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C주가 사상 최대 규모의 재정적자 속에서 40만 공공부문 근로자들과의 임금 협상을 앞두고 있다. 94억 달러의 재정적자에 미국의 관세 위협까지 더해지면서 노사 양측의 입장차가 커지고 있다. 올해 봄과 가을, BC주 정부는 간호사, 병원 근로자, 대학 교직원 등 40만 명의 공공부문 노조와 임금 협상 테이블에 앉아야 한다. 그러나 지난달 발표된 재정보고서에서 94억 달러의 적자가 예상되면서 협상은 난항이 예상된다. 여기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캐나다 수입품에 25%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예고하면서 상황은 더욱 복잡해졌다. BC주 정부는 이 관세로 인해 2028년까지 약 690억 달러의 손실이 발생할 것으로 분석했다. 브렌다 베일리 BC주 재무장관은 공공부문 근로자들의 역할과 가치를 인정하면서도, 현재의 어려운 재정 상황을 이유로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6만 명의 조합원을 보유한 병원노조는 양질의 의료서비스 제공을 위해 근로자들의 처우 개선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3월 말 계약이 만료되는 간호사노조는 안전한 근무환경 조성을 최우선 과제로 내세웠다. BC주 공무원노조는 22일 첫 협상을 시작했다. 공무원노조는 정부 관료, 보안관, 사회복지사 등 다양한 직종의 근로자들을 대표해 물가상승과 생활비 부담 해소를 위한 임금 인상을 요구할 것으로 알려졌다. 2022년 10월에 체결된 이전 계약은 조합원 54%의 찬성으로 겨우 통과된 바 있다. 당시보다 물가상승 부담이 커진 상황에서 노조는 이번 협상에서 더욱 강경한 태도를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밴쿠버 중앙일보임금협상 공무원 공무원 임금협상 강경 협상 bc주 공무원노조
2025.01.23. 10:32
LA 통합교육구 소속 서비스 부문 직원 3만명을 대표하는 노조가 교육구 측과 잠정적으로 노사협상에 합의했다고 24일 발표했다. 노조 측은 이날 3일간의 파업을 끝낸 뒤 다시 업무에 복귀하면서 노사협상도 이어갔다. 잠정 합의안은 여전지 노조원과 LA 통합교육구 이사회의 승인을 받아야 유효하다. 합의안에는 봉급 30% 인상안이 포함됐으며 이외에도 보너스 지급, 미지급분에 대한 소급 적용, 100% 교육구가 지급하는 건강보험 혜택 등이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김병일 기자la통합교육구 임금협상 la통합교육구 서비스 임금협상 극적 서비스 부문
2023.03.24. 17:21
LA통합교육구(LAUSD) 소속 서비스 직원 및 보조 교사들이 파업을 벌이는 가운데, 캐런 배스 LA시장이 LAUSD와 노조와의 임금 협상 중재자로 나서 결과가 주목된다. 배스 시장실은 22일 “42만 명의 학생들이 교사가 없어 수업을 듣지 못하는 초유의 사태가 발생하고 있다”며 임금 협상에 직접 나서겠다고 밝혔다. 임금인상 폭을 두고 좀처럼 합의점을 찾지 못하고 있는 LAUSD와 노조 측은 배스 시장의 개입으로 타협점을 빨리 찾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번 파업을 주도한 서비스노동자 국제연합 지부인 SEIU(Local 99)의 맥스 아리아스 국장은 이날 “배스 시장이 현재 교착 상태에서 벗어날 수 있는 길을 찾아줄 것”이라며 환영 메시지를 냈다. 교육구도 “시장을 통해 빨리 합의하길 희망한다”며 “직원들의 노고를 기리고, 불평등을 시정하며, 재정적 안정을 유지하고, 학생들을 교실로 돌아오는 합의에 도달하기 위해 가능한 모든 것을 하겠다”고 성명을 발표했다. LAUSD 소속 학교 관리인, 버스운전자, 식당 근로자 및 보조 교사들을 대표하는 SEIU는 1년 전부터 LAUSD와 임금 협상을 해왔으나 입장차가 좁혀지지 않자 지난 21일부터 사흘 예정으로 파업을 진행 중이다. SEIU는 30% 연봉 인상 외에도 저임금 직종 종사자의 시간당 임금을 2달러씩 올릴 것을 요구하고 있다. 반면 LAUSD는 내년까지 단계적으로 최고 23%까지 올리는 외에 보너스 3% 별도 지급안과 건강보험 헤택 확대안을 제시한 상태다. LAUSD는 앞서 서비스 직원들의 파업을 지지하기 위해 LA교사노조(UTLA)가 파업 기간 수업에 참여하지 않기로 결정하자 교사 부족과 학생들의 안전을 이유로 파업 기간 학교 문을 닫았다. LAUSD는 내일(24일)부터 정상적으로 수업을 진행한다. LA 한인타운 교육구를 담당하고 있는 변지애 교육장은 “모든 학교가 24일부터 정상적으로 문을 열고 수업을 제공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이번 파업에 대해 제이슨 송 교육학 박사는 “서비스 종사자들의 임금 인상도 중요하지만, 파업은 학생들을 볼모로 잡는 것이라 안타깝다”며 “파업이 끝나 정상수업이 진행돼도 잃어버린 수업을 되찾는데 시간이 걸릴 것”이라고 전했다. 장연화 기자 [email protected]임금협상 중재자 배스 시장실 캐런 배스 가운데 캐런
2023.03.22. 2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