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납세자들이 국세청(IRS)의 임금 압류에 대해 흔히 갖는 오해는 무엇이며, 압류 상황에 놓였을 때 소득을 보호하기 위한 올바른 대응 방법은 무엇인가요? A. 임금 압류와 관련해 진실과 오해를 명확히 아는 것은 압류 중단을 위한 첫걸음입니다. 정확한 정보를 바탕으로 조치를 취하면, 피해를 줄이고 권리를 지킬 수 있습니다. 다음은 IRS 임금 압류와 관련한 대표적인 오해와 그에 대한 사실입니다. 많은 사람들이 고용주가 임금 압류 전에 알리거나 동의를 구해야 한다고 생각하지만, 이는 사실이 아닙니다. 고용주는 IRS로부터 압류 통지를 받는 즉시 절차를 시작해야 하며, 사전에 직원에게 이를 통지할 의무는 없습니다. 또한 IRS가 압류 전 아무런 연락 없이 바로 실행한다고 오해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실제로 IRS는 일반적으로 수차례 사전 통지를 보내며, ‘최종 통지’ 후에도 30일 이내에 대응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최종 통지’를 받으면 더 이상 방법이 없다고 단정하는 납세자도 있습니다. 그러나 청문회를 요청하거나 분할 납부 혹은 합의 절차에 들어가면 압류를 중단시킬 수 있습니다. 이 30일의 유예기간은 매우 중요합니다. 또 다른 오해는 IRS나 가주세무국(FTB)이 압류 전 납세자의 생활비를 고려해 최소한의 금액은 보장해 준다고 생각하는 것입니다. 하지만 정부는 개인 지출을 기준으로 압류 금액을 산정하지 않으며, 법에 따라 가처분 소득의 25% 이하 또는 연방 최저임금의 30배를 초과한 금액 중 더 적은 쪽만 압류할 수 있도록 제한합니다. 임금 압류로 인해 해고될 수 있다고 우려하는 이들도 많지만, 단일 압류를 이유로 해고하는 것은 연방법상 금지되어 있습니다. 만약 고용주가 이를 어길 경우 최대 1000달러의 벌금과 1년 이하의 징역형을 받을 수 있습니다. 압류 대상에 대한 오해도 있습니다. 많은 이들이 세금이나 양육비만 해당된다고 생각하지만, 학자금 대출, 법원 벌금, 민사 판결금 등도 압류 대상입니다. 정부는 법원 명령 없이도 압류할 수 있고, 민간 채권자 역시 법원 판결을 받은 후 임금 압류를 집행할 수 있습니다. 여러 채무에 대한 압류가 동시에 이뤄질 수 있다는 점도 알아야 합니다. 이 경우 실질 소득이 급격히 줄어드는 것은 물론, 고용 안정성에도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압류를 막기 위한 방법 중 하나는 파산 신청입니다. 파산 절차에 들어가면 ‘자동 중지 조치(automatic stay)’가 발동되어 대부분의 압류가 일시적으로 중단됩니다. 다만 장기적인 해결을 위해선 전문가 상담이 필수입니다. 임금 압류는 영구적인 조치가 아니며, 채무 상환이나 법원의 명령에 따라 중단될 수 있습니다. 한편 직장을 옮기면 압류를 피할 수 있다고 믿는 경우도 있지만, 새로운 고용주가 IRS 통지를 받으면 압류는 그대로 이어집니다. 또한 압류 대상과 금액은 항상 정확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대상자 오류나 계산 실수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즉시 이의를 제기하고 정정 절차를 밟는 것이 중요합니다. 임금 압류는 개인의 재정에 중대한 타격을 줄 수 있으므로, 무엇보다 신속하고 정확한 대응이 필요합니다. 이러한 상황에 직면했다면, 세금 문제에 정통한 전문가와 상담하는 것이 가장 현명한 대처입니다. ▶문의:(213)383-1127 제임스 차 / 공인 택스솔루션 스페셜리스트택스클리닉 임금 압류 임금 압류로 압류 통지 압류 금액
2025.07.19. 22:51
지난해 말 기준 가주 근로자들의 평균 임금이 1년 전보다 6.5% 오르며 전국 5위 수준의 인상률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고용 증가율은 전국 평균에 못 미쳐, 고임금과 일자리 부족이라는 엇갈린 흐름이 나타나고 있다. 노동통계국(BLS)이 최근 발표한 2024년 4분기 고용 및 임금 통계에 따르면, 가주 주당 평균 임금은 1872달러로 전년 대비 6.5% 상승했다. 이는 전국 평균 상승률인 5%를 크게 웃돌며, 와이오밍(12.4%), 워싱턴(8.7%), 아이다호(8.3%), 오리건(6.6%)에 이어 다섯 번째로 높은 수치다. 이처럼 강한 임금 상승은 가주의 높은 물가와 생활비 속에서 근로자들의 불만을 일부 해소했지만, 한편으로는 인플레이션 우려도 키우고 있다. 특히 고소득층과 저소득층 사이의 격차가 더 커질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한편, 전국에서 가장 임금이 낮은 주는 미시시피(1023달러), 아칸소(1153달러), 웨스트버지니아(1159달러) 등으로 나타났으며, 가주보다 경제 규모가 큰 텍사스와 플로리다의 임금은 각각 1488달러(13위), 1405달러(20위)로 집계됐다. 하지만 일자리 증가 속도는 둔화했다. 가주의 2024년 연간 고용 증가율은 0.5%로, 전국 평균(0.8%)에 못 미쳤으며 전체 50개 주 중 28위에 머물렀다. 이는 팬데믹 이후 회복세가 주춤했고 지난해 고용주들이 새로운 행정부가 들어선다는 불확실성 때문에 신중한 입장을 취한 것으로 풀이된다. 고용이 가장 빠르게 늘어난 주는 알래스카(1.7%)였고, 메릴랜드와 로드아일랜드(1.6%), 델라웨어, 뉴욕, 텍사스(1.5%) 등이 뒤를 이었다. 반면 아이오와, 워싱턴 DC, 매사추세츠, 콜로라도, 미시간 등은 오히려 고용이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가주는 증가율은 높지 않았으나 여전히 국내 최대 고용 규모를 유지하고 있다. 2024년 말 기준 총 1820만 명이 일자리를 가진 것으로 집계돼, 국내 전체 노동자의 12%가 가주에 집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가들은 “고소득 일자리는 많지만, 신규 채용이 정체되며 일반 소비자들이 느끼는 체감경기는 개선되지 않고 있다”며 “2025년에도 물가와 고용 사이의 불균형이 지속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조원희 기자상승률 임금 임금 상승률 임금 통계 평균 임금
2025.06.08. 19:00
