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전체

최신기사

손주 지원 위한 재정 전략…예치 수단·저축액 결정 중요

 베이비부머 세대가 은퇴하는 시기가 오면서 사상 최대의 ‘부의 재분배’가 다가오고 있다. 이런 가운데 손주를 위해서 저축을 하는 가장 좋은 방법에 대한 관심도 늘어나고 있다.     LA데일리뉴스는 최근 금융정보사이트 뱅크레이트를 인용해서 손주를 위해 저축을 하는 가장 효율적인 방법에 대해 보도했다.     전문가들은 본인의 재정 상태와 손주의 필요에 따라 예치 수단과 저축액을 정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예치 수단을 선택했다면 목표를 설정하고 정기적으로 납입해 저축액을 불려나가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저축액이 목돈이 됐다면 채권, 주식, 뮤추얼 펀드 등 다양한 자산에 분산 투자해 위험을 낮추는 것이 권장된다.     학자금을 위해 저축을 했는데 손주가 장학금을 받는 등의 변화가 생기면 이에 대해서 유연하게 대처하는 것도 중요하다.       대학 진학이나 첫 집 마련 등 손주가 마주할 재정적 부담을 덜어줄 수 있는 저축 전략을 소개한다.     ▶양도성 예금증서   손주를 위해 저축을 할 수 있는 방법 중 가장 기본적인 것은 양도성 예금증서(CD)다. 은행이나 크레딧 유니온에서 가입하면 기간에 따라서 확정 금리를 받을 수 있다. 하지만 세제혜택도 없고 최근에 CD의 이자율이 곤두박질 쳤기 때문에 다른 곳에 관심을 두는 경우가 많다.     ▶529 플랜   가장 잘 알려진 것은 학자금을 위한 교육 저축용 529 플랜이다. 저축을 할 때는 세제혜택을 받을 수 없지만 자금을 운용해서 생기는 금융 소득에 대해서는 세금이 면제 된다. 다만 인출을 할 때 교육 목적으로 인출해야만 한다. 아닌 경우에는 세금과 10%의 패널티가 부과된다. 저축액을 3만5000달러까지 개인은퇴계좌인 로스 IRA로 전환할 수도 있다. 학비가 필요치 않은 경우 자연스럽게 은퇴계좌에 추가해줄 수 있는 것이다.     ▶UGMA·UTMA   수탁계좌인 UGMA나 UTMA도 많이 이용한다. 미성년자인 손주를 대신해 성인이 관리하다 성인이 되면 해당 자금이 손주에게 넘어가는 방식이다. UGMA는 금융자산을, UTMA는 부동산을 계좌에 포함시킬 수 있다. 계좌 관리인이 손주를 위해 필요한 지출을 쓸 수도 있는 등 529 플랜에 비해 유연하지만 세제혜택은 없다. 자산 운용으로 생긴 소득에 대해서도 2300달러 이상이라면 세금을 내야 한다.     ▶청소년 전용 계좌   저축과 더불어 금융 교육에도 신경을 쓴다면 청소년 전용 계좌 개설도 고려할 만하다. 많은 은행들이 청소년 전용계좌를 개설하면 금융 교육 서비스를 같이 제공한다. 손주가 일종 연령이 되면 입출금 권한을 공유해서 교육에 활용할 수 있다. 다만 세제혜택이 없고 자금 운용을 통한 수익도 전혀 없다.     ▶EE채권   재무부 사이트에서 직접 구매할 수 있는 저위험 채권인 EE채권도 손주를 위한 저축에 많이 쓰인다. EE채권은 30년 만기까지 고정 이자를 주며 20년이 지나면 최소 2배의 가치를 보장한다. 위험이 거의 없는 것이다. 1년 후부터 현금화가 가능하지만, 5년 이내에 인출 시 3개월 치 이자를 페널티로 낸다.  조원희 기자저축액 손주 청소년 전용계좌 예치 수단 손주가 일종

