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세청(IRS)이 2024년도 건강저축계좌(HSA)의 적립 한도를 인상했다. IRS에 따르면, 2024년 HSA 적립금은 개인 플랜의 경우, 올해의 3850달러보다 300달러 더 많은 4150달러다. 가족 플랜의 적립 한도 역시 2023년(7750달러)보다 550달러가 더 많은 8300달러로 책정됐다. 55세 이상은 연간 1000달러를 더 적립할 수 있다. 전문가들은 내년 인상 폭도 물가 상승률 덕에 대폭 오른 것이라고 설명했다. 2022년 전까지 HSA 적립 한도 연평균 인상률은 1.6%에 불과했다. 개인과 가족의 2024년 상승 폭은 각각 8%와 7%나 된다. 2023년의 5.5%와 비교해도 2.5%포인트와 1.5%포인트나 웃돈다. 특히 2021의 전년 대비 인상률인 1.4%와 비교하면 5배 이상 올랐다. HSA는 세제 혜택과 은퇴자금 마련이라는 일거양득 효과를 볼 수 있는 의료용 저축계좌다. 일반 IRA나 직장인 은퇴플랜 401(k)와 같이 과세 소득에서 적립금을 제할 수 있어서 소득 공제 효과를 볼 수 있다. 적격 의료비 지출에 대한 인출금 역시 세금이 면제된다. 또한 투자용 은퇴계좌로도 사용할 수 있다. 단, HSA의 혜택을 받으려면 디덕터블(본인부담금)이 높은 건강보험(HDHI)에 가입하고 있어야 한다. 즉, 2024년 기준으로 최소 디덕터블은 개인이 1600달러, 가족플랜의 경우엔 3200달러다. 전문가들은 디덕터블과 코페이먼트 등 본인부담이 큰 편이어서 의료비 지출이 적은 경우에 유리하다고 조언했다. 진성철 기자건강저축계좌 적립금 적립금 한도액 내년 인상 적립 한도
2023.05.22. 20:49
직장인 은퇴연금인 401(k)와 개인은퇴계좌(IRA)의 연간 적립 한도가 올랐다. 이는 물가 상승분(COLA)을 반영한 조치다. 국세청(IRS)은 401(k)의 적립 한도를 종전의 2만500달러에서 2000달러 늘어난 2만2500달러로 인상한다고 21일 밝혔다. 이날 발표된 적립금 한도액 상향 조정은 비영리단체 직원의 은퇴플랜인 403(b), 대다수 정부기관 공무원 은퇴플랜 457플랜 등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특히 401(k)에 가입한 50세 이상의 직장인의 경우, ‘캐치업(catch-up)’ 금액은 기존 6500달러에서 1000달러 오른 7500달러로 올라서 최대 3만 달러를 적립가능하다. 개인은퇴계좌(IRA)도 올해보다 500달러 더 많은 6500달러로 상향 조정됐다. 단 IRA의 경우, 50세 이상에게 적용되는 추가 적립 한도인 ‘캐치업’ 금액은 종전과 동일한 1000달러다. 이에 따라 50세 이상의 IRA 가입자가 연간 적립할 수 있는 금액은 7500달러다. 양재영 기자적립 내년 적립금 한도액 적립 한도 연간 적립
2022.10.23. 19:00
2022년 은퇴플랜 연간 적립 한도가 2만500달러로 늘었다. 국세청(IRS)은 직장인 은퇴플랜 401(k)의 연간 적립 한도를 종전의 1만9500달러에서 1000달러 늘어난 2만500달러로 상향 조정한다고 4일 밝혔다. 이번 조치는 물가 상승분(COLA)을 반영한 것이라는 설명이다. 이날 발표된 적립금 한도액 상향 조정은 비영리단체 직원의 은퇴플랜인 403(b), 정부기관 공무원의 은퇴플랜 457 플랜, 연방정부의 쓰리프티세이빙스 플랜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이들 은퇴플랜의 50세 이상 가입자의 추가 적립 한도는 6500달러로 변함이 없다. 따라서 50세 이상 401(k) 등의 가입자가 내년에 적립할 수 있는 최대 금액도 2만7000달러로 늘었다. 개인은퇴계좌(IRA)의 2022년 연간 적립 한도는 올해와 같은 6000달러이며 50세 이상은 1000달러를 더 적립할 수 있다. 보편적인 401(k)는 세전 급여에서 매년 일정액을 적립할 수 있어서 해당 연도의 과세 소득을 줄이면서 노후 자금도 마련할 수 있다. IRA보다 연간 적립액이 더 큰 것도 장점이다. 진성철 기자적립 연간 적립액 적립금 한도액 추가 적립
2021.11.04.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