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BT 입금 혼란…수혜자들 불안
연방정부의 영양보충프로그램(SNAP·가주 캘프레시) 지원을 둘러싸고 행정부와 법원이 엇갈린 결정을 내리면서, 지급 불안이 커지고 있다. 이로 인해 LA 지역 SNAP 수혜자들이 식료품 배급소로 몰리는 등 식량 불안정이 확산되고 있다. 특히, 지원금 지급이 ‘전액 지급’과 ‘부분 지급’ 지침 사이를 오가자, 많은 수혜자가 불안감 속에 무료 식품 배급소로 몰리고 있다. 이런 혼선은 법원의 결정에서 비롯됐다. 로드아일랜드 연방 지방법원은 지난 6일 행정부에 “11월분 SNAP 지원금을 전액 지급하라”고 명령했다. 그러나 이튿날인 7일, 연방 대법원이 트럼프 행정부의 요청을 받아들여 해당 명령의 효력을 일시 중단시켰다. 뒤이어 8일, 연방농무부(USDA)는 각 주정부에 공문을 보내 “11월분 지원금은 최대 65%까지만 지급하라”며 “이미 전액 지급을 시작한 주는 즉시 정정(undo)하라”고 지시했다. 트럼프 대통령 역시 “불법적으로 지급된 지원금은 회수해야 한다”고 언급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로 인해 캘리포니아 내에서도 EBT 수혜 상황이 제각각이다. 11월분을 전액 받은 가구가 있는 반면, 일부는 65%만 입금됐거나 아직 지급이 이뤄지지 않았다. “EBT 카드에 언제, 얼마가 입금될지 모르겠다”는 불안이 퍼지면서, 무료 식료품 배급소마다 주민들의 발길이 몰리고 있다. 한인타운 윌셔가의 임마누엘장로교회 푸드뱅크에는 이런 불안이 그대로 나타난다. 매주 수요일과 금요일 오전이면 교회 앞 골목에 수백 명이 길게 줄을 선다. 니암비 렌돈 교회 운영 매니저는 “최근 며칠 사이 푸드뱅크를 찾는 사람들이 하루 100명 이상은 더 늘었다”며 “캘프레시 지원금이 줄어들거나 늦게 나온다는 소식이 돌면서 줄이 더 길어졌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EBT 카드에 의존하던 시니어들이 ‘이번 달에도 돈이 안 들어오면 어떻게 하느냐’며 걱정하는 경우가 많고, 처음 오는 사람들도 확실히 늘었다”고 덧붙였다. 이날 푸드뱅크에 줄을 서 있던 김명숙(79)씨는 “오늘 처음으로 나왔다”며 “아직 11월분이 안 들어와 생활이 힘들고, 12월에도 끊길까 봐 불안하다”고 말했다. 임마누엘 장로교회 자원봉사자 안젤라 레비(64)씨는 “줄이 점점 길어지는 걸 볼 때마다 마음이 아프다”며“정부가 정치싸움보다 사람들이 오늘 무엇을 먹고 사는지를 먼저 살펴줬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LA리저널푸드뱅크는 이미 지난해 같은 시기보다 24% 늘어난 식료품 지원 수요를 감당하고 있다. 빅토리아 라사바스 홍보 매니저는 “많은 주민이 캘프레시 지급 지연과 불확실성에 불안을 느끼고 있다”며 “올해 1월부터 매달 100만 명 이상에게 식량을 제공해왔고, 지급 지연이 계속되면 수요는 더 늘어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캘프레시에 의존하는 약 100만 가구(150만 명) 중 3분의 2가 아동·노인·장애인으로 피해가 집중될 것”이라며 “셧다운으로 급여가 끊긴 연방 공무원들의 지원 요청도 늘고 있다”고 안타까워했다. 한인 단체도 긴급 구호에 나섰다. 이웃케어클리닉(Kheir Clinic·소장 에린 박)은 오는 13일 오전 10시 30분부터 헤더 허트(10지구) LA시의원과 함께 한인타운 6가 클리닉 앞에서 캘프레시 수혜 가정을 위한 긴급 식료품·기저귀 배급 행사를 진행한다. EBT 카드나 수혜 증빙 서류를 지참하면 가구당 한 박스의 기본 식료품과 화장지를 받을 수 있으며, 아동이 있는 가정에는 기저귀도 함께 제공된다. 한편, 연방 항소법원이 10일 정부의 상고를 기각하고 지방법원의 전액 지급 명령을 유지함에 따라, 대법원이 이 결정에 대해 일시 중단 조치를 계속할지 혹은 항소법원의 판단을 받아들일지가 11월분 최종 지급 규모를 가를 전망이다. 강한길 기자불안정 snap 식량 불안정 지원금 지급 임마누엘장로교회 푸드뱅크
2025.11.10. 20: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