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주 내 노숙 학생 수가 지난 한 해 동안 전년 대비 10% 가까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노숙 학생 증가는 최근 트럼프 행정부가 교육 관련 지원금을 중단하려는 위기 가운데 더욱 심화할 수 있어 우려의 목소리도 일고 있다. 가주 교육부에 따르면 지난 회계연도(2024-2025) 가주 지역 노숙 학생은 23만443명이다. 이는 전년(21만900명) 대비 약 9.3%가량 증가했다. 비영리 언론재단 캘매터스는 여전히 노숙 학생에 대한 과소 집계 가능성이 높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고 2일 보도했다. 전국 노숙자 교육센터(NCHE)는 무료 또는 할인 급식 자격 학생의 5~10% 정도가 노숙 학생일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이는 가주 기준 최대 13만 명 가량이 통계에서 누락됐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 노숙 학생 문제는 조 바이든 전 대통령 시절 코로나19 구제책이던 ‘미국 구조 계획(American Rescue Plan)’을 통해 일시적으로 보완된 바 있다. 이 프로그램은 전국 학교에 상담 인력 배치와 교직원 교육 등을 위해 8억 달러를 제공했다. 대부분의 가주 학교가 이 혜택을 받았다. 또한, 노숙 청소년 지원법인 ‘맥키니-벤토(McKinney-Vento)’법 보조금을 통해 가주 내 약 120개 교육구에 1590만 달러가 통학비, 학용품, 인력 고용 등에 쓰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재정 지원이 최근 중단될 위기에 놓이면서 노숙 학생 증가 역시 우려되는 상황이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최근 승인한 예산안에는 맥키니-벤토 보조금이 포함되지 않아 관련 프로그램 규모가 축소될 위기다. 교육 관계자들은 이를 두고 “가장 도움이 필요한 시점에 예산이 끊겼다”며 우려를 표하고 있다. 조셉 비숍 UCLA 교육학과 교수는 “가주는 노숙 학생 위기 중심지”라며 “지금이야말로 집중적이고 지속적인 지원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밝혔다. 반면, 팬데믹 이후 악화된 주거난과 더불어, 노숙 학생 식별 시스템 개선이 증가세에 영향을 줬다는 분석도 있다. 커트 윌리엄스 컨카운티 교육청 노숙 및 위탁 청소년 서비스국장은 이 매체와 인터뷰에서 “노숙 학생 설문 조사 방법이 바뀌면서 자신의 거주 상황을 드러내기 시작한 학생이 늘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그는 “노숙자라는 단어 대신 ‘주거 불안정’ 또는 ‘전환기 가족(families in transition)’과 같은 표현을 사용했더니, 자신을 노숙 학생이라고 밝히는 경우가 많아졌다”고 설명했다. 이와 함께 지난 2021년 가주 의회를 통과한 교직원에게 노숙 징후 식별 교육을 의무화한 법안도 식별률을 끌어올렸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일례로 컨카운티의 경우 노숙자 학생 수가 전년 대비 10%나 증가하기도 했다. 김경준 기자개선후 학생 노숙 학생 전국 노숙자 노숙 청소년
2025.07.02. 21:51
전국 노숙자 인구의 28%가 가주에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온라인 대출업체 렌딩트리가 2020년 연방주택도시개발부(HUD)의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전국에는 57만5000명이 노숙자인 것으로 밝혀졌다. 이 숫자는 조지아의 애틀랜타나 플로리다의 마이애미, 캘리포니아의 새크라멘토 인구보다 많은 것이다. 조사에 따르면 노숙자가 가장 많은 지역은 캘리포니아, 뉴욕, 플로리다순이며 이 3개 주의 노숙자 수는 전체 노숙자 인구의 거의 절반에 해당한다. 반면에 노스다코타, 와이오밍, 사우스다코타 주는 노숙자 수가 가장 적은 지역으로 나타났다. 주별로 살펴보면, 전국에서 노숙자 수가 가장 많은 지역은 캘리포니아로 16만1548명이나 됐고 이는 주 전체 인구의 0.41% 수준이었다. 〈표 참조〉 이중 약 4만8000명(29.64%)만이 셸터의 도움을 받고 있었다. 특이한 점은 노숙자의 셸터 거주 비율이 전국에서 가장 낮았다는 것이다. 9만1271명인 뉴욕과 2만7487명인 플로리다가 각각 그 뒤를 따랐다. 또 인구 유입이 많은 텍사스가 2만7229명으로 4위에 랭크됐다. 워싱턴주도 2만2923명으로 톱 5안에 들었다. 그다음은 오리건(1만4655명), 펜실베이니아(1만3375명), 애리조나(1만979명), 오하이오(1만655명) 순으로 노숙자가 많았다. 이외 일리노이(1만431명), 조지아(1만234명)도 1만 명이 넘었다. 반면에 전국에서 노숙자가 가장 적은 3개 주는 사우스다코타(1058명), 와이오밍(612명), 노스다코타(541명)로 조사됐다. 특히 와이오밍과 노스다코타는 1000명을 밑돌아 눈길을 끌었다. 렌딩트리 측은 주택 가격이 비싼 지역일수록 노숙자가 많았다며 집값을 낮추는 게 노숙자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이라고 지적했다. 즉, 정부가 서민주택공급을 늘리는 등 주택 가격 안정화에 노력을 기울여야 노숙자 수도 감소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진성철 기자노숙자 전국 전국 노숙자 노숙자 문제 주의 노숙자
2022.03.30. 17: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