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가을부터 뉴욕주에서 공립교 스마트폰 사용 금지 정책이 시행되는 가운데, 전국 성인 대다수가 해당 정책을 지지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16일 퓨리서치센터가 발표한 조사 결과에 따르면, 전국 성인의 74%가 수업 중 중·고등학생의 휴대전화 사용 금지에 찬성한다고 응답했다. 이는 지난해 조사 결과인 68%보다 6%포인트 오른 수치다. 다만 등교 때부터 하교 때까지 교내에서 하루 종일 스마트폰 사용을 금지하는 것에 대해선 44%가 찬성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 수치 역시 작년(36%)보다 8%포인트 늘어났다. 인종별로는 아시안(78%)과 백인(79%) 성인이 타인종보다 수업 중 휴대전화 금지에 더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히스패닉(65%)과 흑인(59%) 응답자는 상대적으로 찬성 비율이 낮았다. 모든 연령대에서 지난해보다 해당 정책을 지지하는 비율이 증가했는데, 연령대별로 차이는 있었다. 50세 이상의 지지 비율이 83%로 가장 높았고, 30~49세의 지지 비율이 71%, 18~29세가 57%로 뒤를 이었다. 대다수 성인은 학교에서 하루 종일 스마트폰 사용을 금지하면 학생들의 사회성과 성적, 수업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이 있을 것이라고 예측했다. 67%는 학생들의 사회성 향상을 예상했고, 66%는 성적 향상, 64%는 수업 태도 개선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답했다. 퓨리서치는 "스마트폰 사용이 학생의 학습 몰입도와 대인관계 능력에 부정적 영향을 준다는 인식이 여론 전반에 퍼져 있다"고 분석했다. 한편 뉴욕주의 새 정책 '벨 투 벨(bell-to-bell)'은 오는 가을학기부터 모든 공립·차터·K-12 학교에 적용된다. '벨 투 벨'은 수업 시작 종부터 하교 종이 칠 때까지 스마트폰 및 태블릿, 스마트워치 등 개인 기기의 무단 사용을 전면 금지하는 정책으로 점심시간·휴식시간 등도 포함된다. 각 학군은 오는 8월 1일까지 구체적인 시행 계획을 마련해야 하며, 비상시 학부모가 학교 사무실을 통해 자녀와 연락할 수 있는 시스템도 의무적으로 구축해야 한다. 뉴욕주는 이를 위해 1350만 달러 예산을 투입해 학교별 스마트폰 보관 솔루션(잠금 파우치, 사물함 등) 구축을 지원할 예정이다. 윤지혜 기자 [email protected]스마트폰 성인 스마트폰 사용 전국 성인 휴대전화 금지
2025.07.17. 21:13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취임 이후 강력한 반이민 정책을 시행하고 있는 가운데, 전국 성인 약 절반이 불법체류자 대규모 추방으로 인해 식품 가격이 상승할 것이라고 예측했다. 지난 15일 퓨리서치센터가 발표한 설문 조사 결과에 따르면, 전국 성인 42%는 “불법체류자 대규모 추방이 거주 지역의 식품 가격 상승으로 이어질 것”이라고 예상했다. 반면 23%는 “불법체류자 대규모 추방이 식품 가격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이라고 응답했고, 12%는 “식품 가격 하락으로 이어질 것”이라고 답했다. 이에 대한 의견은 인종별로 상이했다. 히스패닉 성인 55%가 “추방으로 인해 식품 가격이 상승할 것”이라고 응답했고, 같은 대답을 내놓은 아시안은 48% ▶흑인은 42% ▶백인은 37%였다. 불법체류자 대규모 추방이 식품 가격 상승으로 이어질 것이라고 예상한 해외 출생 이민자 비율(56%)이 미국 출생 성인(39%)보다 높았다. 