2025.02.17. 16:07

은퇴후 필요한 저축액

   콜로라도에서 은퇴후 필요한 저축액수는 98만여달러로 미전국에서 16번째로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CNBC의 최근 보도에 따르면, 인터넷 금융정보 사이트 ‘고뱅킹레이츠’(GoBankingRates)는 미전국 50개주별로 은퇴후에 필요한 저축액수를 산정했다. 고뱅킹레이츠는 65세에 은퇴한 주민의 기대수명을 80세로 가정할 때, 은퇴후 25년간 살면서 필요한 주거, 식료품, 교통비, 공과금, 의료비 등 필수 생활비를 추산해 가장 많은 은퇴 자금이 필요한 주 순위를 매겼다.고뱅킹레이츠에 따르면, 은퇴후 필요 저축액 추산치는 연방노동통계국(BLS)의 최신 데이터를 토대로 각 주의 평균 연간 생활비를 계산해 산출했다. 연간 지출에서 평균 사회보장 소득을 뺀 후 은퇴 저축을 안전하게 인출하기 위한 일반적인 경험칙에 따라 남은 금액을 4%로 나누었다. 이러한 수치는 은퇴에 필요한 최소한의 비용을 반영하며 여행이나 엔터테인먼트, 예상치 못한 비용 등과 같은 재량 지출은 고려되지 않았다.       은퇴후 필요한 저축액은 각 주별로 생활비가 큰 차이를 보임에 따라 최저 71만달러에서 최고 221만달러까지 그 격차가 무려 149만달러에 달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콜로라도의 경우, 연간 평균 생활비가 6만1,709달러였고 은퇴후 필요한 저축액은 98만1,803달러로 50개주 가운데 16위를 기록해 상대적으로 높은 편에 속했다. 은퇴후 저축액이 가장 많이 필요한 주는 하와이로 무려 221만2,084달러에 달했다. 하와이의 생활비는 연간 11만921달러로 역시 전국에서 최고였다. 2위는 매사추세츠로 164만5,764달러(연간 생활비 8만8,268달러), 3위 캘리포니아 161만2,716달러($86,946), 공동 4위는 알래스카와 뉴욕으로 129만2,753달러($74,147)였다. 6~10위는 뉴저지(은퇴자금 $1,163,566/연생활비 $68,980), 버몬트($1,153,051/$68,559), 워싱턴($1,145,540/$68,259), 메인($1,144,038/$68,199), 애리조나($1,133,522/$67,778)의 순이었다. 반면, 은퇴후 필요한 저축액이 제일 적은 주(전국 50위)는 웨스트 버지니아로 71만2,913달러(연 생활비 5만954달러)였다. 이어 캔자스($741,455/$52,095-49위), 미시시피($753,472/$52,576-48위), 오클라호마($759,481/$52,816-47위), 앨라배마($773,000/$53,357-46위) 순으로 적었다. 이밖에 플로리다는 17위($977,296/$61,529), 버지니아 19위($948,755/$60,387), 일리노이 25위($873,646/$57,383), 펜실베니아 29위($864,633/$57,023), 텍사스 36위($830,083/$55,641), 조지아는 40위($813,559/$54,980)였다.     이은혜 기자은퇴후 저축액 은퇴후 저축액 은퇴후 필요 반면 은퇴후

