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 그대는 새벽녘 최후의 황혼이 빛날 때, 무엇을 볼 수 있다고 자랑스럽게 외칠 수 있겠는가? (Oh! Say, you can see, by the dawn’s early light, What so proudly we hailed at the twilight’s last gleaming?)’ 미국 국가인 ‘별처럼 빛나는 깃발(The Star-Spangled Banner)’ 의 첫 노랫말이다. 아름답게 핀 장미꽃이 우리 곁을 떠나려 한다. 그렇지만 그냥 훌쩍 떠나지 않고 값진 것을 남겨 놓았다. 바로 미국의 ‘국기의 날(Flag Day)’이다. ‘국기의 날’은 1777 년 6월 14일 미국의 각 주 대표자 회의에서 성조기(The Stars and Stripes)를 국기로 인정한 날을 기념하기 위한 것이다. ‘국기의 날’은 국기 제정 100년을 기념하기 위해 1877년에 처음으로 공식 축하행사가 열렸다. 특히 뉴욕 주지사는 1897년 ‘국기의 날’을 공식 인정했고, 1949년 트루먼 대통령은 6월 14일을 ‘국기의 날’로 공식화했다. 1812년 독립전쟁 당시 영국군은 미군이었던 변호사 프랜시스 키를 포로로 잡아 배에 태웠다. 구름과 안개가 낀 전선은 앞을 구분하기가 어려울 정도였다. 그러다 오전 7시 쯤 날이 밝자 전쟁터 건물 벽에 성조기가 휘날리고 있음을 본 프랜시스는 벅차오르는 심정으로 ‘별처럼 빛나는 깃발’의 가사를 저기 시작했고 다음날 석방되어 볼티모어로 돌아와 시를 완성했다. 프랜시스 키의 이야기를 들을 때 우리 애국가 가사가 안타깝게 떠올랐다. ‘동해물과 백두산이 마르고 닳도록’ 이라는 가사 때문이다. 이는 얼마나 공상적이고 비현실적인 내용인가. 반면 새벽녘 빛나는 별을 보는 희망을 노래하는 가사는 얼마나 건설적이고 현실적인가. 동해와 백두산이 마르고 닳아 버리면 지구는 끝나고 마는 것 아닌가. 더구나 ‘보아라! 동해의 하늘이 열려 있고 아침 해가 솟아있네’라고 동해를 마치 제 나라 땅인 것처럼 표현한 일본 군가도 있지 않은가. 메릴랜드 주 프리데릭에 있는 프랜시스 키의 무덤에는 성조기가 휘날리고 있다. 키가 쓴 ‘별처럼 빛나는 깃발’ 의 끝 부분은 다음과 같다. “우리 국민을 지키고 보전한 큰 힘을 찬양하자. 우리의 주장이 정당하다면 우리는 정복해야 하는 것일세. 이것은 하나님 안에서 믿음을 갖는 좌우명이기 때문일세. 별처럼 빛나는 깃발은 승리의 표상이며 자유의 땅과 용감한 가정의 깃발이기도 하네. (Praise the pow’r that hath made and preserved us a nation. Then conquer we must, when our cause it is just, And this be our motto -“In God is our trust.” And the star-spangled banner in triumph shall wave O’er the land of the free and the home of the brave.)” 윤경중 / 목회학박사·연목회 증경회장열린광장 장미꽃 선물 국기 제정 변호사 프랜시스 새벽녘 최후
2024.06.23. 19:00
어느덧 6월이다. 장미꽃이 활짝 피는 아름다운 달이다. 먼저 이름에 ‘장미(Rose)’라는 말이 들어 있는 한 여성이 생각난다. 바로 어네스틴 포로우스키 로즈라는 여성 인권 운동가다. 그녀는 1869년에 ‘국민여성참정협회(National Woman Suffrage Association)’라는 단체를 창설하는 등 여성의 정치 참여에 크게 이바지한 인물이다. 아름다운 6월이지만 역사적으로 치열한 전투도 벌어졌던 달이다. 미국의 독립전쟁이 한창이던 1775년 6월 17일, 독립전쟁 중 가장 치열했던 전투로 알려진 벙커힐 전투가 벌어졌다. 미국 독립전쟁은 미국 13개 주가 독립을 위해 영국군과 싸운 것으로 1775년 4월 19일 시작해 8년 간이나 지속했다. 또 하나는 세계 2차대전 중이던 1944년 6월 6일 연합군과 독일군 사이에 벌어졌던 전투다. 