또 전국 성인 4명 중 1명(26%)은 불법체류자 대규모 추방으로 인해 의류·가전제품·전자제품·자동차 등 소비재 가격이 상승 할 것이라고 예측했다. 33%는 “아무런 영향도 없을 것”이라고 답했고, 12%는 “가격 하락으로 이어질 것”이라고 응답했다. 불법체류자 대규모 추방이 주택 가격 변동에 미칠 영향에 대한 의견도 상이했다. 31%는 “변동이 없을 것”이라고 예측했고, 22%는 “가격이 하락할 것”이라고 답한 반면 19%는 “주택 가격 상승으로 이어질 것”이라고 응답했다. 의료 서비스 가격 변동에 대해서는, 32%는 “아무런 영향이 없을 것”이라고 답했으며 25%는 “가격이 하락할 것”이라고 했다. 불법체류자 대규모 추방으로 인해 의료 서비스 가격이 상승한 것이라고 답한 비율은 13%에 불과했다. 윤지혜 기자 [email protected]불체자 성인 불체자 추방 출생 성인 전국 성인
2025.04.21. 20:44
코로나19 팬데믹 발생으로 미국민들의 삶에도 크고 작은 변화가 생긴 것으로 조사됐다. 12일 퓨리서치센터가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전국 성인 27%가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삶에 큰 타격을 입었다’고 응답했다. ‘팬데믹으로 인해 삶에 약간의 타격을 입었다’고 답한 비율은 47%. 합하면 전국 성인의 74%가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삶에 크고 작은 타격을 받은 것으로 파악됐다. 이번 조사에서 아시안 성인의 30%가 팬데믹으로 인해 삶에 치명적 영향을 받은 것으로 드러났다. ‘코로나19로 인해 삶에 약간의 타격을 입었다’는 응답은 45%였다. 인종별로는 히스패닉(39%)이 가장 높았으며 흑인은 29%, 백인은 24%가 같은 응답을 내놨다. 성별로 보면, 남성보다는 여성이 팬데믹의 타격을 입은 비율이 더 높았다. 남성의 24%가 ‘코로나19가 삶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응답한 반면, 여성의 30%가 같은 답을 했다. 연령대별로는 젊은층이 노년층보다 더 큰 타격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18~29세의 35%가 ‘코로나19가 삶에 큰 타격을 입혔으며, 아직 팬데믹의 영향으로부터 완전히 회복하지 못했다’고 답했으며, ▶30~49세(33%) ▶50~64세(24%) ▶65세 이상(16%) 순이었다. 코로나19 팬데믹은 다양한 방식으로 삶의 여러 측면에 영향을 미쳤다. 먼저 근무 형태의 변화를 살펴보면, 팬데믹 이전에는 전국 성인의 64%가 ‘직장에서의 재택근무가 아예 불가능하다’고 응답한 반면 2020년에는 그 비율이 17%로 대폭 줄었다. 팬데믹 발생 직후인 2020년 풀타임 재택근무가 가능하다고 답한 직장인은 55%로 절반 이상이었다. 점차 시간이 흐르며 2024년에는 그 비율이 32%까지 떨어졌지만, 여전히 팬데믹 이전의 14%와 비교하면 두 배가 넘는 수치다. 코로나19는 기술 사용 방식에도 영향을 미쳤다. 코로나19 이후 기술 사용 방식에 변화가 생겼다고 응답한 비율은 거의 절반인 48%였다. 특히 18~29세 젊은 세대는 62%가 ‘팬데믹 이후 기술 사용 방식이 변했다’고 답했다. 학교에서 수업을 듣는 방식이나 과제를 하는 방식에 변화가 생겼기 때문이다. 문제는 이로 인해 기술 격차가 크게 벌어졌다는 점이다. 2021년 고속 인터넷 사용에 어려움이 있다고 응답한 이들 중 77%는 ‘학교 공부에 큰 어려움을 겪는다’고 했으며, 66%는 ‘구직에 어려움을 겪는다’고 답했다. 또 52%는 ‘의사 또는 의료 전문가와 연락에 불이익이 있다’는 답을 내놨다. 윤지혜 기자 [email protected]아시안 코로나 아시안 성인 치명적 영향 전국 성인
2025.02.12. 19: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