보건 관련 법의 완전한 이행을 지속하고 있다"며 "허가 없이 입국을 시도하는 사람은 '타이틀 42'에 따른 법원 명령에 의해 추방되거나 그 절차를 밟게 된다"고 반박했다.   또 현재 2만3000 명의 국토안보부 인력이 남부 국경 안전 확보를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정부는 국경에서의 인신매매 조직을 재판에 회부하기 위해 멕시코 당국과 조율된 단속을 긴밀히 협력하고 있다고 밝혔다.   '타이틀 42'(42호 정책)는 코로나19 초기였던 2020년 3월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도입한 정책으로, 코로나 확산을 막는다는 명분 아래 불법 입국해 미국 망명을 신청한 불법 이민자의 즉각 추방을 허용한 행정 명령이다.   바이든 정부도 이 정책을 이어가다 지난달 워싱턴DC 연방법원이 이 조치가 행정절차법 위반이라며 지난 21일부로 기한 종료를 명령했다. 하지만 이 명령 폐지를 눈앞에 둔 지난 19일 연방대법원이 정책 존치를 주장한 일부 공화당 주 정부 요청에 따라 폐지를 일시 보류하고 심의에 착수하면서 당분간 이 명령은 유지되고 있다.   관세국경보호청(CBP)은 지난달 멕시코와 접한 남쪽 국경에서 모두 23만3740명이 불법 입국하다 적발됐다고 전날 밝혔다. 이는 10월보다 늘었고 11월 기준으로는 역대 가장 많은 수치다. 또 당초 '42호 정책'의 폐지 시효가 다가오면서 미국 남부 국경지대에는 중남미 출신 불법 이민자가 대거 몰려들면서 우려를 낳았다.성탄이브 이민자 불법 이민자들 일부 이민자 이들 이민자

2022.12.25. 20:54

썸네일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