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전체

최신기사

쓰지도 않은 기프트카드 잔액이 ‘0’

#. 직장에서 연말을 맞아 기프트카드를 받은 김 모씨는 잔액을 확인해보고 깜짝 놀랐다. 사용 가능한 잔액이 0달러로 찍혀 있었기 때문이다. 단순 오류가 아닐까 생각도 했지만, 잔액 세부내역엔 뉴욕 곳곳에 위치한 주유소, 상점 등에서 쓴 흔적이 빼곡했다.   #. 2년 전 일하던 식당에서 기프트카드를 받은 한 남성은 최근 집을 정리하다 기프트카드를 발견했다. 유효기간이 10년이라 지금부터라도 사용하려 했지만 이미 잔액은 해킹으로 털린 뒤였다. 급하게 카드사에 신고하니 상담사는 “구입한 사람의 이름과 신분증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그는 “시간이 오래 지난 데다 선물을 해 준 분에게 잔액이 없다고 연락하기도 민망해 포기했다”고 전했다.   연말연시에 기프트카드를 선물이 빈번한 가운데, 충전된 잔액을 빼돌리는 사기가 급증하고 있다. 과거에는 주로 드럭스토어나 마트에서 판매되는 기프트카드가 쉽게 해킹됐지만, 최근엔 기업이나 개인이 대량으로 카드사에서 구매한 선불카드도 해킹된 채 발견되는 경우가 잦다. 연방거래위원회(FTC)에 따르면, 2022년 기준 미국에서 기프트카드 사기로 인한 피해는 4만8800건 발생했고 그 피해액은 2억2800만 달러가 넘는다. 전국은퇴자협회(AARP) 조사에 따르면 성인 소비자 중 26%는 잔액이 없는 기프트카드를 선물했거나 받은 경험이 있었다.     문제는, 카드사에선 이렇다 할 해결책이나 확실한 대응 방법을 내놓지 않고 있다는 점이다.   한 한인 업체에선 몇 년째 수십장의 기프트카드 해킹이 발견되고 있지만, 그때마다 카드사에 연락해 하나씩 처리하고 있다. 담당자는 “매년 20~30장씩 잔액이 없거나 줄어든 카드가 발견됐고, 전체 구매량 중 절반은 해킹됐다”고 전했다. 해킹된 카드를 신고하더라도, 카드사의 리뷰 절차를 거쳐 새 카드를 보내주기까진 6개월이나 걸린다. 새롭게 보내 준 선불카드조차 해킹된 경우도 있었다.     주먹구구식 카드사의 대응에 소비자들도 분통을 터뜨리고 있다. 레딧 등 온라인 커뮤니티에선 소비자들이 기프트카드 해킹 사고를 신고하면 상담사에 따라 처리 방식이 다르다며 불만을 제기하고 있다.  한 기프트카드 사기 피해자는 “아멕스카드 측에 전화를 걸었으나 처음 전화를 받은 상담사는 직접 구매한 정보가 있어야 환불이 가능하다고 했는데, 다시 전화를 거니 다른 상담사는 그냥 다시 카드 잔액을 채워주겠다고 했다”고 전했다.   전문가들은 기프트카드 잔액 사기를 발견하면 즉시 카드 뒷면에 있는 고객서비스 번호로 연락하고, 환불이나 재충전을 거부하면 FTC 신고 센터(ReportFraud.ftc.gov)로 연락할 것을 권했다.  김은별 기자 [email protected]기프트카드 잔액 기프트카드 잔액 기프트카드 해킹 기프트카드 사기

