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방 정부가 각종 금융범죄와 싸우기 위해 인공지능(AI)을 활용하면서 성과를 거두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재무부에 따르면 머신러닝 AI를 이용해 2024 회계연도에만 전년 대비 6배나 급증한 총 40억 달러 이상 규모의 사기를 예방하고 회수하는 데 도움이 됐다고 CNN이 최근 보도했다. 특히 AI는 방대한 데이터 검색을 통해 10억 달러 상당의 수표 사기를 적발했는데 이는 이전 회계연도에 재무부가 회수한 금액의 거의 3배에 달한다. 재무부 회계정책 및 금융투명성 담당 레나타미스켈 차관보는 CNN과의 인터뷰에서 “정말 혁신적이었다. 데이터 활용을 통해 사기 적발 및 예방 수준을 한 단계 끌어올렸다”고 밝혔다. 다수의 은행과 신용카드 회사들이 범죄 예방에 나서고 있는 가운데 당국은 지난 2022년 말부터 금융 범죄를 적발하는데 AI를 사용하기 시작했다. AI 도입 목적은 팬데믹 기간 연방정부가 소비자와 기업에 긴급 지원금 지급에 나서면서 급증한 사기 범죄로부터 납세자의 돈을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전해졌다. 전문가들에 따르면 끊임없이 쏟아지는 데이터를 샅샅이 검토하고 미묘한 유형을 감지하는 데 있어 정교한 AI 모델을 학습시키면 단 몇 밀리초 만에 의심스러운 거래를 찾아낼 수 있다. 미스켈 차관보는 “사기꾼들은 몰래 시스템을 교묘히 이용하는데, 정말 능숙하다. AI와 데이터 활용은 이러한 숨겨진 패턴과 이상 징후를 찾아내고 사기 범죄를 방지하는 데 도움이 된다”고 설명했다. 이어 “AI 시스템이 의심스러운 거래를 찾아내긴 하지만 항상 사람이 개입한다”며 “사기 여부는 연방 기관이 최종적으로 판단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국세청(IRS)도 지난해 헤지펀드, 로펌 등의 대규모 복잡한 세금 보고서류 검토를 통한 탈세 적발을 목적으로 AI를 도입했다고 밝힌 바 있다. 박낙희 기자 [email protected]인공지능 금융 금융 범죄 사기 범죄 AI IRS 국세청 재무부 사기
2024.10.20. 18:00
연방 재무부가 인플레이션 연동 채권인 새로운 ‘I본드(I Bond)’ 시리즈를 공개했다. 지난달 30일 재무부에 따르면 재무부는 향후 6개월간 새로운 I본드 금리를 4.28%로 적용한다고 발표했다. I본드 보유자는 내달 1일부터 10월까지 연율 4.28%의 금리를 적용받게 된다. 기존 I본드 보유자의 금리도 조정된다. 작년 11월에 발표됐던 가장 최신 I본드 시리즈의 금리는 5.27%이었다. 직전에 비해 금리가 약간 낮아진 셈이다. 재무부가 발행하는 I본드는 인플레이션 리스크를 헤지하고 매우 낮은 리스크로 채권 투자자들의 관심을 받아왔다. 특히 40년 만에 최악의 인플레이션을 겪던 지난 2022년 5월 I본드의 금리는 9.62%를 기록하며 10%에 육박한 바 있다. 투자자들이 I본드를 매수하면 6개월 동안 금리를 고정으로 받을 수 있다.I본드는 이자를 두 가지로 받을 수 있는데 매수 후에 6개월 동안 고정되는 이자율과 인플레이션에 따라 6개월마다 변동되는 이자율로 구성된다. 전문가들은 I본드의 금리가 약간 낮아졌지만, 이는 여전히 매력적인 투자수단이라고 봤다. 카일 파이낸셜 파트너스의 제러미 카일은 “현재 금융 여건에서 단기 투자자들은 현금에서 더 좋은 기회를 볼 수도 있겠지만, 장기 투자를 하는 투자자들에게는 I본드가 여전히 매력적일 수 있다”고 말했다.재무부 인플레 i본드 금리 i본드 발표 인플레이션 연동
2024.05.01. 20:00
