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주중앙일보

광고닫기

전체

최신기사

기아, 최고 안전 2022 TSP,TSP+ 8개 부문 전체 자동차 업계 2위

   기아 브랜드의 8개 모델이 미국 고속도로 안전보험협회(IIHS)로부터 2022년 TOP SAFETY PICK(TSP) 및 TOP SAFETY PICK+(TSP+) 등급을 획득하며 자동차 업계 2위로 우수한 안정성이 입증됐다. 2021년 3월 이후 생산된 기아 텔루라이드, 쏘렌토, 카니발 (특정 헤드라이트 포함), 스포티지, 셀토스, 쏘울 (전방 충돌 방지 옵션 및 특정 헤드라이트 포함)이 TSP 등급을 받았고, 기아 스팅어와 K5 세단이 TSP+ 등급을 받았다.   기아 북미권역본부 및 미국판매법인 윤승규 본부장은 “기아 브랜드의 전동화 전략을 기반으로 미래를 향한 중대한 전환을 준비하고 있지만, 여전히 고객들의 안전을 최우선의 목표로 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번 기아 브랜드 8개 모델의 IIHS TSP 및 TSP+ 등급 선정은 뛰어난 충돌 대비성, 구조적 무결성 및 동급 최다 첨단 운전자 보조 시스템을 고객에게 제공하려는 기아의 끊임없는 노력의 결과이다"라고 말했다.   2022년 TSP 등급을 받기 위해서는 운전석 스몰 오버랩, 조수석 스몰 오버랩, 중간 오버랩 프론트, 오리지널 사이드, 루프 강도 및 헤드 레스트의 6가지 충돌 안전 항목 평가에서 모두 “우수(Good)” 등급을 받아야 한다. 또한 차량 대 차량 및 보행자 대 차량 전면 충돌 방지 평가에서 "상급(Advanced)" 또는 “최상급(Superior)” 등급을 받아야 하며, "우수(Good)" 또는 "양호(Acceptable)" 등급의 사용 가능한 헤드라이트 시스템이 하나 이상 탑재되어야 한다. TSP+ 등급 선정을 위해서는 "우수(Good)" 또는 "양호(Acceptable)" 등급의 헤드라이트 시스템이 기본으로 제공되어야 한다.  자동차 기아 자동차 업계 기아 브랜드 기아 북미권역본부

2022.02.25. 11:42

썸네일

자동차에 발목 잡힌 경제… '살 사람 많은데 팔 차가 없다'

  잘 나가던 미국 경제가 자동차에 발목이 잡혀 주춤한 것으로 나타났다.    28일 뉴욕타임스(NYT)에 따르면 지난 3분기 미국의 자동차 및 부품에 대한 개인 소비지출이 17.6%(인플레이션 반영) 급감했다.   이날 연방 상무부가 발표한 3분기 국내총생산(GDP) 증가율은 0.5%(연율 2.0%)에 그쳤는데, 자동차 부문을 제외하면 0.9%로 거의 두 배가 될 수 있었다고 신문은 지적했다.   자동차 관련 지출이 크게 줄어든 것은 미국인들이 차를 사고 싶어하지 않았기 때문이 아니라, 팔 차가 충분하지 않았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차량용 반도체 부족으로 자동차 생산이 급감한 것이 전체 성장률을 끌어내렸다는 것이다.   월스트리트저널(WSJ)도 차량용 반도체 부족 사태가 진정되기는커녕 장기화하는 중이라고 보도했다.   뉴욕의 한 업체가 지난 5월 변속기용 반도체를 주문했으나, 당초 여름에 도착한다던 반도체는 가을에서 겨울을 넘어 내년 5월 이후에나 도착할 예정이라고 신문은 전했다.   이처럼 반도체 공급난이 악화하면서 물건을 받는 데 걸리는 대기시간이 하염없이 길어지고 있다.   기업들의 반도체 주문을 도와주는 이언 워커는 일부 바이어들의 경우 신규 주문한 반도체를 오는 2024년에나 받을 수 있는 상황이라고 WSJ에 밝혔다.   서스케하나 금융그룹에 따르면 반도체 배송에 걸리는 대기 시간이 지난여름 평균 19주에서 10월 들어 22주로 늘어났다. 특히 자동차 업계에 꼭 필요한 마이크로제어기를 전달받는 데에는 38주나 걸린다.   웰스파고 투자연구소의 스콧 렌 글로벌주식전략가는 "우리가 처음에 생각했던 것보다 상당히 더 오래 전개될 것"이라면서 반도체 부족 사태가 2023년까지 지속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러한 반도체 공급난이 자동차 산업만을 강타한 것은 아니다.   3분기 GDP에서 내구재에 대한 소비가 전반적으로 하락한 가운데 의료기기, 가전제품, 전자담배까지 반도체 공급을 받지 못해 생산에 차질을 빚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러한 현상은 공급난에 직면한 일부 업체들이 필요한 것보다 많은 반도체를 주문하는 등 '사재기'에 나서면서 더욱 심화하는 측면도 있다. 연합뉴스 자동차 발목 자동차 생산 자동차 업계 자동차 산업

2021.10.28. 15:11

썸네일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