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주중앙일보

광고닫기

전체

최신기사

일리노이 콩 재배 면적 증가

콩을 재배하는 일리노이 주 농가가 증가하고 있다.     최근 기술 발전과 콩 사용처가 확대됨에 따라 농가에는 새로운 수익 수단으로 자리잡고 있다.     일리노이 주는 전국에서 콩을 가장 많이 재배하고 있는 지역이다. 연간 6억7800만 부셸을 생산하고 있는데 최근 콩 생산은 계속 증가하고 있다.     2022년 기준 콩 재배 면적은 전국적으로 18%가 증가했고 생산량 역시 30%가 늘었다.     이처럼 콩 재배가 늘어나고 있는 것은 농업 기술 발전과 함께 콩을 이용한 친환경 제품이 속속 개발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콩을 이용해 친환경 디젤연료를 생산할 뿐만 아니라 최근에는 콩을 이용한 윤활유 개발과 함께 지붕 싱글에도 콩이 들어간 제품이 나오고 있다. 또 인쇄용 잉크에도 콩이 사용되는 경우가 흔하다.     이렇게 콩을 이용한 제품은 친환경적이라 환경 오염에도 도움이 되고 생산과 제작에도 더 안전하다는 장점이 있다. 지붕 싱글의 경우 현재까지는 아스팔트로 만들어진 싱글이 대부분이었지만 콩으로 만들어진 제품이 널리 보급될 경우 콩을 재배하는 농가 수입에도 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보통 일리노이 주에서 생산된 콩의 80%는 분쇄돼 가축 사료로 사용된다. 나머지는 오일로 생산되어 상업용 야채 기름이나 바이오디젤로 만들어진다.     콩 생산량이 크게 늘어난 이유로는 기술 발달도 영향이 있다. 씨앗이 더욱 개선된 이유가 큰데 2006년까지 전국적으로 뿌려진 콩 씨앗의 93%는 유전자 변형 등의 품종 개량을 거친 것으로 조사됐다.     일리노이 주에서 재배된 콩은 보통 농가에 설치된 곡식 저장고인 사일로에 1년 정도 보관하다가 부셸로 포장돼 타 지역으로 판매된다.     대부분은 일리노이 강과 미시시피 강을 이용한 수송 운송을 통해 루이지애나 주 뉴올리언스로 옮겨져 해외 수출되는 경우가 많다. 일리노이 주 콩의 주요 수출국은 멕시코와 중국 등으로 알려졌다.  Nathan Park 기자일리노이 재배 재배 면적 친환경 제품 친환경 디젤연료