카드 정보를 복제하는 금융사기인 일명 ‘카드 스키밍(Card Skimming)’ 수법이 갈수록 교묘해지고 있다. 연방 재무부은 공공장소나 외부에 설치된 자동지급기(ATM)를 이용할 때는 각별히 조심하라고 당부했다. 23일 연방재무부에 따르면 카드 스키밍 사기범은 일반인이 ATM·주유소 주유기·전자미터기에서 데빗카드 또는 신용카드를 사용하는 순간을 노린다. 이들은 카드를 넣는 단말기 입구에 복제장치 또는 몰래카메라를 설치해 카드번호, 비밀번호 또는 우편번호 등 개인정보를 도용한다. 특히 카드를 넣는 단말기 입구에 복제장치를 설치한 경우 손쉽게 복제카드를 만들어 피해를 키울 수 있다. 사기범은 단말기 외에 키패드도 가짜로 덧씌워 우편번호 또는 비밀번호를 훔친다. 이와 관련 KTLA5는 노스웨스트 커뮤니티 크레딧 유니언이 제공한 카드 스키머 사진을 공개했다. 사기범이 카드복제를 위해 ATM에 설치한 가짜 단말기는 색깔이 짙고 뭉툭한 모양 등이 특징이다. 하지만 원본과 큰 차이가 없어 사용자가 방심하기 쉽다. 노스웨스트 커뮤니티 크레딧유니언 측은 ATM 단말기 주변에 접착제나 테이프가 보이고, 눈에 띄게 부피가 큰 단말기나 키패드가 부착되고, ATM 주변에 의심스러운 카메라 등이 붙어 있을 경우 스키밍 사기를 의심해야 한다고 전했다. 연방재무부 측은 “사기범은 최신기술을 활용해 개인정보를 훔치고 있다”며 “ATM 등을 사용할 때는 카드를 넣는 단말기 입구와 키패드를 확인하고, 기기 주위에 수상한 카메라가 설치됐는지도 확인하는 것이 좋다”고 강조했다. 한편 경찰은 카드복제 예방법으로 ▶집적회로(IC) 카드 사용 ▶인터넷 쇼핑 시 카드번호 자동저장 금지 ▶전화주문 시 개인정보 제공 주의 ▶카드 사용 시 문자·이메일 통보 서비스 이용 ▶식당 내 카드 직접결제 등을 권고했다. 연방정부는 신용카드 등 은행업무 관련 사기 등 예방법을 웹사이트(HelpWithMyBank.gov)로 안내하고 있다. 김형재 기자스키밍 재무부 카드 스키밍 카드 사용 카드복제 예방법
2024.02.23. 22:04
연방 재무부가 발행하는 인플레이션 연동 저축채권인 I본드 수요가 폭증했다. 27일 배런스에 따르면, 재무부는 지난 수요일(28일)로 끝난 주까지 19억5000만 달러의 I본드를 발행했다. 이는 10월 초반보다 약 7억 달러 증가한 것으로 7월부터 9월까지 월 22억~24억 달러를 발행한 것과 비교된다. 주목할 점은 금리가 9.6%에 달했다는 점이다. 금리는 6개월 마다 바뀌며, 11월 1일 기준으로 3~9월까지 소비자물가지수(CPI) 기반으로 약 6.5%까지 떨어질 것으로 배런스는 예상했다. 재무부의 시리즈I 저축 채권 금리는 첫 6개월 동안 9.6%에 달해 투자자들의 관심이 집중됐다. I본드에 대한 수요가 몰리면서 재무부의 ‘TreasureDirect’ 사이트 접속이 느려지기도 했다고 배런스는 전했다. 9.6% 금리에 이 채권을 매수하려면 오후 11시 59분까지 주문을 하고 확인을 받아야 한다. 이날 재무부 사이트는 역대 최고치의 50배에 달하는 계정 개설을 했고, 몇 천 명이 동시에 방문하기도 했다. 개인은 I본드를 1만 달러까지 매수할 수 있고, 세금 환급을 받으면 최대 1인당 5000달러를 더 매수할 수 있다. 조건은 구입후 12개월 이상 보유해야 하며, 5년 이내 매각할 경우 마지막 3개월치의 이자는 취소된다. 재무부는 홈페이지에 “현재 새로운 계정과 I본드 매수에 대한 전례없는 요청이 있다”며 “이런 규모로 인해 현재의 금리로 28일 마감일까지 구매를 완료할 수 있다고 보장할 수 없다”고 공지했다. 이에 재무부는 “에이전트는 가능한 한 빨리 고객을 돕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덧붙였다.재무부 i본드 재무부 i본드 i본드 매수 이날 재무부
2022.10.27. 22: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