내년 1월부터 콜로라도 주전역의 근로자 시간당 최저 임금이 현행보다 39센트 인상된다. 덴버 지역 언론 보도에 따르면, 매년 인상되는 주 최저 임금은 2024년에 시간당 14.42달러였으나 2025년 1월 1일부터는 39센트가 올라 시간당 14.81달러가 된다. 이에 따라 전체적으로 정규직 근로자의 경우 연간 811달러가 오르게됨으로써 최저 연소득은 3만804달러가 된다. 대부분의 최저 임금 근로자가 처음으로 연소득이 3만달러를 넘게 되는 것이다. 팁을 받는 사람들도 시간당 39센트가 인상돼 1월 1일부터는 시간당 11.79달러를 받게 된다. 하지만 덴버, 에지워터, 볼더 또는 통합되지 않은(unincorporated) 볼더 카운티에서 일하는 근로자들은 주전체 최저 임금보다 조금 더 받는다. 덴버 시와 카운티의 근로자들은 시간당 최저 임금이 내년 부터 2023년 보다 52센트가 더 올라 콜로라도에서 가장 높은 수준인 18.81달러를 받게 된다. 이는 세금 공제전 연간 1,081달러가 더 오르게 돼 최저 연소득은 3만9,124달러가 되는 것이다. 덴버 시와 카운티에서 팁을 받는 사람들도 52센트가 인상돼 이들의 시간당 최저 임금은 15.79달러가 된다. 에지워터 카운티 근로자의 시간당 최저 임금은 16.52달러(팁 근로자는 13.50달러), 볼더 카운티는 시간당 15.57달러(팁 근로자는 12.25달러), 통합되지 않은 볼더 카운티의 경우는 16.57달러(팁 근로자는 13.55달러)를 받게 된다. 볼더시의 경우, 지금까지는 주 전체 최저 임금을 따랐으나 볼더 시의회가 주전체 최저 임금보다 약 5% 높은 시간당 15.57달러의 자체 최저 임금을 적용하는 조례를 승인해 주전체 최저 임금 보다 더 높아지게 됐다. 이은혜 기자콜로라도 임금 콜로라도 주전역 근로자 시간당 콜로라도 최저
2024.12.24. 9:13
가주의 ‘최저 임금 인상안’ 부결 의미 11월5일 가주 선거에 상정됐던 ‘주민발의안 32’가 부결됐다. 기존 시간당 16달러인 최저임금을 18달러로 올리자는 내용이다. 투표 결과는 박빙이었다. 반대가 50.8%, 찬성이 49.2%로 집계됐다. 가주에서 최저 임금 인상안이 좌절된 것은 이변이라고 볼 수 있다. 그동안 나왔던 인상안들은 대부분 큰 저항 없이 시행됐다. 이로 인해 가주의 최저 임금은 2010년 이후 두 배로 올랐다. 시간당 16달러인 현 최저 임금은 전국 최고 수준이다. 더구나 대형 패스트푸드 체인은 20달러, 의료계 종사자는 23달러로 최저 임금 기준이 훨씬 높다. 15년째 7.25달러인 연방 최저임금과는 이미 상당히 격차가 크다. 이번 부결 결과를 두고 해석이 분분하다. 먼저 가주 유권자의 보수화 경향이 시작됐다는 분석이다. 이번 선거에서는 33과 36도 관심을 모았다. 주민발의안 33은 렌트 컨트롤의 확대, 36은 경범죄자 처벌 강화 등이 골자였다. 결과는 33은 압도적 표 차의 부결, 36은 압도적 표 차의 통과됐다. 모두 보수 진영에서 원하던 결과다. 특히 33의 통과는 최저임금 인상안이 부결된 것만큼이나 예상 밖이라는 반응이 나온다. 가주의 진보 일변도 정책의 부작용이 커지자 유권자들이 제동을 걸기 시작했다는 것이다. 다른 하나는 ‘학습 효과’다. 최저 임금이 15년간 배로 올랐지만 생활의 질은 별로 나이진 것이 없다는 사실이다. 최저 임금이 인상되면 주거비와 물가도 함께 오르는 패턴이 반복됐다. 결국 명목 소득은 늘었지만 실질 소득은 제자리걸음인 결과로 이어졌다. 최저 임금 인상에는 양면성이 있다. 저임금 근로자의 소득 증가라는 긍정적 효과가 있지만, 일자리 감소로 인한 고용 불안도 상황도 초래한다는 사실이다. 고용주 입장에서는 어떻게든 인건비 증가 부담을 줄여야 하기 때문이다. 최저임금 인상안의 부결은 유권자들이 이런 악순환에 대한 피로감을 호소한 것이다.사설 임금 인상 최저임금 인상안 부결 의미 저임금 근로자
2024.11.20. 18:44
오버타임(초과근무) 수령 임금 기준이 지난 1일부터 인상됨에 따라 최소 100만명 이상의 근로자가 오버타임 수혜 대상에 포함됐다. 연방 노동부가 지난 4월에 발표한 새 오버타임 임금 규정이 지난 1일부터 적용됐다. 이에 따라 주당 844달러, 연간 4만3888달러의 급여를 받는 근로자들도 주당 40시간 이상 근무를 하면 시급의 1.5배를 오바타임 수당으로 받을 수 있게 됐다. 이전에는 주당 684달러와 연봉 3만5568달러였다. 특히 2025년 1월엔 수혜 기준이 주당 1128달러, 연간 5만8656달러로 상향 조정돼 더 많은 근로자가 혜택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주디 콘티 전국고용법프로젝트(NELP) 정부 업무 담당 이사는 “의료·청소·패스트푸드·요식·숙박 업종에 종사하는 근로자들이 수혜를 입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인상 전에는 정규직 근로자의 약 15%만이 오버타임 수령 자격이 있었다. 서재선 기자 [email protected]초과근무수당 임금 시간제 근로자 초과근무수당 임금
2024.07.14. 19:17
최근 캘리포니아 대법원에서 오랜만에 고용주들에게 유리한 판결이 나왔다. 캘리포니아에서 직원이 임금 관련 소송을 제기할 경우, 미지급 임금 외에도 ‘임금 명세서 법 위반’이라는 명목으로 벌금을 지불할 의무가 생기는데, 대부분 ‘고의적이고 의도적인’ 위반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무조건 벌금을 지불하게 되는 경우가 많았다. 예를 들어, 점심시간을 30분 제공해야 하는데 직원이 업무 때문에 25분 밖에 못 쉬었을 경우, 법적으로 한 시간의 급여를 추가 지급해야 한다. 이를 프리미엄이라 부른다. 하지만 프리미엄을 지급하지 않았을 경우, 당연히 임금 명세서에서도 이 부분이 누락되어, 결국 부정확한 임금 명세서를 제공한 것이 되고, 이는 임금 명세서 법 위반이 된다. 임금 명세서 법은 캘리포니아 노동법 226조에 명시되어 있는데, 원칙적으로 벌금은 ‘고의적이고 의도적인’ 위반에만 적용하게 되어있다. 하지만 그동안의 법원은 고용주가 해당 임금 명세서를 제공한 사실을 인지하고 있었다면 고의성이나 의도와 상관없이 위반에 대한 벌금을 내도록 판결해왔다. 이런 과거 판례를 뒤집는 판결이 최근 나왔다. 캘리포니아 대법원 판결에 따르면, 고용주가 직원들에게 정확한 임금 명세서를 제공하고 있다고 믿었고 법을 준수하려는 노력을 해왔다면 임금 명세서 법 위반에 대해 고용주가 ‘선의의 실수’를 주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벌금을 내지 않을 가능성도 열리게 되었다. 