2024.06.12. 13:34

썸네일

가주 재배 성공 ‘한국 딸기’ 한인마켓 판매

“복숭아향이 강하고 당도가 높아 입에 넣으면 부드럽게 녹아요”     지난해 7월 H마트 부에나파크 점에서 열린 가주농장의 ‘닥터 문 프로듀스(대표 문종범 박사)’의 금실딸기 시식행사에서 소비자들의 반응은 뜨거웠다.     이날 금실딸기 맛에 매료된 고객들의 구입 열기가 뜨거웠지만, 판매는 하지 않았다.     문종범 박사가 지난 3년 동안 시행착오 끝에 수확한 금실딸기를 미주지역에 첫선을 보이는 자리로 충분했다.     1년이 지난 후 금실딸기가 드디어 소비자의 시험대에 오른다. 내달 7일 H마트 코리아타운플라자 점과 부에나파크 점에서 판매가 시작된다. 이후 가주 전지역 매장으로 확장할 계획이다.     '닥터문 금실 딸기'는 문종범 박사가 한국 정부로부터 딸기 품종 라이선스 계약을 맺고 옥스나드에서 재배해 3년 만에 처음 수확한 한국 품종 딸기다.     그는 보스턴대학을 나와 서울대학교에서 경영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2007년 서른다섯 젊은 나이에 건국대학 교수가 돼 11년간 교단에 섰다. 2018년 한국 IT기업 와이즈와이어즈의 글로벌사업본부장으로 미국에 왔다.     농업이 미래산업이라 늘 생각했던 문박사는 미국에서 한국품종 딸기 재배 사업에 도전했다.     품종은 한국의 80%를 차지하는 설향 대신 키우기 힘들지만 달고 속 꽉찬 신품종인 ‘금실’을 선택했다. 설향의 당도가 평균 10.4 브릭스 정도인데 금실은 12브릭스 이상으로 훨씬 달고 경도가 강해 식감이 좋고 잘 짓무르지 않아 미국에서 유통하기 최적의 상품이었다.     금실딸기가 캘리포니아에서 재배되어 판매되기까지 문박사는 무수한 시행착오를 겪었다.     연방 농무부(USDA)에 한국산 딸기로는 최초로, 일본산인 요토보시 이후 2번째 종자 특허를 등록했다.     개발처인 경남과 수출협약을 맺고 2020년 7월 미국행 비행기에 금실딸기 조직배양묘 10주를 들고 왔다. 북가주 라센 육묘업체에서 240주로 증식했고 샌버나디노 농장에서 첫 육모가 시작됐다. 수없는 시행착오를 겪은 끝에 지난해 7월 옥스나드 농장에서 1만5000주로 폭풍성장했다.     현재 딸기농장 규모는 2에이커 정도로 내년에는 20배 정도 확장할 계획인데 부지 확보가 관건이다.     문박사는 “모종을 최대한 많이 만들면서 완벽한 시스템과 품질로 내년 대량 공급을 목표로 준비하고 있다”며 “올해는 판매 수량보다 소비자에게 첫선을 보이는 것에 의미를 두고 있다”고 밝혔다.     미국시장 내 한국산 딸기 시장성에 대해서는 낙관적이다.     문박사는 “제반 비용의 빠른 상승에 기후변화까지 겹쳐 미국 딸기 생산량이 줄고 단가는 올라가고 있다”며 “기술력 향상, 노하우 축적, 규모가 확장이 되면 금실 딸기 생산 단가는 하락해 3~4년 내 미국 딸기와의 가격 격차를 좁힐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는 “가주산 금실딸기는 H마트에서 판매를 시작해 브랜드 인지도가 높아지면 주류시장으로 확장할 것”이라며 “당도와 경도가 높은 한국 딸기 특화시장을 만들어 나갈 계획”이라고 포부를 밝혔다. 관련기사 서울대박사, 미국농부 되다(45·끝) 농부일기 45편 마침표…도전은 계속 서울대박사, 미국농부 되다(44) 강풍에 날아간 온실…'빨리빨리'의 교훈 서울대박사, 미국농부 되다(43) 벌들이 윙윙…크리스마스 선물은 수확 서울대박사, 미국농부 되다(42) 4년만에 꽃 피다…이제 열매 맺을 때 서울대박사, 미국농부 되다(41) 스마트팜 길목서 찾은 하이브리드 온실 서울대박사, 미국농부 되다(40) 농부가 매일 주유소에서 줄 서는 까닭 서울대박사, 미국농부 되다(39) 비료는 보약, 처방전대로 지어준다 서울대박사, 미국농부 되다(38) 한국딸기, 나파 밸리서 길을 찾다 서울대박사, 미국농부되다 (37) 금실 딸기의 어머니, 미국 오다 서울대박사, 미국농부 되다(36) "여러분은 소중하다" 한마디가 낳은 변화 서울대박사, 미국농부 되다(35) 규모 커진 딸기농장, 시스템을 갖추다 서울대박사, 미국농부 되다(34) 한국 딸기의 옥스나드 신화 이제 시작 서울대박사, 미국농부 되다(33) 모종 1500주 잃다…대책 마련 비상 서울대박사, 미국농부 되다(32) 과일 값 폭락은 밴드왜건 효과 탓 서울대박사, 미국농부 되다(31) 혼자 물주고 비료주는 똑똑한 기계 아세요 서울대박사, 미국농부 되다(30) 온실 인테리어, 모종 6천주로 완성 서울대박사, 미국농부 되다(29) 지붕이 생겼다, 완공 고지가 보인다 서울대박사, 미국농부 되다(28) 한여름에 가을 준비…땀과 땅은 정직하다 서울대박사, 미국농부 되다(27) 바람과 폭염, 7월 딸기밭은 고행 서울대박사, 미국농부 되다(26) 북가주서 옥스나드까지…한국 딸기의 '이민' 서울대박사, 미국농부 되다(25) 무모했던 딸기농사, 곧 1만배 성장 결실 서울대박사, 미국농부 되다(24) ‘온실 드림팀’과 꿈을 건설하다 서울대박사, 미국농부 되다(23) 쇠파이프와 사투, 50톤을 내려라 서울대박사, 미국농부 되다(22) 지으려면 부숴야하고 부숴야 배운다 서울대박사, 미국농부 되다(21) 한국에 유학보낸 직원, '절반의 성공' 서울대박사, 미국농부 되다(20) 570년전 조선, 세계 최초 온실 만들다 서울대박사, 미국농부 되다(19) 미국서 K농업 첫발…고품질 한국산 설비 LA로 서울대박사, 미국농부 되다(18) 한국서 자재 50톤 공수작전 시작됐다 서울대박사, 미국농부 되다(17) 인재 키우기가 농사보다 더 힘들다 서울대박사, 미국농부 되다(16) 낯선 한인에서 '멕시칸 인싸'로 서울대박사, 미국농부 되다(15) 그래, 딸기농사 오늘부터 1일째야 서울대박사, 미국농부 되다(14) 옥스나드 상륙작전, 카운트 다운 시작 서울대박사, 미국농부 되다(13) 자라지 않는 모종, 이유는 '짠물 지하수' 서울대박사, 미국농부 되다(12) 농부라 쓰고 맥가이버라 읽는다 서울대박사, 미국농부 되다(11) 요즘 농부 필수품은 스패니시·유튜브 서울대박사, 미국농부 되다(10) 눈물을 머금고 꽃대를 꺾다 서울대박사, 미국농부 되다(9) 마침내 시식회…"한국딸기 그 맛" 감탄 서울대박사, 미국농부 되다(8) LA, 30년만의 눈…농부는 속이 탄다 서울대박사, 미국농부 되다(7) 모종 담요 10장사니 "노숙자 아냐?" 수군 서울대박사, 미국농부 되다(6) 벼락치기로 육묘배워 사막행…시련의 시작 서울대박사, 미국농부 되다(5) '딸기 명당' 찾았더니 위기가 찾아왔다 서울대박사, 미국농부 되다(4) 프로 농부들의 현장 노하우를 베끼다 서울대박사, 미국농부 되다(3) 병아리 10마리서 16조원 신화, 딸기로 도전 서울대박사, 미국농부 되다(2) 한국 딸기, 유리병에 담겨 미국 이민 서울대박사, 미국농부 되다(1) 키우기 힘든 금실, 너로 정했다 이은영 기자한인마켓 재배 한국품종 딸기 한국산 딸기 금실딸기 조직배양묘

