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압류 3년 새 43% 급증…연체율도 2009년 이후 최고치
차량 가격과 유지비 상승, 금리 부담, 그리고 최근 관세 여파가 겹치면서 자동차 대출 연체와 압류가 급증하고 있다는 경고가 나왔다. 소비자 옹호 단체인 소비자연맹(CFA)이 최근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소비자들의 자동차 부채 규모는 1조6600억 달러를 넘어섰으며 자동차 대출 연체율과 압류 건수는 2009년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특히 2022년부터 2024년까지 압류가 약 43% 증가했으며 크레딧 점수가 상대적으로 낮은 편인 620~679점대의 차주들은 연체율이 팬데믹 이전 대비 두 배 가까이 올랐다. 이 중 18~29세 젊은 차량 소유주들은 90일 이상 연체를 하는 속도가 다른 연령대보다 빠른 것으로 조사됐다. CFA는 “현재 상황은 2008년 금융위기 이전의 흐름과 유사하다”며 소비자 보호 부재가 새로운 위기를 초래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매년 오르는 차량 가격도 압류 위기를 부추기고 있다. 신차 평균 가격은 5만 달러에 육박하며 중고차 가격 또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6.3% 올랐다. 또한 신차 구매자의 20%가 월 1000달러 이상을 대출 상환금으로 지불하고 있었으며 7년(84개월)짜리 초장기 대출을 이용하는 비중도 5명 중 1명꼴로 늘었다. CFA는 이번 사태의 원인 중 하나로 연방 정부의 규제 약화를 지목했다. 소비자금융보호국(CFPB) 예산 삭감과 연방거래위원회(FTC)의 소극적인 감독이 문제라는 것이다. 특히 트럼프 행정부가 출범한 이후 FTC는 자동차 딜러를 상대로 단 한 건의 소송도 제기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자들에게 큰 호응을 얻었던 ‘CARS 룰(허위광고 및 정크 수수료 금지법)’도 반대 판결에 항소하지 않아 무효가 됐다고 보고서는 비판했다. 반면 자동차딜러협회(NADA)와 금융서비스협회(AFSA)는 이 같은 주장을 강하게 반박했다. 협회 측은 “차량 가격 상승은 첨단 기술, 안전 규제, 공급망 문제 때문이지 금융 관행 때문이 아니다”라며 CFA 보고서가 선정적이고 과장됐다고 지적했다. 이에 에린 위테 CFA 소비자보호국장은 “자동차 대출 연체는 단순히 차량 문제가 아니라 가계 전체의 재정적 압박을 보여주는 신호”라며 “이번 현상을 심각하게 받아들여야 한다”고 경고했다. 우훈식 기자자동차 연체율 자동차 대출 자동차 부채 자동차 딜러
2025.10.13. 19: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