임금 명세서 법 위반에 대한 벌금은 최대 4000달러이고, 특히 집단 소송의 경우 총 벌금 액수가 엄청나게 늘어날 수 있기 때문에 이번 판결은 고용주에게 중요하다. 다만 임금 명세서 법 위반이 ‘선의의 실수’였다고 주장하기 위해서 고용주가 입증해야 할 것이 있다. 회사의 실수가 법적인 불확실성으로 인해 발생한 것이며, 이러한 실수가 ‘합리적’이었다는 점을 객관적으로 입증해야 한다. 다시 말해, ‘법을 잘 몰라서 법을 어긴 것이지 일부러 어긴 것은 아니었다’는 변명은 통하지 않지만, ‘법이 불확실한 상황에서 우리는 법을 지키고 있다고 합리적으로 믿고 있었다’는 주장을 입증할 경우 벌금을 안 낼 수 있게 되었다. 이번 대법원 판결에 따라 더욱 중요해진 것은 고용주의 노동법 준수 노력을 기록하고 문서화해야 한다는 점이다. 임금 명세서 샘플에 대해 내부 감사나 변호사를 통한 감사를 진행하고 노동법 226조에 명시된 요건을 충족하고 있는지 확인하는 절차가 필요하다. 부정확한 임금 명세서의 근거가 될 수 있는 점심 및 휴식 시간, 오버타임 계산 등 기본적인 급여 관행의 적법성에 대한 검토도 필요하다. 이러한 감사 및 개선 조치를 문서화하고 보관하여, 고용주가 법을 준수하기 위한 선의의 노력을 했음을 입증할 수 있도록 준비하는 것이 중요하다. ▶문의: (213)700-9927 박수영 Barnes & Thornburg 변호사명세서 임금 임금 명세서 미지급 임금 해당 임금 노동법
2024.06.18. 20:48
캘리포니아 전역에서 ‘임금 착취(wage theft)’ 단속이 강화될 전망이다. 가주 산업관계부(DIR)는 최근 주 산하 17개 카운티 검찰청에 임금착취 관련 업무 지원금으로 800만 달러가 넘는 예산을 집행했다. 지원금이 가장 많이 배정된 곳은 LA카운티 지역으로 160만 달러가 넘게 배정됐다. LA카운티 검찰청에 73만3351달러, LA시 검찰청에 31만7543달러, 롱비치시 검찰청에 41만4392달러가 각각 전달됐으며 이외에도 정부 법률기관인 LA카운티카운슬에도 47만5000달러를 지급했다. 또 오렌지카운티와 샌디에이고카운티 검찰청에 75만 달러씩 배정하는 등 총 17개 시 및 카운티 검찰청에 지급했다. DIR에 따르면 해당 기금은 임금 착취 관련 케이스를 집행하는 데 필요한 경비 등으로 사용된다. 각 검찰청은 업무 지원금이 추가된 만큼 관련 케이스에 대한 기소 건수를 늘리기 위해 고용주 대상 단속 활동도 확대할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가주노동청 릴리아 가르시아-브로워 청장은 “임금착취는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문제”라며 “지원금 배정은 지역사회에 이 문제가 해결되는데 도움이 될 수 있게 마련된 것이다. 기금을 받은 각 검찰청은 해당 범죄를 근절하겠다는 의지로 일하고 있다”고 밝혀 단속 활동이 활발해질 것임을 알렸다. 한편 LA카운티 검찰청은 지난해부터 임금착취 전담 부서(LJU)를 설치해 집중 단속을 벌이는 중이다. LJU는 초과 근무 수당 미지급, 최저 임금 위반, 불법 공제, 수당 지급 거부 등 임금 착취 관련 행위만을 전담하는 검사, 수사관 등으로 구성된 부서다. 이들은 당시 첫 사례로 원하청 관계인 다운타운 의류업체 2곳의 한인 고용주들을 기소했다. 〈본지 2023년 9월7일자 A-1면〉 LJU는 해당 한인 업주들의 임금 착취 행위를 중절도(grand theft)로 취급, 체불 시 형사상 책임을 지울 수 있는 법(AB1003)에 따라 문서 위조에 따른 위증 혐의, 임금착취 등의 혐의로 기소됐다. 특히 AB1003이 규정하는 직원의 정의는 ‘독립 계약자(independent contractor)’까지 포함하고 있어 임금 체불 단속 활동이 자주 이뤄지는 봉제공장 등 한인 의류업체들뿐만 아니라 독립 계약자를 채용하는 한인 고용주들의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 이밖에 가주는 각종 노동법 위반 등으로 벌금 납부, 보상금 지급, 임금 체불 등이 있는 고용주에게 가주 노동청이 직접 선취권을 설정할 수 있는 법(SB572)도 시행하고 있다. 한편, 가주노동청은 올해부터 임금 착취 피해를 온라인으로 신고할 수 있는 웹사이트를 개설했다. 임금 착취 피해를 입었을 경우 가주산업관계부(DIR) 웹사이트(www.dir.ca.gov)에서 ‘File a claim for unpaid wages(임금 체불 청구)’를 클릭한 뒤 서류를 작성하면 된다. 장연화 기자 [email protected]주정부 임금 임금착취 전담 샌디에이고카운티 검찰청 임금착취 관련
2024.05.30. 20:54
아시아태평양계(AAPI)여성들이 백인 남성에 비해 적은 급여를 받고 있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됐다. 여성인권 운동을 전개하는 비영리단체 전미여성법률센터(NWLC)는 최근 아태계 문화유산의 달을 맞이해 아태계 여성이 겪는 임금 격차가 심각함을 보여주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AAPI 여성과 백인 남성 간의 평균 임금 격차는 7%에 달했다. 이는 백인 남성이 1달러를 벌 때 같은 시간 동안 같은 노동을 하는 AAPI 여성은 93센트를 번다는 것. 이를 40년간의 커리어를 쌓는다고 가정하면 평생 10만 달러 이상의 손해를 본다는 의미다. 한인 여성의 평균 소득은 6만5467달러로 백인 남성과의 격차는 5%였다. 이를 평생 소득으로 환산하면 차이는 14만8440달러에 달한다. 일본계 여성의 평균 소득은 6만6597달러로 한인과 거의 차이가 없었다. 심각한 임금 격차를 겪고 있는 인종은 대부분 동남아시아계로 알려졌다. 미얀마계, 캄보디아계, 라오스계 등은 모두 백인 남성과 비교했을 때 70%에도 미치지 못하는 임금을 받고 있고 이 때문에 평생 소득의 격차 또한 100만 달러 이상이었다. 가장 큰 임금 격차를 보인 것은 부탄계. 이들의 평균 소득은 3만3903달러로 백인 남성소득의 절반 이하였다. 평생 소득의 격차는 140만 달러를 넘어섰다. 사라 자베이드 NWCL 연구분석관은 “아시아계 여성들이 겪는 차별은 본인의 문화적 배경에 따라 완전히 달라진다”며 아태계 내부에서도 훨씬 더 심각한 임금 격차를 겪는 인종이 있음을 지적했다. NWCL은 이러한 임금 격차를 줄일 수 있는 방안 중 하나로 ‘임금 투명화법’을 내놨다. 고용주가 구인 공고를 낼 때 반드시 임금 최저 수준과 최대 수준을 공표하도록 하는 법이다. 자베이드 연구분석관은 “임금 격차는 서로가 서로의 임금을 모를 때 생겨나는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그는 임금 격차를 줄이려면 다양한 전략이 필요하다며 “단 한 가지의 방법으로 해결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한편, 중국계, 대만계, 인도계, 말레이시아계 등은 백인 남성과 비교했을 때 오히려 더 많은 돈을 버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원희 기자여성 임금 백인 남성소득 임금 격차 한인 여성