2025.01.22. 10:04

썸네일

[보험 상식] 현명한 401(k) 관리

많은 사람이 돈을 버는 능력, 모으는 능력, 불리는 능력이 서로 다르다는 사실을 간과한다. 고소득자라고 해서 반드시 저축을 잘하는 것은 아니며, 저축을 잘한다고 해서 그 돈을 효과적으로 불리는 것도 아니다. 각각의 능력은 별개의 기술이며, 모두 중요하다.   이러한 맥락에서 401(k) 계좌 관리를 살펴보면, 많은 사람이 계좌를 설정한 후 그대로 방치하는 경우가 많다. 단순히 자동으로 돈이 들어가고 자산이 알아서 불어나길 기대하는 것이다. 하지만 이는 돈을 모으는 능력만을 활용할 뿐, 불리는 능력을 생각하지 않는 것이다.   효과적인 자산 관리를 위해서는 주기적인 관심과 조정이 필요하다. 매년 단 60분만 투자한다면 은퇴 준비를 훨씬 더 효과적으로 만들어 낼 수 있다. 다음은 401(k) 계좌를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방법들이다. 카테고리마다 10분씩 투자해 보자.   ▶10분: 은퇴 목표 점검   젊어서 은퇴 저축을 시작할 때와 은퇴가 코앞으로 다가왔을 때 필요한 것들이 아주 다르다. 매년 401(k) 계좌를 점검하며 언제 은퇴하고 싶은지, 그때까지 얼마나 돈을 모아야 하는지 생각해봐야 한다. 필요하다면, 인터넷의 은퇴 계산기나 나이별 저축 기준을 활용해 보자. 또한, 인플레이션, 의료비 상승, 예상 수명 등을 고려해 목표를 현실적으로 조정해 가며 목표를 점검하자.   ▶10분: 기여율(Contribution Rate) 검토     401(k) 저축액을 결정할 때는 두 가지 핵심 사항을 고려해야 한다. 첫째, 고용주가 제공하는 매칭을 최대한 활용하고 있는지 둘째, 매년 저축액을 1%씩 늘릴 수 있는지 검토해야 한다. Secure Act 2.0에 따라 새롭게 도입되는 401(k) 플랜에는 자동 증액(auto-escalation) 기능이 법적으로 포함되어야 한다.     따라서 참여자의 기여율을 자동으로 매년 조금씩 올려준다. 그러나 현재 사용 중인 401(k) 플랜에 이 기능이 없다면, 매년 스스로 점검하고 1%씩 증액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이러한 작은 증가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은퇴 자금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꾸준히 실천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연봉 인상이나 보너스를 받았을 때 기여율을 더 높이는 것도 고려해 보자.   ▶ 5분: 연락처 정보와 수혜자 업데이트     결혼, 이혼, 이사 등 삶의 변화가 있었다면 401(k) 제공자에게 새 정보를 알려주어야 한다. 특히 수혜자 및 새로운 주소 등의 업데이트는 매우 중요하다. 수혜자 지정을 잊거나 오래된 정보를 그대로 두면 나중에 법적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10분: 자산 배분 검토 및 리밸런싱     투자 포트폴리오를 검토하고 필요하면 리밸런싱은 필요하다. 일부 플랜은 자동 리밸런싱 기능을 제공하지만, 어떤 곳에 투자했는지 그해 분기별, 년 수익은 어땠는지 점검할 필요가 있다. 특히 은퇴가 가까운 나이가 되었다면 공격적인 투자에서 안전한 자산으로 옮겨오는 것도 고려해 봐야 한다. 또한, 시장 상황과 개인의 위험 감수 능력 변화에 따라 자산 배분을 조정해야 한다.   ▶10분: 추가 기여(Catch-up Contribution) 고려     은퇴가 가까워질수록 많은 이들이 저축을 가속하고 싶어 한다. 특히 자녀 양육비나 주택담보 대출 등 큰 지출이 줄어들거나 없어졌을 때, 이전에 다른 재정 목표를 위해 줄였던 저축을 다시 늘릴 수 있다. 이런 상황에서 50세 이상이라면 추가 기여(Catch-up Contribution)를 활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은퇴 계좌에 더 많은 돈을 넣을 수 있게 된다. 2024년 기준으로 Catch-up Contribution 한도는 8000달러다. 이는 상당한 금액으로, 은퇴 저축을 크게 늘릴 기회다. 또한, 세금 혜택을 고려하여 전통적 401(k)와 Roth 401(k) 사이에서 적절히 분배하는 것도 좋은 전략이다.   ▶15분: 예전 401(k) 정리 계획 세우기     만약 이전 직장의 401(k)를 가지고 있다면 현재 계좌로 롤오버하거나 IRA로 통합하는 것을 고려해 봐야 한다. 401(k) 안에 투자되는 옵션들의 수수료와 성과를 비교하여 가장 유리한 선택을 해야 한다. 롤오버 시 세금 영향을 고려하고, 필요하다면 재무 전문가의 조언을 구하는 것도 좋다.   이렇게 적은 시간 투자로도 큰 성과를 거둘 수 있다. 은퇴를 위한 저축 계획은 한번 세우고 끝나는 게 아니라, 우리 삶이 변하는 것처럼 계속 바꾸고 조절해 나가야 한다. 이를 통해 단순히 돈을 모으는 개념을 넘어, 은퇴자금을 효과적으로 관리하는 능력을 키울 수 있다. 또한 인생의 다양한 단계에 맞춰 재정 전략을 조정할 수 있는 힘이 될 것이다.   ▶문의:(213)284-2616 클라우디아 송 / CCFS, CLTC·Financial Advisor, 아메리츠 파이낸셜보험 상식 저축액 증액 은퇴 저축 은퇴 목표 리밸런싱 투자

2024.10.09. 17:59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