당시 연합군은 치열한 전투 끝에 프랑스 북부에 주둔하고 있던 독일군을 물리쳤다. 역사적으로 6월에도 많은 일이 벌어졌고 유명인들의 출생도 많았다. 6월에 있었던 역사적인 일 가운데 하나가 미국 국기의 탄생이다. 연방의회는 1777년 6월 14일 성조기(Stars and Stripes)를 미국 국기로 채택한다고 발표했다. 6월에 출생한 대표적 인물은 프랑스의 천재 철학자이자 과학자, 수학자인 블레즈 파스칼이다. 그의 출생일은 1623년 6월 19일이다. 독일의 유명 작곡가인 로버트 슈만이 1810년 6월 8일 태어났고, 미국의 웅변가이자 성직자인 헨리 워드 비처는 1813년 6월 23일에 출생했다. 그런가 하면 1875년 6월 6일에 태어난 독일 소설가 토마스 만과 17년 뒤인 1892년 6월 26일에 출생한 미국의 여류 소설가 펄 벅은 나란히 노벨상을 받았다. 미국의 작가이자 사회복지 사업가로 유명한 헬렌 켈러 여사가 출생한 것은 1880년 6월 27일이다. 켈러 여사는 출생 후 두 살이 될 때까지 심하게 병을 앓았다. 그로 인해 결국 시력과 청력을 잃고 말았다. 하지만 켈러 여사는 7살 때 앤 설리번이라는 은인을 만나 삶의 방향이 바뀌게 된다. 설리번은 실명 위기까지 갔던 자신의 경험을 살려 켈러 여사에게 글씨 쓰는 방법을 가르쳤다고 한다. 이후 켈러 여사는 활발한 저술 활동과 사회 활동을 벌였으며 그 공로로 많은 상을 받았다. 6월에는 건설 분야에서도 뛰어난 인물이 태어났다. 조지 고털즈라는 미 육군 공병장교다. 1858년 6월29일 태어난 고털즈는 독특한 공법으로 세계에서 가장 웅장한 파나마 운하의 완성을 이끈 인물이다. 당시 미국의 루스벨트 대통령이 고털즈 중령을 파나마 운하 건설 책임자로 임명했다. 고털즈는 1914년에 군에서 전역한 후 파나마지역 주지사로 근무하기도 했다. 그런가 하면 한국에서는 ‘장미’라는 단어가 들어간 잡지가 있었다. 1921년 창간호를 낸 한국 최초의 시 전문 동인지 ‘장미촌(薔薇村)’이다. 하지만 낭만주의를 표방했던 장미촌은 아쉽게도 그해 5월 창간호를 끝으로 폐간하고 말았다. 윤경중 / 목회학 박사·연목회 창설위원열린광장 장미꽃 켈러 여사 파나마지역 주지사 벙커힐 전투
2024.06.09. 19:22
2월은 다른 달에 비해 2,3일이 부족한 달이기에 애잔하고 허전한 느낌이 든다. 하지만 2월은 사랑의 달이다. 2월14일이 아름다운 사랑이 꽃피는 ‘발렌타인스 데이’ 이기 때문이다. 사람과 사람 사이의 사랑만큼 값지고 보람 있는 것은 없으리라. 사랑한다는 일은 절대의 신앙이요, 순수한 아름다움이다. 사랑을 전하는 발렌타인스 데이는 사랑하는 대상에게 담아 두었던 마음을 표현하는 날이다. ‘사랑한다’는 말은 기분 좋은 말이며 세상을 아름답게 한다. 말을 하는 사람도, 듣는 사람도 모두 행복하다. 사랑이 없는 인간관계란 공기 없는 동굴과도 같다. 그렇기 때문에 더 사랑을 찾고, 사랑에 기대고, 사랑에 몰입하는 모습을 천만 가지로 그려내며 산다. 사랑에는 나이가 없다. 사랑 때문에 울고 웃고, 고통받는다 하더라도 사랑은 인생에 불을 지펴주는 황홀한 연소이며 갱신의 불이다. 불 꺼진 삭막한 인생길 보다는 불타는 행복한 시간을 갖는 것이 낫다. 남편 생전에 꽃을 받아본 적이 없는 나는 남편에게 꽃을 받는 기분이 어떨까 궁금했다. 그래서 지인들에게 “기분이 어땠냐?”고 물었다. 말로는 안 하던 짓 갑자기 왜 하냐고, 꽃 살돈 있으면 현찰로 주든가, 저녁이나 살 것이지라고 핀잔을 줬지만 속으로는 로맨틱한 기분이 들어 좋았다고 한다. 야구에서 투수가 아무리 스트라이크를 던져도 포수가 잘 받아주지 못하면 스트라이크 판정을 받지 못한다. 두 사람의 호흡이 잘 맞아야 한다는 의미다. 우리 세대는 발렌타인스 데이가 무엇을 하는 날인지 모르고 살았다. 우리 문화가 아니기 때문이다. 한국 남편들은 감정을 잘 드러내지는 않지만 그들 나름대로 아내에게 애정을 표현하는 은은한 언어가 있다. 반면 미국인 남편들은 아내에게 끊임없이 “당신을 사랑한다”고 말한다. 이 말이 뜸해지면 애정이 식은 것으로 간주한다. 