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하반기 전망] 공격적 투자 대신 자산 보존에 집중하라
2025년 가을, 글로벌 금융시장은 전환기의 문턱에 서 있다. 지난 18개월 동안 이어져 온 상승 랠리는 기술주 중심의 과열로 마무리 국면을 맞이하고 있을 가능성이 높다. 그 속에서 투자자들의 심리 또한 극단적 낙관론으로 포화 상태에 이르렀다. 동시에 채권시장은 단기 조정이 끝나고 장기 금리 상승 사이클 재개를 앞두고 있다. 금과 은은 단기 과열 속에서도 중기적 강세를 준비하고 있고, 달러는 2022년 고점 이후 조정이 마무리되며 대규모 반등 가능성을 시사하는 중이다. 이러한 복합적 신호들은 단순한 사이클적 움직임을 넘어 자산 배분 전략의 구조적 전환을 요구하고 있다. 자산시장별 현황과 전망을 짚어본다. ▶주식시장: 고점 후반부의 특징과 리스크 시그널 다우존스, S&P 500, 나스닥 모두 기술분석적 상승의 막바지 단계에 와 있다. 일부 애널리스트들은 이미 이 흐름을 ‘대세 상승의 마지막 국면’으로 정의하고 있기도 하다. 단기 주간 시장현황은 이를 더욱 구체적으로 보여준다. 다우는 4만5000 후반대까지 치솟았다가 급락 전환을 보였고, S&P는 수렴형 패턴 속에서 단기 조정 후 마지막 상승을 남겨둔 상황으로 읽힌다. 물론, 전반적 상승장세 구조는 아직 유지되고 있다. 문제는 이 상승이 지극히 협소한 기반 위에 세워졌다는 점이다. 기술주 의존도가 과거 2000년 닷컴 버블을 넘어섰다. 이른바 ‘Magnificent 7’ 몇몇 종목이 전체 상승을 주도하고 있다. 동시에 운송주, 중소형주, 유틸리티는 여전히 2024년 고점을 회복하지 못하고 있다. 이는 상승장의 폭이 좁아지고 있음을 뜻하며, 역사적으로 이는 하락세 전환 직전 자주 나타나는 패턴이었다는 점을 간과할 수 없다. 투자심리도 이를 뒷받침한다. VIX 숏 포지션이 지난 3년간 가장 극단적으로 쌓여 있으며, 이는 변동성 급등과 시장 조정의 전형적 전조 신호로 읽을 수 있다. 각종 밸류에이션 지표 역시 1929년, 2000년, 2007년을 넘어선 상태다. 결론적으로, 주식시장은 단기적으로 새로운 고점을 시도할 수 있으나 전략적 관점에서는 대세 하락 전환을 대비해야 하는 시기로 볼 수 있다. ▶채권과 금리: 단기 조정 끝, 장기 금리 상승 사이클 재개 10년 만기 미 국채 금리는 2023년 고점 이후 조정을 이어왔다. 그러나 이 패턴은 이제 막바지에 와 있으며 단기적으로 볼 때 4.05% 부근에서 마무리되는 중이다. 이 지점 부근에서 곧 5%를 상향 돌파하는 장기 상승세가 시작될 것임을 의미한다. 흥미로운 점은 단기 국채 금리가 연준 기준금리보다 빠르게 하락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3개월, 6개월 T-bill 금리는 2022년 이후 최저치로 내려왔고, 연준은 오는 9월 FOMC에서 이를 따라 최소 0.25%포인트, 많게는 0.50%포인트 인하할 가능성이 높게 관측된다. 즉, 연준이 시장에 뒤늦게 반응하고 있다는 의미다. 이는 경기 약화 신호와 동시에 장기 금리 상승이라는 이중 리스크를 예고하는 것이다. 투자자 입장에서는 장기 채권 투자에 불리한 환경임을 뜻한다. ▶달러와 유로: 패턴 종결과 새로운 랠리의 시작 가능성 달러 지수는 2022년 9월 고점 이후 이어져 온 조정을 마무리하고 있다. 7월 1일 저점을 마지막 하락 저점으로 보고 대규모 반등 가능성이 제시되고 있다. 하지만 단기적인 상황을 보면 보완적 해석도 가능하다. 달러 지수 기준, 96.37 하회 시 하락이 마무리되고 강력한 랠리가 시작될 수 있다. 유로 역시 달러와 거울 관계다. 1.1830을 돌파하면 추가 상승 여지가 있지만 1.1392를 하회하면 이미 고점을 지나 본격적 하락 국면에 들어선 것일 수 있다. 결론적으로 외환시장은 달러 반등, 유로 약세 전환의 변곡점에 근접해 있다. 물론, 단기적으로는 추가적 달러 약세 여지가 남아있다 ▶귀금속: 단기 과열과 중기 상승 사이클의 교차 금은 4월 고점 이후 박스권을 이어왔지만 9월 초 $3600을 돌파하며 주간 목표치를 달성했다. 그러나 단기 투자심리는 과열 상태(DSI 83.6)로 조만간 수주 단위의 조정이 나타날 가능성이 높다. 은 역시 $41.5 목표를 충족했으며 금과의 디버전스는 최소한 최근 상승장의 종료 신호로 읽힌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큰 그림은 여전히 유효하다. 이번 조정이 끝나면 금과 은 모두 사상 최고가를 향한 중기 상승 국면으로 재진입할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투자 전략상 귀금속은 단기 매도/차익실현, 중기 매수 기회 모색이라는 이중적 접근이 필요하다. ▶실물경제와 투자 심리: 고용, 소비, 부채 구조의 압박 경기 펀더멘털은 이미 약화 국면에 들어서 있다. 비농업 고용 증가율은 과거 불황 직전 수준까지 둔화했다. 7월 발표 기준으로 기업 해고 건수는 전년 대비 140% 증가했다. 소비심리도 흔들리고 있다. 미시간 소비자심리지수는 전년 대비 13.7% 급락했고 ‘가격 저항’ 현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기업 부채 구조도 위험하다. 파산 건수는 2010년 이후 최고치이며 특히 프라이빗 크레딧과 사모펀드 내 ‘좀비 자산’ 문제가 수면 위로 드러나고 있다. 이는 향후 경기침체가 본격화될 경우 연쇄적 유동성 위기로 번질 수 있는 뇌관이다. ▶투자자 위한 전략적 시사점 2025년 9월의 시장은 겉으로는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지만 그 속을 들여다보면 대세 전환을 예고하는 신호가 곳곳에서 포착된다. 주식시장은 단기 고점 후반부에서 구조적 약세로 넘어갈 가능성이 크고 채권은 장기 금리 급등 사이클에 진입할 준비를 하고 있다. 달러는 반등 국면을 예고하며 금과 은은 단기 조정과 중기 상승을 동시에 내포하고 있다. 이러한 복합 신호 속에서 공유해야 할 메시지는 명확하다. 리스크 자산의 비중 축소, 현금 및 방어적 자산 강화, 그리고 단기 조정 이후의 새로운 매수 기회 탐색이다. 지금은 공격적 수익 추구보다는 자산 보존과 유동성 확보가 중요한 시점이며 향후 시장이 다시 방향성을 드러낼 때까지 신중한 포트폴리오 운용이 요구된다. 켄 최 아피스 자산관리 대표 [email protected]년 하반기 전망 자산 투자 자산시장별 현황 상승 랠리 대세 상승
2025.09.09. 19: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