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전체

최신기사

[기자의 눈] 전국구 시험대 오른 한인은행들

한인경제가 커 나가면서 동반자 역할을 해온 존재가 있다. 한인은행이다. 2000년대 들어 한인은행들은 크게 성장했다. 급증하는 이민자 인구와 한인경제의 확장을 기반으로 사업을 넓혔다. 그 과정에서 2008년 금융위기같이 위기를 겪기도 했지만, 현재는 5개의 한인은행이 상장을 할 정도로 전체적인 규모가 커졌다.     그러나 2020년대에 접어들며 그 성장의 속도는 주춤하고 있다. 이민 규모가 줄고 의류업 등 전통 산업 기반이 약해지면서, 한인은행들은 이제 새로운 성장 전략을 모색하고 있다.   가장 두드러진 변화는 인수합병을 통한 외형 확대다. 뱅크오브호프는 지난 4월 하와이의 테리토리얼세이빙스뱅크를 인수하며 자산 192억 달러 규모의 은행으로 도약했다.     하와이까지 진출했다는 것은 뱅크오브호프가 ‘전국 은행’으로서 입지를 다지고 있다는 신호다. 조지아를 기반으로 한 메트로시티은행도 최근 제일IC은행과의 합병을 마무리하며 총자산 48억 달러 규모의 은행으로 거듭날 예정이다. 이 과정에서 LA 한인타운에 있는 제일IC은행의 지점은 메트로시티은행의 서부 진출 거점 역할을 할 것이다. 은행이 전국적인 영향력을 가지겠다는 의도다.   지리적 확장도 활발하다. 올해 들어서만 PCB뱅크와 한미은행이 각각 애틀랜타 인근에 새 지점을 열었고, CBB뱅크는 뉴저지에 첫 동부 지점을 개설한 데 이어 애틀랜타 진출도 예고한 상태다. 기존에 남가주에 본사를 둔 이들 은행이 동부로 눈을 돌리는 데는 분명한 이유가 있다. 포화 상태인 LA·OC 금융시장에서는 더는 예전처럼 성장하기 어렵다는 판단 때문이다. 이미 대다수 한인은행이 진입해 있고, 한국에 본사를 둔 은행의 진출 확대와 주류 은행들의 적극적인 마케팅으로 경쟁은 점점 치열해지고 있다.   동부 시장은 상대적으로 새로운 기회로 여겨진다. 특히 조지아는 현대차, LG, SK 등 한국 대기업의 진출과 함께 관련 협력업체 및 한인 인구도 빠르게 늘고 있다. 법인고객을 겨냥한 기업금융 수요가 증가하는 가운데, 제조업 중심의 구조는 남가주 한인은행에 또 다른 도전과 기회를 동시에 제공한다.   한국기업을 대상으로 한 금융지원 확대도 주목할 만하다. 뱅크오브호프는 지난 4월부터 LA, 뉴욕, 뉴저지, 애틀랜타, 휴스턴, 댈러스 등 6개 도시에 한국기업금융지원센터를 설립해 한국기업의 국내 진출을 돕는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한미은행은 지난해 서울에 사무소를 열어 한국 기업과의 네트워크 강화에 나섰다.   이 같은 흐름은 단순한 점포 수 늘리기나 자산 확장 이상의 의미가 있다. 한인은행들이 처한 현실은 이전과 다르다. 한인경제의 중심축이 달라지고 있고, 고객의 요구도 다양해지고 있으며, 기술과 자본력이 모두 요구되는 시대다. 특히나 신규 이민이 줄어들고 한인사회의 평균연령이 높아지는 것은 은행에 녹록지 않은 영업환경이다. 전에는 언어의 장벽 때문에 한인 은행을 이용하던 고객층은 서서히 줄어들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한인은행들은 더 큰 스케일과 더 넓은 시장을 향해서 나아가야만 하는 환경이다.   이제는 한인은행들은 지역 은행에서 나아가 전국 단위의 경쟁력을 갖춘 금융기관으로 진화할 수 있을지가 관건이다. 한인 커뮤니티의 젖줄 역할을 해온 은행들이 앞으로도 중심을 잡아줄 수 있을지, 지금이 바로 그 시험대다. 조원희 / 경제부 기자기자의 눈 한인은행 전국구 남가주 한인은행 대다수 한인은행 전국 은행