2024.05.28. 22:59
물가와 임금은 대개 같은 방향으로 움직인다. 물가가 오르면 임금도 따라 올라가는 구조라는 의미에서다. 만약 물가는 올랐음에도 임금 수준이 제자리라면 실질임금의 감소 효과가 나타나게 된다. 임금 생활자의 ‘삶의 질’은 나빠지는 것이다. 하지만 물가와 임금 수준의 이상적인 교차점을 찾는 게 쉬운 일이 아니다. 고용주와 고용인의 이해관계가 상충하기 때문이다. 양측의 갈등 상황이 벌어지는 것도 이 지점에서다. 가주 프랜차이즈 패스트푸드 업계에 난리가 났다. 대형 업체들은 4월1일부터 직원의 시간당 최저 임금을 20달러로 올려야 하기 때문이다. 적용 대상은 기본적으로 가주를 포함해 전국에 매장이 60개 이상인 대형 업체들이다. 그런데 ‘패스트푸드 업체’의 개념을 두고 일부 혼선도 빚어지고 있다. 규정엔 ‘테이블 서비스를 하지 않고 고객이 음식을 먹기 전 계산을 하는 업소’ 등으로 되어 있지만 적용이 애매한 경우도 있기 때문이다. 주 정부 측은 ‘최저 임금 20달러’ 적용 대상 프랜차이즈 패스트푸드 매장이 3만 개, 수혜 직원은 55만7000명 가량 될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당연히 대상 업체들은 반발하고 있다. 최저 임금을 한 번에 25%나 올리는 것은 지나치다는 것이다. 인건비 상승 부담을 줄이려면 앞으로 감원과 가격 인상이 불가피하다고 주장한다. 실제로 이미 가격을 올렸거나 직원을 해고한 업체도 있다. 소규모 요식업소 업주들도 덩달아 고민이다. 적용 대상에선 빠졌지만 어떤 여파가 미칠지 예상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최저 임금 20달러’는 정말 과도한 수준일까? 필자가 사회생활을 시작한 30여년 전 LA의 시간당 최저 임금은 4.25달러였다. 당시 레귤러 개스의 갤런당 가격은 1달러 안팎, LA한인타운의 웬만한 2베드룸 아파트 월 임대료는 500~700달러 수준이었다. 한 시간 일한 최저 임금으로 자동차에 개스 3.5갤런을 넣을 수 있었고, 2베드룸 아파트 렌트비를 벌려면 120시간 이상 일을 해야 했다. 이에 현재의 최저 임금 수준, 개스 가격, 아파트 렌트비 등을 대입해 보면 별반 차이가 없다. 임금 생활자의 ‘삶의 질’ 측면에서 보면 30여 년 전과 크게 달라진 것이 없다는 의미다. 지난해 인플레이션 문제가 불거졌을 때 ‘그리드플레이션(Greedflation)’때문 이라는 지적이 있었다. 기업들의 탐욕에 대한 비판이었다. 즉, 엔데믹으로 수요가 급증하자 이를 틈 타 수익을 극대화하려는 기업들이 비용 증가 이상으로 판매 가격을 올린 것이 인플에이션 원인이라는 것이다. 인플레이션 심화로 가장 고통받은 것은 임금 생활자들이었다. 그러다 구인난으로 임금이 오르고 기업 수익률이 하락세를 보이자 기업을 옹호하는 측에서 ‘웨이지플레이션(Wageflation)’이라는 반발이 나왔다. 임금 상승률이 수익 증가율을 앞지르고 있다는 주장이다. 기업이 이익을 얻기 위해 지출하는 비용은 다양하다. 인건비 외에 재료비용, 물류비, 감가상각비용, 금융비용 등도 필요하다. 세금과 에너지 비용도 포함된다. 기업의 수익률 하락 원인이 임금 상승 때문이 아니라 금리 인상으로 인한 금융비용 증가, 공급망 문제로 인한 재료비 상승 탓일 수도 있는 것이다. 실제로 최근에는 자동화 등을 통해 생산성이 개선되면서 기업의 인건비 상승 부담을 상당히 덜어주고 있다. 지난 1일 공화당 소속의 한 가주 상원의원은 “만우절 농담이 아니다”는 말로 시작되는 보도자료를 냈다. 시간당 최저 임금 20달러는 부정적 영향이 더 많다는 주장이었다. 그러나 시간당 20달러를 받아도 소득은 가주 빈곤선을 조금 벗어나는 수준에 불과하다. 연방노동통계국이 밝힌 가주 4인 가족 기준 연간 최저 생계비가 3만6900달러이기 때문이다. 인상 전의 시간당 16달러로는 어림도 없다. 개빈 뉴섬 주지사가 지난해 9월 법안에 서명하며 “수혜자 대부분이 가장”이라고 강조한 것도 이런 맥락이다. 김동필 / 논설실장뉴스 포커스 시간 임금 임금 수준 임금 생활자 최저 임금
2024.04.04. 20:02
일리노이 주 여성들은 남성에 비해 80%의 임금을 받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중에는 이 같은 임금 격차가 더욱 심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연방 노동국 최근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22년 기준 일리노이 주에서 풀타임으로 일하고 있는 여성들의 평균 임금은 남성에 비해 80% 수준에 머물렀다. 지난 2012년부터 2022년까지 10년 간으로 따지면 여성 평균 임금은 남성의 78%에서 85%에 해당됐다. 같은 기간 전국 평균은 81%였는데 2021년 83%가 가장 높은 수준이었다. 일리노이 주 여성들의 남성 대비 임금 수준이 전국 평균에 비해 높았던 때는 2014년과 2015년으로 각각 86%와 83%를 나타낸 바 있다. 시카고 시청의 조사에 따르면 여성 인력이 집중된 의료와 소매, 차일드케어 분야의 경우 소득 수준이 다른 분야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았다. 이 같은 여성 집중 분야의 평균 임금은 2020년 기준 5만1848달러였는데 이는 시카고 평균 임금인 5만9493달러에 비해 15% 이상 낮았다. 반면 남성 인력이 압도적으로 많은 건설 등과 같은 분야에서의 평균 임금은 6만4259달러로 전체 중간 임금에 비해 8%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통적으로 여성이 집중된 분야의 임금이 남성 집중 분야에 비해 낮기 때문에 성별에 따른 임금 차이가 발생하고 있는 것이다. 이런 이유로 인해 자녀를 둔 여성은 시카고에서의 안정된 생활 자체가 힘든 것으로 나타났다. 시카고의 렌트비와 생활비 등을 감안했을 때 성인 한 명이 아이 한 명과 함께 지내기 위해서는 6만5269달러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여성 임금 차별을 완화하기 위해서는 고소득 직종에서 여성 채용을 더욱 장려해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출산 휴직과 아동 양육 지원, 가족 유급 휴가 등을 더욱 강화해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Nathan Park 기자여성 임금 여성 임금 여성 인력 임금 격차
