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주중앙일보

광고닫기

전체

최신기사

“3.1운동은 임시정부 수립 계기, 현대 민주공화국의 출발점”

 한인들을 위한 ‘시니어 데이케어’인 은혜복지센터(원장 이선영)가 지난달 28일(금) 제106주년 삼일절 기념식을 거행했다. 노인 회원들과 직원, 자원봉사자 등 60여 명이 모여 제106주년 삼일절을 기념했다. 은혜복지센터는 해마다 거르지 않고 삼일절 기념식을 지켜오고 있다.   이선영 원장은 개회사를 통해 “3.1운동은 무엇보다도 두 달 이상 전국적으로 진행된 유례없는 비폭력 평화시위로, 중국의 5.4 운동, 인도의 간디 비폭력 정신에 큰 영향을 준 세계사적으로 자랑스러운 역사”라며 “독립선언문 발표를 통해 우리의 실제적인 독립기념일이고, 이후 임시정부를 수립하는 계기를 마련해 현대 민주공화국의 출발이 되는 사건이라는 것을 후손들에게 알리자”고 강조했다.   이선영 원장은 독립유공자 후손인 홍은실, 이창엽, 유옥례 회원과 은혜복지센터 장하운 이사장을 언급하며, 그들에게 위로와 감사의 마음을 전했다. 장하운 이사장은 삼일절의 현대적 의미와 함께 과거가, 역사가 현재와 미래, 우리를 살린다는 한강 작가의 말을 인용하며 자랑스러운 독립운동의 의미를 되살렸다.   만주 독립운동가 후손 중 한 명인 홍은실 회원의 자녀들은 뜻깊은 삼일절을 맞아 회원들에게 점심식사를 제공하며 “항상 나누며 살라”던 선친의 뜻을 실천했다. 이날 행사는 국민의례에 이어 이종성, 이동성, 김재봉, 박영국, 조규민, 김용호, 전동적, 이무광, 김대희 등 남성 회원들의 힘찬 독립선언문 릴레이 선언에 이어 권두자 회원이 윤동주 시인의 ‘서시’를 낭독했다. 남성 중창단의 3.1절 노래에 이어 전성자, 박현숙, 이해영 회원의 선창으로 참석자 전원이 만세삼창을 외치며 두 손에 든 태극기를 힘차게 휘날렸다.   정대용 회원은 “10년 전 은혜복지센터에 와서 처음 기념식에 참가했을 때, 이민생활에서 한번도 경험하지 못한 애국가를 부르며 느꼈던 감동을 잊을 수 없는데, 올해도 어김없이 눈물이 난다”는 감회를 밝혔다. 이선영 원장은 “민족, 국가라는 큰 사랑을 하다 보면 일상의 작은 고통이나 어려움은 상대적으로 작은 일로 느껴져 극복하기 쉽지 않을까라는 생각을 해보며, 2025년도 우리의 자랑스런 민족을 담을 수 있는 크고 넓은 마음을 만들어보는 한 해가 되길 기원해본다”고 소감을 밝혔다.민주공화국 임시정부 현대 민주공화국 만주 독립운동가 이후 임시정부