2025.07.22. 19:04

썸네일

자산 50억불 이하 은행…오픈뱅크, 건전성 4위

오픈뱅크(행장 민 김)가 전국 은행 투자 건전성 평가에서 12위에 올랐다.   최근 은행 정보 리소스 업체 뱅크 디렉터가 공개한 ‘2023 랭킹 뱅킹’에 따르면 오픈뱅크의 지주사 OP뱅콥은 전국 300개 은행 중에서 12위에 랭크됐다.   특히 자산 규모가 50억 달러 이하인 은행 중에서는 전국 4위를 기록했다. 이 부분에선 가주에 본사를 둔 은행 중에서 가장 높은 순위다. 뱅크 디렉터는 은행의 수익성, 자산 건전성, 자본 적정성을 기반으로 순위를 매겼다.     오픈뱅크 측은 “자본 적정성은 은행이 현재 및 미래의 영업활동을 원활히 지원하고 향후 발생 가능한 손실을 흡수하는 데 필요한 자본의 보유 정도를 의미하는 것으로 은행의 안정성을 나타내는 중요한 기준”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한미은행도 이번 조사에서 전체 순위에서 9위를 차지하며 높은 순위를  차지했다. 자산이 50억~500억 달러인 은행 중에선 6위였다. 우훈식 기자 [email protected]오픈뱅크 건전성 오픈뱅크 건전성 건전성 평가 전국 은행

2023.08.20. 18:01

"30억불 은행으로 가는 토대 세우겠다"

"자산 규모 30억 달러 은행으로의 성장을 위한 건실한 토대를 세우는데 총력을 기울이겠습니다".   지난 19일 CBB 행장으로서 공식 일정을 시작한 제임스 홍 행장의 포부다.     CBB가 2005년 설립된 이래 17년 동안 자산 규모 20억 달러 은행으로 거침없이 달려온 만큼 '전국 은행'으로 도약하기 위한 조직 재정비가 필요하다는 설명이다.     홍 신임 행장은 ▶무리한 외형 성장을 지양하고 건전한 내실 성장 지향 ▶상호 보완 및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은행과의 인수합병(M&A) 모색 ▶대출 포트폴리오 다각화 ▶은행의 근간인 한인 사회와 로컬 커뮤니티 친화적인 금융 상품 개발 및 제공 ▶인적 자본 투자 확대 ▶인수한 오하나퍼시픽뱅크 확장 ▶타주 진출 등을 내실 성장 전략으로 꼽았다.     -내부 조직 강화는 .   "CBB는 한인사회에 뿌리를 두고 있으며 한인 비즈니스 커뮤니티 발전에 이바지하는 은행으로 탈바꿈해야 한다는 장기 비전을 이사회와 공유했다. 다시 말해, 자산 규모 30억 달러 은행으로 만드는 게 1차 목표가 아니다. 그보단 30억 달러 이상으로 쾌속 전진할 수 있도록 내부 조직의 안정성과 경쟁력을 긴 시간에 걸쳐 천천히 다지는 게 최우선이다. 조직 개편과 인력 구조 조정 등 조직 내 급격한 변화는 없다. 단기에 치중하지 않고 중장기 성장 전략을 수립하고 이 전략에 기반을 두고 앞으로 나아가겠다. 나스닥 상장도 내실을 더 공고히 한 후 추진할 사항이다."   -수익 구조 다각화 방법은.   "CBB의 강점은 SBA와 상업용부동산(CRE) 융자에 특화돼 있다. 이 강점을 더 살리는 동시에 모기지 융자와 홈에퀴티라인오브크레딧(HELOC) 등 소비자 대출 상품과 비즈니스론 및 커머셜론 활성화를 통해 수익 구조 다양화도 강구할 방침이다. 커뮤니티뱅크인 만큼 한인 및 지역 사회 친화적인 금융 상품 공급도 더 늘릴 것이다. 이에 더해 디지털뱅킹도 한층 더 향상했다. 곧 선보일 예정이다."   -인적 투자는.   "인력 수급이 어려운 상황이다. 중장기 전략 중 하나가 인재 육성 프로그램이다. 신입 및 기존 직원 대상 트레이닝 프로그램을 론칭해서 은행 내서 필요한 인력을 조달할 것이다. 개인 입장에서는 자신의 역량을 업그레이드할 수 있어서 일거양득이라 하겠다."   -M&A 모색과 타주 진출은.   "외형성장만을 위한 M&A는 지양한다. CBB의 지역적인 확장이나 CBB와 상호보완 가능한 자산 규모 3~5억 달러 사이인 은행을 최적의 합병 대상으로 판단하고 있다. 단, 서둘러서 추진하지는 않을 것이다. CBB가 더 안정적인 성장을 이어가려면 텍사스는 물론 한인이 밀집 거주하는 타주로의 진출도 필수라 하겠다. 뉴욕, 뉴저지는 물론 최근 한국 기업과 한인 유입이 증가하는 조지아와 워싱턴주도 타겟 지역이다."   -하와이에 있는 오하나퍼시픽뱅크 활용 방안은.   "올 6월이면 오하나퍼시픽뱅크와의 통합이 내외적으로 완료된다. 지점 1개를 추가 오픈할 것이며 최대 4개까지 확충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서 한국 및 한인 비즈니스 고객 대상 영업을 더 활발하게 늘리고 한국과 미국 본토의 중간이라는 지리적인 이점을 최대한 살려서 양쪽의 중개 역할을 통해서 하와이 지역 영업도 더 활성화할 것이다." 진성철 기자은행 토대 전국 은행 중장기 성장 내실 성장

2022.04.19. 21:18

썸네일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