2024.03.12. 13:38
립스틱이나 초콜릿처럼 포장까지 근사한 '삼'이 등장했다. 중앙일보 '핫딜'에서 절찬리에 판매 중인 '로얄 서밋 산양삼'은 제55호 지리적 표시제를 받은 평창 산양삼을 동결건조한 제품으로 원물 그대로 과자처럼 취식이 가능하다. 산양삼은 산삼 씨앗을 산속에 뿌려 오래 키운 삼으로, 인삼의 7~10배 높은 사포닌을 함유하고 있어 면역력을 향상시키고 피를 맑게 하는 효능이 탁월하다. 또한 항암 효과와 항염 효과를 갖고 있어 피부 건강까지 동시에 챙길 수 있다. 로얄 서밋은 옛 임금께 진상하던 평창 산양삼이라는 뜻에서 '로얄(royal)'과 해발 500m 이상에서 삼을 키웠다는 뜻에서 '서밋(summit)'을 합친 이름이다. 삼은 습도와 온도에 민감해 실온 보관이 어렵지만 동결건조할 경우 4~5년 실온 보관이 가능해 보존성이 높아진다. 다만 삼을 너무 급격히 건조하는 경우 돌덩이처럼 딱딱해지는 문제가 생기는데 로얄 서밋은 특허 공법으로 이러한 문제를 해결했다. 뿌리까지 100% 보존한 유일무이한 건조 산양삼인 로얄 서밋 산양삼은 크리스털 케이스에 한 뿌리씩 건조 보관되어 언제 어디서든 간편하게 섭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선물용으로도 그만이다. 쉽게 피로를 느끼는 중장년층에게도, 출산과 육아로 기력이 약해진 육아맘에게도, 감사의 마음을 전하고 싶은 소중한 이에게도, 면역력 회복이 필요한 직장인이나 체력 보강이 필요한 수험생에게도 로얄 서밋 산양삼으로 산양삼의 기운을 선물해 보면 어떨까? 핫딜에서 19달러부터 구입이 가능하다. ▶웹사이트: hotdeal.koreadaily.com ▶문의:(213)368-2611핫딜 산양삼 임금 평창 산양삼
2024.03.03. 18:01
패스트푸드 근로자의 임금 상승으로 소비자들의 외식 부담이 더 커질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됐다. 뉴욕포스트에 따르면 오는 4월 1일부터 패스트푸드 근로자의 최저 시급이 20달러로 오르면 맥도날드의 빅맥(사진)과 같은 패스트푸드 업체의 핵심 상품이 15달러로 상승할 수 있다고 전했다. 패스트푸드 업체 맥도날드와 치폴레는 올해부터 캘리포니아의 식품 판매 가격을 인상할 계획이라고 발표했다. 다만, 구체적인 인상폭은 공개하지 않았다. 전국납세자연맹(NTUF)의 시니어 부사장 브랜든 아놀드는 “패스트푸드 근로자의 최저 시급을 20달러로 의무화한 것은 우려되는 상황”이라며 “인건비를 절약하기 위해 기업들은 제품의 가격을 올리거나 노동 비용을 줄이기 시작할 것"이라 지적했다. 또한, 그는 “빅맥에 15달러를 지불해야 하는 소비자도 피해를 입지만, 패스트푸드 근로자도 실직 위기에 내몰릴 수 있을 것”이라 덧붙였다. 한편, 맥도날드 가맹점주들의 권익 옹호 단체인 전국오너스협회(NOA)는 해당 법으로 캘리포니아 맥도날드 각 매장에서 연간 25만 달러의 손실이 발생할 것이라 전망했다. 정하은 기자 [email protected]종업원 임금 종업원 임금 패스트푸드 근로자 임금 상승
2024.01.24. 20:25
캘리포니아를 포함한 50개 주 중 절반이 내년 최저 임금을 인상한다. 25개 주 중 캘리포니아, 뉴욕, 워싱턴 3개 주의 최저 시급이 타주보다 월등히 높은 시간당 16달러로 오르게 된다. 워싱턴 주는 16.28달러로 시간당 최저 임금이 가장 높다. 오리건주는 최저 임금이 14.20달러지만 물가상승분이 적용된다. 〈표 참조〉 메릴랜드 등 22개 주에서는 1월 1일부터 상향 조정된 새로운 최저 임금이 적용된다. 단 네바다와 오리건의 최저 임금 인상은 7월 1일 발효되고 플로리다는 9월 30일 인상될 예정이다. 전국 50개 주 가운데 20개 주 근로자들은 여전히 연방 최저 임금을 적용받고 있다. 연방 기준 최저 시급은 2009년 이후 시간당 7.25달러를 유지하고 있다. 이들 주는 주로 앨라배마에서 위스콘신에 이르는 남부와 중서부에 몰려 있다. 내년 25개 주의 최저 임금이 인상되면 연방 최저 임금을 받는 주와 임금 격차는 더 커진다. 실제로 캘리포니아, 코네티컷, 메릴랜드, 뉴저지, 뉴욕, 워싱턴 등 6개 주 근로자에게는 연방 최저 임금의 두 배 이상인 최저 시급이 보장된다. 특히 캘리포니아의 현재 최저 임금은 시간당 15.50달러로 내년에 3.23% 오른 16달러로 인상된다. 더욱이 최소 60개 이상 지점을 둔 패스트푸드 업체 직원 경우 내년 4월 1일부터 최저 시급이 30% 오른 20달러가 된다. 캘리포니아 주 최저 임금이 이미 전국에서 가장 높은 가운데 4월 1일부터 캘리포니아 패스트푸드 근로자는 업계에서 가장 높은 기본급을 보장받게 된다. 또 6월 1일부터는 간호 조무사를 포함한 의료계 종사자의 최저 시급이 23달러로 오른다. 최저 임금이 주정부 시급을 앞서는 도시도 있다. 일례로 덴버는 1월 1일부터 최저 임금을 시간당 18.29달러로 인상해 콜로라도주의 시간당 14.42달러를 넘어선다. 지난해 6월 40년 만에 최고로 솟은 인플레이션으로 많은 사람이 물가상승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황에서 25개 주의 최저 임금 인상이 저임금 근로자들에게 재정적인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설명이다. 인플레이션이 완화 국면에 접어들었지만, 식품비, 임대료, 기타 상품 및 서비스는 팬데믹 이전보다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미국진보센터(Centre for American Progress)에 따르면 2021년 근로자 4명 중 1명은 시간당 15달러 미만을 벌었다. 저임금 근로자 중에는 유색인종과 여성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최저 임금 인상 옹호 단체인 ‘공정한 최저 임금을 위한 비즈니스’의 홀리 스클라 최고경영자(CEO)는 “급여가 오르면 근로자의 소비지출이 늘어나고 이는 곧 기업 매출 증대로 이어진다. 따라서 정부의 최저 임금 인상은 근로자, 기업, 지역사회에 매우 중요하다”고 말했다. 한편, 현재 LA시의 시간당 최저 임금은 16.78달러, LA카운티는 16.90달러다. 시와 카운티 정부는 내년 7월 1일에 연방 노동통계국에서 발표하는 소비자물가지수(CPI-W)를 반영해 최저 시급을 상향 조정한다. 이은영 기자내년 임금 저임금 근로자들 임금 격차 최저 임금