레이건 전 대통령이 아내 낸시 여사에게 보낸 발렌타인스 데이 카드를 보면 구구절절 애정이 넘쳐난다. “당신은 나의 행복 그 자체요. 내가 당신을 스윗 하트라고 부르는 이유는 당신처럼 달콤한 사람이 없기 때문이오. 나에게는 하루하루가 발렌타인스 데이요. 내가 왜 당신을 사랑하는지 아오? 당신은 항상 당신답기 때문이오. 내가 이 세상에 다시 태어나서 배우자를 선택하라면 주저 없이 당신을 또 택할 것이오. 당신과의 삶은 정말 후회가 없었소.” 발렌타인스 데이 장미꽃에는 이 정도의 사랑 고백이 담긴 카드도 함께 보내야 한다. 덜렁 꽃만 보낸다면 쓸데없는 짓 한다는 핀잔을 듣기 십상일 것이다. 선물에는 마음이 담겨야 하는데 마음 표시는 없고 비싼 꽃만 전달되면 효과가 떨어진다. 사랑은 아름다운 삶의 주제이며 원천이다. 설사 죽음 같은 아픔이 올지라도 영원히 마르지 않는 사랑의 샘물을 마시며 살 수밖에 없다. 사랑의 샘물은 나를 키우고, 내 영혼을 빛내고, 내 인생을 영롱한 꽃 빛으로 물들이는 생명수다. 우리는 누구나 신비로운 그 샘물을 마시며 살아가는 것이다. 사랑하면서 살아간다는 것은 인생을 사랑하는 길인 것이다. 사랑의 날을 맞아, 사랑을 돌아본다. 짧은 인생에서 나는 지금 어떤 사랑을 가꾸며 표현하고 있는가. 김영중 / 수필가이 아침에 장미꽃 단상 사랑 고백 사랑 때문 발렌타인스 데이
2024.02.08. 20:22
‘오! 그대는 새벽녘에 최후의 황혼이 빛날 때, 무엇을 볼 수 있다고 자랑스럽게 외칠 수 있겠는가? (Oh! Say, you can see, by the dawn’s early light, What so proudly we hailed at the twilight‘s last gleaming?)’ 미국 국가인 ‘더 스타-스팽글드 배너(the Star-Spangled Banner)’의 첫 구절이다. 미국의 국기제정기념일이 6월 14일인데 이날 성조기를 보면서 미국 국가를 부르는 광경이 참 이채롭다. 성조기를 국기로 제정할 당시인 1777년엔 13개 주만 있어 처음에는 13개의 별과 13개의 줄무늬로 국기가 만들어졌다. 그 뒤 가입하는 주의 숫자대로 별과 줄무늬가 늘어났다. 성조기가 장미꽃을 상징하는 6월에 만들어진 것이 꽤 인상적이다. 6월에도 많은 유명인이 태어나고 일 들도 많았다. 우선 첫날, 즉 1801년 6월 1일에 모르몬교 2대 교주인 브리검 영이 출생했다. 1875년 6월 6일에는 노벨상을 받은 독일의 소설가 토마스 만, 1810년 6월 8일엔 유명 작곡가인 로버트 슈만, 그리고 1864년 6월 11일에는 작곡가이며 지휘자인 역시 독일 출신의 리하르트 슈트라우스가 태어났다. 미국에서는 1811 년 6월 14일에 ‘엉클 톰 캐빈’의 저자 해리엣 비처 스토우가 출생했다. 또 조지 워싱턴이 독립군 총사령관에 임명된 것이 1775년 6얼 15일이다. 그런가 하면 1903년 6월16일에는 포드 자동차가 설립됐다. 프랑스에서는 유명한 가극 ‘파우스트’ 를 작곡한 샤를르 후랑스와즈 구노흐가 1818년 6월 17일에 파리에서, 수학자이자 과학자이며 이름난 철학자인 블래즈 피스칼이 1623년 6월 19일태어났다. 그런가 하면 프랑스의 황제 나폴레옹 1세는 1815 년 6월 18일과 22일 두 차례 워털루 전투에서 패하고 말았다. 6월은 한국에서도 잊을 수 없는 달이다. 1950년 6월 25일 북한군의 남침이 있었기 때문이다. ‘대지(The Good Earth)’ 란 소설로 1932년에 퓰리처상, 1938년 노벨 문학상을 받은 펄 벅 여사가 1892년 6월 26일 태어났다. 헬렌 켈러 여사의 출생일은 1880년 6월 27일이다. 끝으로 연도는 다르지만 6월 29일에 태어난 미국의 유명한 과학자 세 사람이 있다. 파나마 운하를 완공한 조지 고털즈가 1858년에, 메이요 재단을 설립한 윌리엄 제임스 메이요가 1861년, 태양광을 연구한 천문학자 조지 엘러리 해일이 1868년 이날 태어났다. 윤경중 / 연세목회자회 증경회장열린광장 장미꽃 역사 성조기가 장미꽃 천문학자 조지 조지 워싱턴
2023.06.01. 19: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