2025.01.06. 20:06

썸네일

[택스클리닉] IRS 미지불 잔액 통지

Q. 이미 납부한 2023년 세금에 대해 IRS 미지불 잔액 통지를 받은 경우 어떤 조치를 취해야 하는지요?   A. 최근에 일부 꽤 많은 납세자가 2023년 세금 신고서를 통해 이미 세금을 전액 납부했음에도 불구하고 미납 잔액을 나타내는 balance due notices (CP14) 통지를 받고 있습니다.   CP14는 미납된 세금에 대해 납부해야 할 금액을 알려주는 미지불 통지서입니다. 21일 이내에 지불을 요청합니다. 미결제 잔액이 60일 이내에 전액 지불되지 않으면 IRS는 징수 활동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가장 먼저 알아야 할 것은 당황하실 필요는 없다는 것입니다. 하지만 그냥 무시하지는 마십시오. 우선 세금이 납부되었는지 확인하시고 전액 세금을 납부했다는 서류를 잘 보관하시면 됩니다. 결제가 아직 처리되지 않은 경우에는 정보를 준비하고 통지서에 있는 전화번호로 전화하거나 확인 정보를 우편으로 60일 이내에 제출하셔야 합니다. 따라서 60일 마감일로부터 최소 10일 전에 계정에 결제 금액이 적용된지 확인하시고 조치하셔야 합니다.   하지만 만약에 실수를 했고 CP14 통지가 올바른 경우에는, 벌금과 이자를 줄이기 위해 최대한 빨리 조치를 취하시기를 바랍니다. 통지서에 기재된 날짜까지 전액을 납부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몇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납부해야 할 세금의 유형과 금액에 따라 분할 납부 계획, 단기 연장, 세금 삭감 제안, 징수 불능상태 등 다양한 옵션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요청한 날짜까지 회신해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특정 항소 권리를 상실할 수 있습니다.     IRS가 보내는 각 통지나 편지에는 연락처 정보가 포함되어야 합니다. 실시간 전화 대기 시간이 길거나 두세번 이상 전화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IRS 통지서에 대한 응답도 오랜 지연이 있을 수 있습니다.     납세자가 도와줄 세무 전문가를 고용할 여력이 없는 경우 대리인으로부터 무료 또는 저렴한 비용으로 도움을 받을 수도 있습니다. 저소득 납세자 클리닉(LITC) 은  IRS와는 독립된 기관입니다. 소득이 특정 수준 미만이고 IRS와 세금 문제를 해결해야 하는 납세자를 대행해서 일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저소득 납세자 클리닉은 IRS나 법정에서 감사, 항소 및 세금 징수 분쟁에서 납세자를 대표할 수 있습니다.     IRS 통지서나 미로와 같이 복잡한 징수 절차를 이해하기 쉬운 것은 아닙니다. 추가 도움이 필요한 경우 전문가의 도움을 받을 수도 있습니다. 공인 텍스솔루션 스페셜리스트와 같이 징수 문제를 지속해서 처리하면서 타협 경험이 많은 전문가들은 삭감된 액수로의 분할 납부 계획이나 여러 가지 옵션, 여권 문제 해결, 차압이나 부동산 선취권 문제 등을 효과적으로, 스트레스를 최소화하면서 해결해 나갈 수가 있습니다.   ▶문의:(213) 383-1127   제임스 차 / 공인 택스솔루션 스페셜리스트택스클리닉 미지불 잔액 미지불 잔액 세금 문제 세금 징수

2024.08.11. 19:00

[우리말 바루기] ‘잔고’, ‘잔액’

다음 중 일본식 표현 또는 일본어 발음이 아닌 것은?   ㉠잔고 ㉡구좌 ㉢거래선 ㉣에누리   우리가 사용하는 말 가운데는 일본식 표현이나 일본어 발음이 적지 않다. 이들 단어가 어딘지 모르게 어렵게 느껴지는 것은 이런 이유가 있기 때문이다.   ‘㉠잔고’를 보자. 은행에서 많이 쓰이는 용어다. “잔고가 부족하다” “통장 잔고가 바닥났다”처럼 사용된다. 여기에서 잔고(殘高·ざんだか)는 일본식 한자 조어에 따른 표현으로 우리식인 잔액(殘額)으로 바꿔 쓰는 것이 바람직하다. 생산고·수출고·판매고 등도 생산액·수출액·판매액으로 바꿔 사용하는 것이 좋다.   ‘㉢구좌’ 역시 일본식 표현이며 계좌(計座)로 바꿔 쓰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건이나 돈 등을 계속 거래하는 곳이란 의미로 사용하는 ‘㉢거래선’도 마찬가지다. 사고판다는 뜻의 우리말 거래(去來)에 일본에서 장사나 교섭 상대를 나타내는 말로 쓰이는 ‘선(先·さき)’을 붙여 만든 일본식 한자어다. 이러한 ‘선(先)’은 ‘처(處)’로 바꾸면 된다. 즉 ‘거래선’은 ‘거래처’라고 하면 된다. 구매선·구입선·판매선 등도 구매처·구입처·판매처로 바꿔 쓰는 게 바람직하다.   그렇다면 ‘㉣에누리’는 일본어 발음이 아닐까? 그렇게 생각하는 사람이 있으나 ‘에누리’는 순우리말이다. 값을 깎는 것을 뜻한다. 이처럼 간혹 일본말로 오해받는 것으론 사리·모도리·짬짜미 등도 있다. 각각 국수 등을 포개어 감은 뭉치, 아주 야무진 사람, 자기들끼리 짜고 하는 약속을 뜻하며 모두 순우리말이다.우리말 바루기 잔고 잔액 통장 잔고 우리말 거래 한자 조어

2023.09.06. 19:31

쓰지도 않은 기프트카드 잔액이 '0'?