2023.12.27. 19:48
LA지역 임금 착취 근절을 위해 당국이 의류 업체 등록 서류까지 깐깐하게 살피고 있다. 특히 지난 9월 자바시장 한인 업주들이 노동법 위반과 관련해 중범죄 혐의로 기소〈본지 9월 7일자 A-1면〉된 가운데, 업체 등록 서류의 기재 내용이 부정확한 것도 위법 사항 적발 시 기소 근거가 될 수 있어 주의가 요구된다. LA지역 G의류업체는 지난 6일 가주 노동청 산하 가주산업관계부(DIR)로부터 ‘의류업 등록 증명서(Garment Registration Certificate)’ 내용과 관련해 결점이 명시된 경고 편지를 받았다. 벌금 납부 기록을 상세히 기재하지 않은 것이 문제로 지적된 것이다. DIR은 이 편지에서 “증명서 신청 과정에서 결점이 발견됐다”며 “2번 질문에 대한 답변을 다시 작성해서 반환하라”고 명령했다. 의류업 등록 증명 신청서에 명시된 2번 질문은 해당 사업체의 업주(owner), 매니저(manager), 관리자(supervisor) 등이 노동법 위반에 따른 판결, 합의, 벌금, 임금 체불 등의 기록이 있을 경우 빠짐없이 모두 기재해야 한다는 내용이다. 미주한인봉제협회 제니 현 사무국장은 “의류업 등록 증명서 신청 시 거짓 또는 정보를 잘못 기재하는 건 매우 위험한 일”이라며 “특히 최근 검찰도 임금 착취 부서를 신설한 데다 노동청의 봉제 업체 현장 단속도 예전보다 확실히 더 잦아졌기 때문에 업주들의 주의해야 한다”고 말했다. 경고 편지가 발송되면 증명서 발급은 계류된다. 특히 반송 과정에서 증명서 유효 일이 지날 경우 불법 업체로까지 간주할 수 있다. 의류업 등록 증명서는 단순히 의류 사업체 인증 차원을 넘어 해당 업체가 노동법(§ 2673.1) 임금 규정을 인지하고 있다는 점을 증명하는 서류다. 즉, 증명서를 부정확하게 기재한다는 것은 허위 진술 등의 혐의가 적용될 수 있다. DIR 프랭크 폴리치 공보관은 “업주들은 등록 증명 신청서 작성 시 진술 내용이 위증일 경우 처벌을 받겠다는 내용에 서명하게 된다”며 “미작성 등으로 인한 문제가 적발되거나 유효한 증명서 없이 사업을 운영할 경우 민사 또는 형사 처벌을 받을 수 있다”고 경고했다. 특히 당국은 이러한 규정들을 최근 중범죄 기소를 통해 실제 업주들에게 적용하고 있다. 지난 9월 LA카운티검찰이 임금 착취와 체불 사례 등을 전담 수사하기 위해 창설한 노동사법부서(Labor Justice Unit·이하 LJU)가 자바시장 한인 업주를 중범죄 혐의로 기소할 때도 의류업 등록 증명서에 정확한 내용을 기재하지 않은 것을 두고 위증 혐의까지 추가했었다. 가주노동청 에두아르도 마르티네스 수사관은 “당시 한인 업주들은 의류업 등록 증명서도 없이 사업체를 운영했다”며 “특히 등록 신청서에 주요 정보를 제공하지 않은 것도 기소 혐의 중 하나였다”고 전했다. 이러한 규정 강화로 인해 의류 업계 한인 업주들도 매년 제출해야 하는 등록 서류를 신중히 작성할 정도로 바짝 긴장하고 있다. LA지역 봉제공장 한 업주는 “예전에는 이런 서류를 대신 작성해주는 브로커도 있었고 업체 등록 시 이름을 빌려주는 경우도 있었다”며 “하지만 요즘은 문제가 될 수 있기 때문에 각종 서류 작성도 회계사, 변호사 등 전문인의 도움을 받아 정확하게 기재하고 있다”고 말했다. 장열 기자ㆍ[email protected]임금 착취 증명서 신청 임금 착취 착취 근절
2023.11.08. 20:31
종업원 임금 착취에 대한 단속과 처벌이 강화되고 있다. 임금 체불은 물론 오버타임 수당 미지급, 최저 임금 위반, 불법 공제 등의 행위를 뿌리 뽑겠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 가주 노동청은 LA카운티 검찰과 함께 노동사법유닛(LJU)이라는 전담부서까지 만들었다. 상습적이거나 고의성이 확인된 악덕 업주는 형사 처벌까지 하겠다는 의지다. 이런 LJU의 첫 실적으로 발표된 것이 안타깝게도 한인 의류 업체 업주 2명의 체포 소식이다. LJC 측은 이들이 직원 2명에게 임금 950달러 이상을 지급하지 않았고 위증도 했다며 ‘중절도(grand theft)’ 혐의로 기소했다고 밝혔다. ‘중절도’ 혐의는 징역 5년 이상 구형이 가능한 중범죄에 해당한다. 앞으로는 미지급 임금 지불 명령과 벌금 등의 가벼운 처벌로 끝내지 않겠다는 것을 선언한 셈이다. 한인 종사가가 많은 LA지역 의류산업은 노동 당국이 가장 주시하는 업종 가운데 하나다. 영세 업체가 많고 저임금 인력에 대한 의존도가 높기 때문이다. 그러다 보니 최저임금 미준수, 오버타임 수당 미지급 등의 문제가 수시로 불거진다. 지난해 1월부터는 ‘봉제 노동자 보호법’이 시행되고 있을 정도다. 봉제업계의 대표적 임금 착취 수단으로 지적됐던 ‘피스레이트’를 금지한 것이다. ‘피스레이트’란 직원의 근무 시간이 아니라 작업량에 따라 임금을 지불하는 방식이다. LJU 측은 지속적인 단속 방침을 밝히고 있다. 의류업계뿐 아니라 다른 업종으로도 수사 범위를 넓힐 것이 뻔하다. 그러나 철저한 단속과 엄벌만이 능사는 아니다. 위반 사안이 악의적이지 않거나 고의성이 없는 경우에는 정상참작도 필요하다. 업주들은 가주 노동법은 지나치게 고용인 친화적이라며 불만이 많다. 하지만 규정에 맞게 임금을 지불하는 것은 기본이다. 사업체 규모와 관계없이 주먹구구식 직원 관리 방식은 더는 통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사설 중범죄 임금 최저임금 미준수 미지급 임금 저임금 인력
2023.09.13. 19:19
