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주 인구가 전국에서 가장 빠른 속도로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 인구 증가 추세는 코로나19 팬데믹 이전 수준을 회복했지만, 뉴욕주는 상반되는 모습이다. 19일 센서스국이 발표한 ‘2023 인구추정 보고서’에 따르면, 2022년 7월 1일부터 2023년 7월 1일 사이에 뉴욕주 인구는 10만1984명(0.52%) 감소했다. 직전해 뉴욕주 인구감소폭(18만명)보다는 감소폭이 줄었지만, 여전히 50개주 중 최대 감소율을 기록했다. 뉴욕주 다음으로는 루이지애나주(-1만4274명, -0.31%), 하와이주(-4261명, -0.30%), 일리노이주(-3만2826명, -0.26%) 등이 높은 감소율을 보였다. 뉴욕주 인구 감소는 전국 인구가 반등하는 가운데 나타난 모습이라 더 주목된다. 같은 기간 전국 인구는 160만명(0.5%) 증가한 총 3억3491만4895명을 기록했다. 2021년(0.2%), 2022년(0.4%) 인구 증가율과 비교하면 증가율은 소폭 더 확대됐다. 뉴욕주 인구가 큰 폭으로 줄어든 탓에 전국 4개 지역(남부·중서부·서부·북동부)으로 나눠봐도 북동부(-0.1%) 지역만 유일한 인구 감소세를 보였다. 반면 인구가 급격히 유입되는 남부 지역은 전국 인구 증가세를 주도하고 있다. 사우스캐롤라이나주(1.7%). 플로리다주(1.6%), 텍사스주(1.6%) 등이 높은 인구증가율을 보이면서 남부 지역에서만 1년새 인구가 140만명 이상 늘었다. 전국 인구 증가폭의 87%를 차지한다. 지난해에 인구가 줄었던 뉴저지주와 오하이오주, 미네소타주 등도 증가세로 전환했다. 크리스티 와일더 센서스국 인구통계학자는 “이민 인구가 팬데믹 이전 수준으로 돌아가고, 코로나19 확산세가 잠잠해지면서 사망률이 줄어든 것도 영향을 미쳤다”고 전했다. 전국 인구 증가폭(160만명) 중 110만명 가량이 해외에서 유입된 이민자 인구인 것으로 파악됐다. 브루킹스연구소에 따르면, 앞서 마지막으로 이민자 인구가 110만명을 넘은 것은 2001년이었다. 한편 전국의 주별 인구 순위 1위는 캘리포니아로 3896만5193명이다. 2위는 텍사스주(3050만3301명), 3위 플로리다주(2261만726명) 등이었으며 뉴욕주(1957만1216명), 펜실베이니아주(1296만1683명) 등이 뒤를 이었다. 김은별 기자 [email protected]인구감소율 뉴욕주 뉴욕주 인구감소율 뉴욕주 인구감소폭 전국 인구
2023.12.20. 20:11
연방통계청이 4일 발표한 올 7월 1일 추정 결혼과 가구 관련 통계 자료에 따르면 사실 부부관계(marital status)이며 동거 중인 인구는 1454만 7623명으로 추정됐다. 또 별거 중인 부부는 86만 20명이고, 동거 중인 인구는 376만 2323명이며, 배우자와 사별한 인구는 190만 4984명, 그리고 이혼한 인구는 198만 6825명이었다. 전체 인구 3824만 6108명 중에 독신 상태인 인구는 1518만 4232명이었다. 2017년 이후 전체 인구는 4.65%가 증가한 반면 독신 인구는 2.45%가 증가했고, 사실혼 관계로 동거 중인 부부는 6.2%, 별거 중인 부부는 4.5%, 동거는 3.77%, 배우자 사별은 12.07%, 그리고 이혼은 5.77%씩 증가했다. 법적 혼인관계(legal marital status)에 있어 독신은 1794만 4047명이 되고, 법적 결혼 관계에 동거 중인 인구는 1454만 7623명, 그리고 별거 중인 인구는 100만 6302명, 사별한 인구는 200만 6545명, 그리고 이혼 인구는 274만 1591명으로 각각 나타났다. BC주는 올 7월 1일 기준으로 추정인구가 521만 4805명이었다. 2017년 이후 5.79%가 증가해 전국 증가율보다 1.14% 포인트 높았다. 이중 사실혼 관계 이상 기준으로 독신이 196만 8356명으로 2017년에 비해 3% 증가했다. 반면 사실혼 관계에 동거 중인 인구는 213만 938명으로 7.29%로 더 크게 증가했다. 전체 가구 수에서 2인 이상 가구 수는 2017년 1002만 9070가구에서 2021년에 1050만 2580가구로 47만 3510가구가 늘어났다. 4.72%가 늘어난 셈이다. 전체 인구 증가율과 비슷한 양상을 보였다. 이 중 부부 관계인 가구는 867만 6069가구인 반면 편부모 가구는 182만 6511가구였다. 2017년 이후 부부 관계인 가구는 4.09%가 늘어난 것에 비해 편부모 가구는 7.8%로 더 큰 증가율을 보였다. BC주만 두고 보면 2인 이상 가구는 145만 466가구로 2017년 이후 6.73%로 전국 평균 보다 크게 늘어났다. 이중 부부 관계인 가구는 6.49%, 그리고 편부모 가구는 8.06%가 각각 늘어났다. 표영태 기자인구 사실혼 사실혼 인구 전국 인구 이혼 인구
2021.11.05. 14: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