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주중앙일보

광고닫기

전체

최신기사

한미동맹 재확인 결의안 발의

한·미 동맹의 의미와 중요성을 되새기고, 한인들이 미국 사회에 공헌한 것을 기념하는 내용을 담은 결의안이 연방의회에 제출됐다.   톰 수오지(민주·뉴욕 3선거구) 연방하원의원은 지난 23일 제119대 연방의회에서 ‘한미동맹 재확인 결의안’(H. RES. 64)을 제출했다.     결의안은 “2025년은 한국이 광복 80주년을 맞는 해로, 미국과 대한민국의 양자관계는 세계에서 가장 중요한 안보 및 경제 동맹 중 하나”라며 “한국은 미국에 직접투자를 하는 외국인 국가 중 빠르게 성장하는 나라이자, 미국의 7번째로 큰 무역 상대국이기도 하다”고 밝혔다.     또한 1903년 1월 13일 102명의 최초 한인 이민자가 미국에 첫발을 디뎠고, 현재 미국에 거주하는 200만명가량의 한인들이 미국의 다양성과 번영에 기여했으며 미 경제에 상당한 기여를 했다고 강조했다.   이에 따라 결의안은 ▶한미동맹의 중요성을 재확인하고 ▶인도-태평양지역 안보에 있어 한미동맹 중요성을 강조하고 ▶안보·경제·문화적 유대관계를 계속 강화해야 할 필요성을 강조하고 ▶미국 사회에 대한 한인의 중요한 공헌을 기념하고 ▶한국 문화-김치의 날을 지지한다는 내용을 담았다.   수오지 연방하원의원은 “한인 커뮤니티에서 발전시킨 우정을 소중히 여기고, 모든 사람이 한인들의 풍부한 유산과 업적을 인정하고 기념하길 바란다”고 전했다.     한편 이날 수오지 연방하원의원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취임식 참석차 미국을 방문한 이동섭 국기원장을 만나 명예 단증도 받았다. 이 원장은 김민선 미주한인이민사박물관장의 기획 하에 방미 기간 중 연방하원의원 6명에게 명예 단증을 수여했다. 김 관장은 “이 원장의 이번 방문은 한미동맹 강화뿐 아니라 의원들에게 태권도의 가치를 재확인시키는 기회가 됐다”고 평가했다.     미주한인이민사박물관은 이 원장과 함께 사라졌던 연방의회 내 태권도 클래스도 새로 개설하게 됐다. 수오지 의원을 비롯해 그레고리 믹스(민주·뉴욕 5선거구), 조 모렐(민주·뉴욕 25선거구), 마크 비지(민주·텍사스 33선거구) 연방하원의원 등이 다음 달 첫째 주부터 태권도 클래스를 수강하게 될 예정이다.  김은별 기자한미동맹 재확인 한미동맹 재확인 한미동맹 중요성 한미동맹 강화

2025.01.26. 19:24

썸네일

“한인으로서의 정체성 재확인하는 계기 되길”

122주년 미주한인의 날이 약 3주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브루클린한인회 관계자들이 오는 9일 열리는 ‘2025년 미주한인의 날 기념대회 뉴욕행사’에 한인 동포들의 뜨거운 관심을 당부했다.     행사 홍보차 지난 27일 뉴욕중앙일보 본사를 방문한 박상원 브루클린한인회장과 임원진은 “‘마틴 루터 킹 주니어 기념일’을 통해 흑인의 위상이 높아져 버락 오바마 대통령이 당선됐고, 미주한인의 날 제정 및 기념행사를 통해 한인사회 위상이 높아져 앤디 김 연방상원의원이 배출됐다고 생각한다”며 “이번 행사를 통해 더 많은 차세대 한인들이 미국사회의 주인이라는 책임의식을 갖고, 바람직하고 멋진 코리안아메리칸으로 성장하기를 바란다”고 전했다.     이번 행사는 오는 9일 오후 3시 KCS 뉴욕한인봉사센터(203-05 32nd Ave, Bayside, NY 11361)에서 진행된다. 행사 참여 관련 문의는 전화(678-598-3333·609-707-2788)로 하면 된다.     특히 이번 행사에서는 한국인들이 아리랑 곡조에 맞춰 창조하고 개발한 국민체조운동인 ‘대한아리랑활력무’ 공연이 펼쳐진다. 대한아리랑활력무는 남녀노소 쉽게 따라할 수 있는 건강체조로, 박 회장은 “고령화되는 미주한인사회에 이 체조를 널리 알려 한인 시니어들의 건강도 유지하고, 우리 곡조를 타민족에게 알리는 기회도 만들고자 한다”고 설명했다.     또 미주한인의 날 바로 전날인 12일에는 미주한인이민 122주년 기념 감사예배도 진행된다. 예배는 브루클린한인회 주최로 이날 오후 4시 브루클린제일교회(14 Gravesend Neck Rd, Brooklyn, NY 11223)에서 진행된다.     미주한인의 날 제정에 앞장섰던 최영배 브루클린한인회 14대 회장은 “지금 미국에는 200여개 민족이 각자의 정체성을 갖고 생활하고 있다”며 “우리 한인들은 미주한인의 날을 기점으로 정체성을 다시금 확인하고, 이 행사가 이민생활의 구심점 역할을 했으면 한다”고 강조했다.  글·사진=윤지혜 기자 [email protected]정체성 재확인 박상원 브루클린한인회장 최영배 브루클린한인회 브루클린한인회 주최

2024.12.29. 17:07

썸네일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