클리블랜드 연방준비은행(연은)은 임금 상승률은 노동 불균형보다 높은 인플레이션을 반영하며 2025년까지 연간 3%로 감소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23일 클리블랜드 연은은 보고서를 통해 “장기 노동시장 균형 모델 추정 편차로 측정한 임금 압력은 이미 완화되기 시작했다”며 이같이 내다봤다. 임금 상승률은 팬데믹 이전보다 여전히 높으나 인플레이션이 최근 정점에서 점차 둔화되고 있는 만큼 임금 수준도 이를 반영할 것이란 분석이다. 마틴 델루카와 윌렘 반 잔드베게 이코노미스트는 보고서에서 “추정 모델의 임금 상승률 전망치는 2025년까지 연간 약 3%로 점진적으로 하락하는 것”이라며 “우리는 임금 증가율의 상승이 인플레이션 상승의 영향을 크게 반영하고 노동 시장 불균형을 반영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발견했다”고 설명했다. 클리블랜드 연은 이코노미스트들은 이어 3% 내외의 임금 상승률이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목표치인 2%의 인플레이션과 일치한다고 해석했다. 이들은 “인플레이션은 2022년 중반에 정점을 찍은 후 하락세를 보이고 있으며, 이는 임금 상승률 하락을 시사한다”고 밝혔다. 이어 “전년 대비 임금 상승률은 2024년 4분기에는 3.3%로 하락하고 2025년 4분기에는 2.8%로 더 낮아질 것으로 예상되며, 동시에 전년 대비 물가 상승률은 2024년 4분기에는 2.6%, 2025년 4분기에는 2.2%로 하락할 것”이라고 내다봤다.이번 보고서는 팬데믹 기간 높은 임금 성장이 인플레이션의 전이를 반영하는지, 혹은 노동 시장의 수요와 공급 간의 불균형을 반영하는지에 대해 실증적 임금 필립스 곡선 모델을 통해 조사했다. 클리블랜드 연은의 연구 결과 임금 상승률은 주로 높은 인플레이션의 전이를 반영하며 노동시장 불균형은 반영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2021년 2분기부터 2023년 1분기까지의 평균 실업률은 평균 구인률이 급격히 증가하고 노동력 참가율이 크게 하락했음에도 불구하고 팬데믹 이전 경기 확장기인 2016년 1분기부터 2019년 4분기까지의 평균 실업률(4.2%)과 동일했다. 클리블랜드 연은 이코노미스트들은 “팬데믹 이후 노동시장 불균형이 크게 나타났지만, 이는 임금 성장에 하방 및 상승 압력을 모두 유발해 평균 임금 상승률 급등을 설명하지는 못했다”고 덧붙였다.임금 상승 임금 상승률 인플레이션 상승 노동시장 불균형
2023.08.25. 0:26
뉴욕주 근로자들의 임금 착취 문제가 심각한 것으로 파악됐다. 최근 노동부와 뉴욕주 노동국이 임금 착취 금액을 분석한 결과, 2017년부터 2021년까지 1만3000건 이상의 임금 착취 사례가 발생한 것으로 드러났다. 5년 동안 약 12만7000명의 근로자로부터 2억3000만 달러가 넘는 임금이 도난당한 건데, 노동부는 이마저도 실제보다 훨씬 적게 집계됐을 가능성이 크다고 전했다. 분석 결과 뉴욕주는 전국에서 근로자 1인당 체불 임금 액수가 8번째로 높은 것으로 나타나기도 했다. 임금 착취 문제가 심각한 산업으로는 우선 식당이 꼽혔다. 식당에서 일하는 근로자들은 다른 직종 노동자들보다 5200만 달러 이상을 고용주로부터 도난당한 것으로 파악됐으며, 이는 신고된 전체 임금 착취 금액의 25% 이상을 차지하는 비율이다. 이 외에도 의료산업(2840만 달러), 건설업(2760만 달러), 청소 서비스 및 소매점(각 590만 달러), 슈퍼마켓 및 편의점(580만 달러) 순으로 임금 착취 문제가 심각했다. 전문가들은 식당 업계 및 건설업 등에서 임금 착취 문제가 심각한 이유에 대해 “주로 서류미비 이민자들이 해당 업계에서 일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뉴욕주 감사관실의 2020년 연구 자료에 따르면 뉴욕시 식당에서 일하는 근로자의 60% 이상이 이민자이고, 업계 종사자 31만7800명 중 44%는 히스패닉계, 20%는 아시아계인 것으로 파악됐다. 노동자 권익 옹호 단체들은 “연방 및 주정부 기관이 임금 착취 문제를 근절하지 못하고 있으며, 심각한 범죄라고 받아들이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윤지혜 기자뉴욕주 임금 뉴욕주 임금 임금 착취 문제 심각
2023.08.23. 20:15
전국에서 주거비를 포함한 생활비가 가장 저렴한 곳은 어디일까. 최근 US뉴스가 '전국에서 생활비가 가장 저렴한 지역 탑10'을 발표했다. 이번에 집계된 도시별 생활비에는 모기지 융자 상환액 또는 렌트비 및 재산세, 유틸리티 비용 등이 포함된 주거비와 생활에 필요한 재화와 서비스 이용 시 지불해야하는 비용이 포함됐다. 이번에 US뉴스가 발표한 25위까지 순위에 캘리포니아 도시는 단 한 곳도 오르지 못했다. ▶1위 노스캐롤라이나 히코리 인구 36만4877명이 거주하는 히코리(Hickory)는 US뉴스가 선정한 '살기좋은 도시'에서 25위를 차지한 바 있다. 주민들의 평균 연봉은 4만4470달러이며 주거비로 가구 중간소득의 18.95%를 지출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2위 오하이오 영스타운 인구 54만명의 영스타운(Youngstown)은 전국 150개 대도시 중 물가 낮은 도시 순위에서 2위를 차지할 만큼 생활비가 적게 드는 도시다. 주거비는 가구 중간소득의 20.69%를 차지했으며 주택 중간값은 13만7546달러로 저렴한 편이어서 주택 구입 시 다운페이먼트에 대한 부담도 다른 대도시보다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3위 웨스트버지니아 헌팅턴/켄터키 애쉬랜드 켄터키와 오하이오, 웨스트버지니아 주 경계선에 위치한 헌팅턴(Huntington)과 애쉬랜드(Ashland) 주민들의 평균 연봉은 전국 평균 보다 1만 달러 정도 적은 4만5520달러. 그러나 주거비는 가구 중간소득의 20.69%를 지출하는 것으로 나타나 집값이 전국 평균보다 저렴한 것으로 집계됐다. ▶4위 앨라배마 헌츠빌 올해 4위를 차지한 헌츠빌(Huntsville)은 지난해까지 4년 연속 '생활비 저렴한 도시' 3위에 랭크됐다. 이곳의 최대 장점은 전국 평균보다 높은 연봉과 낮은 생활비. 지역 주민들의 평균 연봉은 6만1140달러이며 주거비로 가구 중간소득의 19.62% 정도 지출하는 것으로 나타나 150개 대도시 중 소득 대비 주거비 비율이 전국에서 두 번째로 낮은 것으로 집계됐다. ▶5위 인디애나 포트웨인 포트웨인(Fort Wayne) 주민들이 주거비로 지출하는 비용은 소득의 20.07%로 전국 150개 대도시 중 저렴한 편에 속한다. 또 평균 연봉은 5만330달러로 전국 평균인 5만8260달러보다 적어 주거비에 지출되는 절대 비용이 상대적으로 더 저렴한 편이다. ▶6위 텍사스 보몬트 루이지애나와 텍사스 국경 근처에 위치한, 인구 수 39만7924명 가량의 소도시인 버몬트(Beaumont)는 생활비가 저렴하다는 것이 가장 큰 매력. 