2025.03.14. 8:30

썸네일

대한민국 임시정부 27년 담은 LA 특별전

미국의 대한민국 독립운동 사적지를 포함해 27년간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발자취를 한눈에 볼 수 있는 특별 전시회가 열린다.     LA한국문화원(원장 정상원)은 국가보훈부 국립대한민국임시정부기념관(관장 김희곤)과 공동주최로 오는 29일부터 4월 12일까지 문화원에서 ‘3.1절 105주년 기념 LA특별전: 민주공화정의 시작, 대한민국 임시정부’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정상원 문화원장은 “LA지역은 일제 강점기 때 북미지역 한국독립운동의 대표적인 거점지역으로, 수많은 독립운동가가 활동했던 역사적 장소와 기념물 등이 상당수 남아 있다”며 “이번 전시를 통해 한인 2세, 3세에게 한국인으로서의 정체성과 자긍심을 되새기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이번 특별전은 국립대한민국임시정부기념관의 상설전시를 집약한 대표 유물 23점을 통해 국민이 주인이 되는 나라를 세우기 위한 독립운동가들의 노력을 담았다.     전시 구성은 총 4부로 1919년부터 1945년까지 27년간의 임시정부 역사를 영상과 그래픽, 모형 등으로 소개한다.     프롤로그 ‘3.1운동과 임시정부의 수립’에서는 1919년 전 세계에서 펼쳐진 독립운동의 전개와 외신 보도를 그래픽으로 보여준다. 4월 11일 중국 상하이에 수립된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모습을 영상으로 생생하게 소개한다.     1부 ‘우리나라 최초의 민주공화제 정부, 대한민국 임시정부’에서는 임시정부 지도 체제가 변모하는 과정을 개헌과 함께 소개한다. 외교 부분에서는 국제사회에 우리나라의 독립을 주장하고 임시정부의 승인을 요청하는 과정도 담겨 있다.     또한 적극적인 군사활동을 통해 독립전쟁을 펼치고 1940년 한국광복군이 성립되는 과정을 다양한 그래픽으로 알기 쉽게 소개했다.     2부 ‘가자 조국으로’는 1945년 광복된 후에 중국과 미국에서 활약한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요인들이 조국으로 향하는 과정과 국민의 환호를 받았던 전국환영대회를 생생하게 보여준다.     3부 ‘대한민국 정부, 임시정부를 계승하다’에서는 임시정부에서 수립한 헌법 정신과 사람들, 국경일과 기념일을 비롯해 상징물이 대한민국까지 이어지는 과정을 설명한다.     4부 ‘대한민국 임시정부를 기억하다’에서는 미국에서 볼 수 있는 대한민국 독립운동 사적지를 지도와 사진으로 소개해 임시정부의 발자취를 짚어본다.     김희곤 국립대한민국임시정부기념관장은 “2022년 3월 1일에 독립운동의 가치와 보훈 문화 확산을 위해 설립된 국립대한민국임시정부기념관에서 2년 만에 미주 지역에서 전시를 추진해 큰 의미가 있다”고 밝혔다.     개막식은 오는 29일 오후 4시 LA한국문화원에서 개최된다. 이날 김희곤 관장도 직접 참석할 예정이다.     ▶주소:5505 Wilshire Blvd. LA   ▶문의:(323)936-3014 이은영 기자대한민국 임시정부 국가보훈부 국립대한민국임시정부기념관 대한민국 임시정부 대한민국 독립운동

2024.02.25. 19:02

썸네일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104주년

   임시정부 기념식 임시정부 수립 대한민국 임시정부 대한인국민회 기념재단

2023.04.10. 14:29

썸네일

103주년 임시정부 수립 기념식 연다

한인단체가 연합해 ‘103주년 대한민국임시정부 기념식’을 개최한다. 주최 측은 일제강점기 임시정부 수립과 재정지원에 헌신했던 한인사회 역사와 민족정신을 계승하자고 강조했다.   대한인국민회기념재단(이사장 윤효신)은 11일 오전 11시 USC 인근 나성한인연합장로교회(1374 W. Jefferson Blvd, LA)에서 103주년 대한민국임시정부 기념식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주최 측은 “일제강점기 LA, 리버사이드, 중가주 등 미주 전역에서 1만 명 가까이가 임시정부 수립에 필요한 재정지원에 앞장섰다”며 한인이라면 누구나 기념식에 참석할 수 있다고 전했다.     이날 기념식에는 LA한인회, LA평통 등 한인단체장과 최석호 가주 하원의원 등도 참석한다. 기념식은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 역사, 당시 대한인국민회 주축 한인사회의 독립자금 기여, 임시정부 주요 활동 등을 되새길 예정이다.   윤효신 이사장은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은 당시 한인사회 이민선조들의 헌신과 지원으로 가능했다. 우리가 ‘1919년 4월 11일’을 기억하고 자랑스러운 역사를 차세대에 알려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창수 부이사장도 “남가주, 리버사이드, 중가주 리들리와 다뉴바 등은 한국 독립운동의 요람”이라며 “한국 정부가 이곳의 역사를 중시하는 만큼 한인사회도 자긍심을 갖자”고 말했다.   대한인국민회기념재단(213-440-0033)은 기념식 오찬도 제공한다. 김형재 기자임시정부 기념식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 대한민국임시정부 기념식 임시정부 주요

2022.04.05. 21:04

썸네일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