2024.01.30. 20:57

썸네일

조지아, 의료용 마리화나 재배 시작

  이제 조지아에서 합법적으로 의료용 마리화나가 생산된다.     지난 21일 '조지아 의료용 마리화나 위원회'는 '보테니컬 사이언스 LLC'와 '트루리브 조지아 Inc.'에 만장일치로 의료용 마리화나 생산 라이선스를 부여했다. 해당 회사는 THC (마리화나에 포함된 항정신성 물질) 함유량이 5% 이하인 마리화나 오일을 재배, 생산, 판매할 수 있다.     위원회는 라이선스를 발행하며 1년 이내에 생산 시작을 요구했다.     조지아주는 지난 2015년 의료용 마리화나 사용을 승인했으며, 이후로 2만 4400여명의 환자와 1만 7700의 간병인이 등록됐다. 하지만 정작 재배 및 생산 허가를 내리지 않아 등록 환자들은 그동안 조지아에서 합법적으로 의료용 마리화나를 구매할 수 없었다.     주로 중증 발작, 파킨슨병, 말기 암 등 중병을 앓고 있는 환자들이 의사로부터 의료용 마리화나 사용 승인을 받았다.   시드 존슨 위원회 의장은 애틀랜타 저널(AJC)에 "조지아에서 사용 허가를 받은 환자들에게 좋은 소식이다. 우리는 제품이 가능한 한 빠르고 안전하게 시장에 출시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전했다.     킴 리버스 트루리브 CEO는 "마리화나를 사용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이점을 조지아에 전파하고 싶다"고 말했다. 트루리브는 조지아 남부에 있는 아델 시에서 실내 재배 및 가공 시설 가동을 시작할 예정이다.     입찰된 두 회사는 10만 스퀘어피트 크기의 실내 공간에서 마리화나를 재배할 수 있으며, 약국을 5곳을 만들어 등록 환자에게만 제품을 판매할 수 있다.     윤지아 기자마리화나 의료용 재배 생산

2022.09.22. 15:25

썸네일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