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한 로컬 한인신문 1면 톱 기사가 눈에 들어왔다. ‘한인 최초 미 공군 장성 출신 새라 러스 준장, 고향 부산에서 한미 정례 연합훈련 가교 역할’이라는 기사로 14일 종료된 한미연합훈련 ‘자유의 방패’에서 한미연합공군 협조단장으로 활약한 새라 러스 예비역 준장에 대한 이야기였다. 기사에 따르면 러스 준장은 15세인 1983년 가족이민으로 미국에 와 UC샌디에이고 졸업 후 1994년 장교로 공군에 입대했다. 그리고 지난 2022년 한국계 최초로 미 공군 장성이 됐다. 실향민 부모를 둔 한인 1.5세가 미군 장성이 돼 40년 만에 고국을 찾았다는 것은 한인이라면 누구라도 자랑스러워 할 대단한 성취임이 틀림없다. 하지만 기사에는 명백한 오류가 있다. 바로 ‘한인 최초의 미 공군 장성’ 이라는 내용이다. 관련 기사들을 찾아보니 한국의 많은 언론이 러스 대령의 준장 진급 당시 ‘미 공군에서 한국계 미국인 최초로 장성 진급’이라고 보도했다. 하지만 이는 오보였다. 러스 준장에 앞서 미 공군 장성에 오른 한국계 여성이 있었기 때문이다. 바로 샤론 K.G. 던바 공군 소장이다. 어떤 근거로 오보가 나오게 됐는지 알 수 없으나 다른 언론들이 팩트 체크 없이 첫 보도를 그대로 인용하면서 벌어진 일이었다. 던바 소장은 어머니가 한인이다. 시카고 태생으로 1982년 미 공군사관학교 여생도 3기로 졸업 후 소위로 임관했다. 조달, 훈련, 정치-군사 및 지휘 직책을 두루 거친 던바 소장은 2008년 준장, 2011년 소장으로 진급했다. 특히 던바 소장은 미 공군에서 여군 최초로 메릴랜드주 앤드루스 합동기지에 본부를 둔 합동군사령부 수도권 공군부대인 워싱턴 공군지구(AFDW) 사령관과 320 항공원정비행단 사령관을 역임한 것으로 유명하다. 던바 소장이 한국계임을 확인한 것은 지난 2012년이었다. 그해 1월 남가주 출신 미 7군 제30 의무사령부 존 조 대령이 준장 진급자로 지명받았다는 기사를 쓴 것을 계기로 미군 내 한인 장성 현황 취재를 시작하면서다. 이어 하와이 이민 3세로 일리노이주 스콧 공군기지 항공기동대 사령부 작전본부장으로 있던 마이클 김 준장의 소장 진급 소식, 어머니가 한인인 론 맥라렌 해군 준장(2009년 진급)이 국방부 군수국합동 예비보급지원부 디렉터로 복무한다는 기사 등을 단독 보도했다. 제한된 정보와 군이라는 특수성 때문에 취재에 어려움을 겪던 중 일본계 재향군인단체가 미군 내 아태계 장성 5명을 소개한 간행물을 찾을 수 있었다. 그중 한명이 던바 소장이었는데 이름만으로는 한인 여부를 알 수 없어 해당 단체에 문의한 결과 한국계 미국인이라는 답을 듣게 됐다. 이후 소셜미디어에서 던바 소장을 찾아 미군 내 한인 장성을 찾고 있다며 인터뷰 요청을 했었다. 며칠 후 “연락 고맙다”는 말과 함께 펜타곤 공식 이메일 계정으로 다시 연락해 달라는 답신을 받고 인터뷰 질문지를 보냈다. 이후 수차례 연락이 오갔지만 7월 AFDW 사령관이라는 중책을 맡게 되면서 결국 보안 이슈로 인터뷰 승인이 나질 않아 5개월간의 노력이 물거품이 됐다. 던바 소장의 부탁으로 기사화는 무산됐지만 던바 소장이 한국계 최초의 미군 장성이자 최고 계급이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2014년 32년간의 군 생활을 마치고 전역한 던바 소장은 항공우주 방위산업 분야에서 일하면서 정부 자문 위원회와 비영리 단체 등에서 활동하고 있다. ‘최초’라는 타이틀은 역사적으로 중요한 의미가 있지만 사실 확인이 되지 않는다면 가치와 격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 러스 준장의 성공 스토리를 깎아내리려는 것이 결코 아니다. 자랑스러운 한인사를 제대로 알고 평가하자는 얘기다. 한국 언론들이 의도치 않은 오보를 내게 된 것은 미주 한인 사회에 대한 정보와 지식 부족 때문에 발생한 해프닝이 아닐까 싶다. 미주 한인 디아스포라 역사가 120년이 넘었고 재외동포청도 출범했다. 이제 한국 언론들도 깜짝 뉴스나 단발성 화제 정도로 미주 한인 스토리를 전할 게 아니라 역사적 기록이 될 수 있도록 한인 사회에 관심을 가져야 할 때다. 박낙희 / 경제부 부장중앙칼럼 한인 사회 로컬 한인신문 한국계 여성 한국계 최초 장성 던바 소장 한인 장성 한국계 장성 오보 팩트 체크 미군 한인사 가주 미국 LA 이민 언론 보도 최초 한국계 미국인 러스 준장 칼럼