이곳 주민들은 주거비로 가구 중간소득의 20.31%를 지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물가 지수는 전국 대도시 150곳 중 24위를 차지했다. 평균 연봉은 5만750달러로 집계됐다. ▶7위 일리노이 피오리아 중서부 지역은 생활비가 저렴한 도시들이 몰려 있다. 특히 피오리아(Peoria)는 대도시와 멀리 떨어져 있어 생활비가 다른 대도시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저렴한 편. 이곳 주민들은 가구 중간소득의 20.62% 정도를 주거비로 지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생활비 지출은 전국 22위를 차지했다. ▶8위 위스콘신 그린베이 올해 US뉴스가 선정한 '전국에서 가장 살기좋은 도시' 1위를 차지한 그린베이(Green Bay)는 1위 도시답게 주거비로 가구 중간소득의 19.92%만을 지출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집값 역시 150개 대도시 중 세번째로 낮은 곳으로 나타났지만 물가는 전국에서 42위를 차지해 집값 보다는 비싼 것으로 집계됐다. ▶9위 쿼드시티 아이오와 주 데이븐포트(Davenport)와 베텐도르프(Bettendorf), 일리노이주 몰린(Moline)과 록 아일랜드(Rock Island), 4개 도시를 통칭하는 쿼드시티(Quad Cities)는 아이오와 주와 일리노이 주 경계에 위치한 도시들로 비교적 생활비가 저렴한 편이다. 이곳 지역 주민들이 주거비로 지출하는 비용은 가구 중간소득의 20.14%이며 평균 연봉은 5만1240달러다. ▶10위 테네시 녹스빌 테네시 주 거주를 고려한다면 주도인 내슈빌보다는 녹스빌(Knoxville)이 생활비가 훨씬 적게 든다. 내슈빌에서 생활하려면 주거지로 가구 중간소득의 23.99%를 지출해야 하지만 이곳에선 21.13% 정도만 든다. 이 지역의 평균 연봉은 4만9290달러. 질로(Zillow)에 따르면 녹스빌의 주택 중간값은 36만500달러로 전국 평균인 36만5616달러보다 낮은 것으로 집계됐다. 이주현 객원기자임금 집값 도시별 생활비 가구 중간소득 연속 생활비
2023.08.23. 18:30
뉴욕주 간호사협회(NYSNA)와 뉴욕시 병원공단(H+H)이 임금 인상과 인력 부족 문제 해결 조치 등을 포함하는 5.5년 계약에 합의했다. 간호사 노조인 NYSNA는 지난달 31일 뉴욕시 병원공단의 간호사 임금을 약 37% 인상하는 계약이 체결됐다고 밝히며, "이번 합의로 공공 간호 인력의 급여가 민간 부문과 동등한 수준이 될 것이고, 뉴욕시 공공 병원 약 2000명의 간호 공석이 쉽게 채워질 것"이라고 전했다. 팬데믹 이후 뉴욕시 병원은 간호사들의 이직으로 인한 인력 부족 문제를 겪어왔고, 뉴욕시는 병원공단의 간호 공석 2000개를 채우기 위해 임시 간호사 고용에 5억 4900만 달러를 지출했다. 현재 연봉이 8만4744달러 이상인 뉴욕시 병원공단 간호사들은 이번주 새로운 계약의 승인 여부에 대해 투표해야 한다. 승인될 경우 연봉이 ▶계약 첫 해에는 1만6006달러 ▶두 번째 해에는 5551달러 ▶3, 4년 차에는 연도마다 약 3% ▶5년차에는 약 3.5% 인상될 예정이다. 새로운 계약에 따라 간호사 대 환자 비율도 개선된다. 뉴욕시 병원공단 치료실의 간호사 대 환자 비율은 1대 2, 중환자실은 1대 1, 퇴원이 임박한 환자의 병실은 1대 4 비율을 유지할 계획이다. 또 임시 및 출장 간호사가 아닌 새로운 전문 간호사 풀을 만들어 팬데믹으로 발생한 인력 부족을 충당하는 내용도 계약에 포함됐다. 한편, 뉴저지주의 간호사 1700명은 오는 4일 파업을 예고하고 나섰다. 지역매체 고다미스트는 "뉴브런즈윅의 로버트 우드 존슨 대학 병원의 간호사들은 더 나은 급여와 인력을 요구하며 노조와 병원이 새로운 계약에 합의하지 않으면 4일 파업할 가능성이 있다"고 보도했다. 윤지혜 기자 [email protected]뉴욕 임금 뉴욕주 간호사협회 간호사 임금 뉴욕시 공공
2023.08.02. 18:51
5월에 전국의 주간 임금 연간 상승률이 연간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앞질렀다. 연방통계청이 발표한 5월 임금 노동자의 평균 주간임금은 1200.75달러였다. 이는 작년 5월과 비교해 3.6%가 상승한 것이다. 5월 소비자물가지수는 3.4%를 기록했다. 즉 소비자물가보다 임금이 더 올른 것이다. 그러나 전달에 비해서는 0.4%가 올라, 4월 0.5%가 오른 것에 비해 상승세가 조금 완만해졌다. 각 주별 평균 주간 임금에서 BC주는 1211.65달러로 전년에 비해서 4.5%, 그리고 전달에 비해서 0.7%가 올랐다. 가장 주간 임금이 높은 주는 알버타주로 1289.46달러, 이어 온타리오주가 1232.03달러 순이었다. 반면 전달에 비해 가장 크게 오른 주는 BC주였으며, 연간 상승률이 가장 높은 주는 노바스코샤주로 5.5%였다. 가장 임금이 높은 업종은 광산석유가스채굴업종은 2313.83달러였고, 이어 전기 상수도 같은 유틸리티업종이 2155.23달러였다. 반면 가장 임금이 낮은 업종은 숙박요식업으로 480.99달러, 예술오락레크레이션은 690.68달러, 소매업은 706.85달러로 1000달러 이하 3개 업종이 됐다. 전년대비 상승률이 가장 높은 업종은 산림벌목 및 관련업종으로 10%, 유틸리티가 6.7% 등이었다. 전년보다 감소한 업종은 예술오락레크레이션으로 마이너스 2.3%를 기록했다. 이외에 의료건강사회복지서비스가 2.2%, 부동산렌트리스업종이 2.3% 등으로 낮은 편에 속했다. 임금노동자 수는 전년에 비해 3.1% 증가한 1798만 9600명이었다. 전달에 비해서는 0.7% 늘어났다. 작년 5월에 비해 가장 큰 증가율을 보인 업종은 예술오락레크레이션으로 10%였다. 이어 5.4%의 수송창고업, 5.3%의 전문과학기술서비스업이었다. 반면 감소한 업종은 정보문화산업 2.3%, 산림벌목 및 지원업종 2.2%가 각각 감소했다. 빈일자리 수는 75만 9000개로 전체 임금노동자 수의 4.3%를 차지했다. 전체 임금노동자 대비 빈일자리 비율이 높은 업종은 숙박요식업으로 7%이다. 그 뒤로 건설업이 5.7%, 의료건강사회복지서비스가 5.6%로 나타났다. 주별로 보면 BC주는 4.7%로 퀘벡주의 4.8%에 이어 가장 높은 주가 됐다. 표영태 기자전국 임금 전체 임금노동자 임금 물가 임금 연간
2023.07.27. 13: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