#김 모씨는 한 해를 마무리하며 대형 수퍼마켓 랠프스 매장에서 매대에 걸린 현금 기프트카드 4장을 선물용으로 구매했다. 혹여 포장이 뜯긴 흔적이 있는지 확인했지만 멀쩡했다. 캐시어에게 카드 한장당 200달러를 충전하고 이를 지인들에게 선물했다. 그런데 한 지인으로부터 기프트카드를 쓰려니 잔액이 없었다는 연락을 받았다. 그는 랠프스에 문의했지만 책임이 없다는 말만 했다. 기프트카드 발행 업체의 고객서비스 센터에도 문의했더니 해킹당한 것 같다는 답변을 들었다. 보상에 대해 묻자 업체는 클레임을 걸어야 하고 이를 해결하는데 몇 주가 걸릴 수 있다고 말했다.   #이 모씨는 선물로 받은 파네라 브레드 기프트카드를 한번 사용하고 몇 주 후 다시 음식을 결제하려고 했더니 잔액이 부족했다. 스마트폰 앱으로 사용 내용을 확인했더니 전혀 알지 못하는 동네에서 결제가 된 것으로 나왔다. 이씨는 업체에 항의해서 사과와 함께 e-기프트카드를 받았다.   연말연시 선물용으로 인기를 끄는 기프트카드의 해킹 사건이 많이 발생하고 있어서 소비자들의 주의가 요구된다.   연방공정거래위원회(FTC)를 포함한 정부 당국은 할러데이 시즌마다 기프트카드 관련 해킹 관련 불만 접수가 끊이질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전국은퇴자협회(AARP)에 따르면 소비자 10명 중 2명이 넘는 21%가 선물로 받은 기프트카드 잔액이 ‘0’이었던 경험이 있다고 답한 것처럼 기프트카드 해킹 피해는 매년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보안 전문가들은 “해커들이 갈수록 더 교묘하고 복잡한 방법으로 기프트카드의 돈을 갈취하고 있다”며 “e-기프트카드도 해커들의 먹잇감이 되면서 이에 대한 해킹 사건 역시 증가세에 있다”고 주의를 당부했다.   전문가들은 또 “기프트카드 해킹이 연례행사처럼 되고 있다”며 “이전에는 카드번호와 뒷면 스크래치형 보안코드가 유출돼 발생했지만, 최근에는 포장에 손댄 흔적이 없는데도 그런 일이 벌어지고 있다”고 강조했다. 구매하거나 선물 받은 기프트 카드의 잔액이 하나도 없을 경우 해킹을 의심해야 한다는 설명이다.   김 모씨는 “지인의 전화를 받고서야 기프트카드가 해킹될 수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며 “이전에도 이런 해킹 피해를 당했지만 나에게 알려주지 않고 기분만 나빠한 지인이 있을 수도 있겠다는 생각까지 했다”고 말했다.   보안 전문가들은 ▶기프트카드 구매 전에 해킹 시 보상 정책에 대해 알아보고 발생할 수 있는 해킹 피해를 최소화하고 ▶가급적 매대에 있는 기프트카드보다는 별도로 보관하고 있는 카드를 구입하며 ▶매대에 걸린 카드를 매입해야 한다면 카드 포장이 뜯긴 흔적이 있는지 잘 확인해야 하고 ▶기프트카드를 거래하는 온라인 사이트에서의 구매를 피하라고 조언했다.   특히 e-기프트카드 구매 전 본인 컴퓨터에 악성 소프트웨어나 바이러스가 있는지 검사하고 있다면 완전하게 치료해서 구매 과정에서의 정보가 새어나가지 않도록 해야 하며 e-기프트카드도 무작위로 카드 번호가 생성되는 카드를 사면 해킹 위험성을 낮출 수 있다고 덧붙였다.     진성철 기자기프트카드 잔액 기프트카드 잔액 기프트카드 해킹 기프트카드 구매

2021.12.30. 20:39

썸네일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