2024.03.18. 19:26
━ 장성 갈재 조종현 (1906-1989) 동란에 울었겄다 장성 갈재 엉엉울어 산신령 있다 하면 저도 넋을 잃었으리 오늘은 잠풍한 날씨 구름 동동 떴구마는. - 우리시대 현대시조 100인선 ━ 언제 진정한 평화가 올까? 장성 갈재는 전남과 전북의 도 경계를 이루는 고개다. 갈재라는 이름은 갈대가 많다 해서 붙은 것인데 일제 강점기에 한자식 노령(蘆嶺)으로 바뀌었다. 노령산맥이란 이름이 여기에서 나왔다. 그런데 실제는 억새가 만발하다. 영조 때의 문신 이정보가 ‘바람도 쉬어 넘는 고개’라고 노래했던 산세가 험한 곳이다. 동학농민전쟁 때 전봉준이 이끄는 농민군이 장성 황룡 전투에서 관군을 대파하고 전주를 향해 넘던 고개이기도 하다. 6·25의 참극은 이곳도 비껴가지 않았다. 동족상잔의 처절한 비극에 장성 갈재도 엉엉 소리 내어 울었을 것이다. 산신령이 있다고 하면 그도 넋을 잃지 않았겠는가. 그런데 오늘은 무심한 하늘에 구름만 떴다. 바람은 고요하기만 하다. 70년이 지났어도 휴전선에서 들리는 소리는 아직도 불안하다. 언제나 진정한 평화가 올 것인가. 본명은 용제(龍濟). 1922년 불문(佛門)에 귀의하고 만해 한용운의 지도로 조선불교학인연맹에 가담하였다. 1929년 조선일보에 동요 ‘엄마가락지’를 발표하며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6·25 이후에는 교육계에 투신해 광주서중·광주일고 교사 등을 지냈다. 1982년 불교 총화종 종정에 추대되었다. 대하소설 『태백산맥』의 작가 조정래가 아들이며, 『사랑굿』의 시인 김초혜가 며느리다. 유자효 / 시인시조가 있는 아침 장성 장성 황룡 광주일고 교사 한자식 노령
2023.03.30. 20:09
써니 박 OC 4지구 수퍼바이저 후보가 세계적 피아니스트인 장성(사진) OC뮤직소사이어티 감독과 함께 내달 3일(토) 오후 7시 브레아 시빅센터(1 Civic Center Cir) 커티스 시어터에서 기금 모금 콘서트를 개최한다. 박 후보 캠프는 수익금 일부로 싱글맘과 여성 노숙자를 위해 봉사하는 비영리단체를 지원한다고 밝혔다. 콘서트 주제는 ‘쉼(Rest)’이다. 박 후보는 “11월 8일 선거를 앞두고 몸과 마음을 재충전하는 시간을 갖자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박 후보는 “아이의 어머니이자 여성 정치인으로서 여성 노숙자를 위한 봉사 활동 경험을 통해 사회에 만연한 성차별 등에 대해 많이 생각하게 됐다. 많은 이가 참석해 콘서트를 즐기고 뜻 있는 일도 하길 바란다”라고 말했다. 콘서트는 ‘러빙 워십’의 조셉 이 목사를 비롯한 젊은 사역자들이 기획했다. 이들은 콘서트 당일 자원봉사와 재능 기부도 할 예정이다. 장 감독은 3살 때 피아노를 시작, 16세에 한국예술종합학교에 영재 입학했다. 2003년 일본 나고야 국제콩쿠르 최연소 우승, 2006년 이탈리아 비오티 발세시아 국제콩쿠르 우승을 차지했고 2007년 하노버 국립음대에 진학해 연주자과정과 최고연주자과정을 우수한 성적으로 졸업하는 한편, 하노버 쇼팽 국제 콩쿠르에서 우승했다. 입장권 가격은 500달러이며, 온라인(https://secure.actblue.com/donate/sunnypark4ocsupervisor)에서 구입할 수 있다. 문의는 전화(949-923-9477)로 하면 된다.콘서트 장성 콘서트 개최 장성 기금 콘서트 주제
2022.08.30. 17: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