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주중앙일보

광고닫기

전체

최신기사

패서디나경찰국 전기차로 순찰

  사우스 패서디나경찰국이 운영 중이던 개솔린 차량을 무공해 전기 차량으로 전량 교체했다. 시 단위 경찰국으로는 전국 최초다. 27일 사우스 패서디나 경찰국은 기자회견을 열고 새롭게 도입된 테슬라 순찰차 20대를 공개했다. 경찰 당국은 순찰차 대당 연간 약 4000달러의 에너지 비용을 절약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사우스 패서디나 경찰국 제공]  패서디나경찰국 전기차로 패서디나경찰국 전기차로 사우스 패서디나경찰국 테슬라 순찰차

2024.07.29. 20:21

썸네일

[중앙 칼럼] 전기차로 이룰 '포니의 꿈'

초등학교 시절 출장 갔던 아버지가 반짝이는 은색 자동차를 몰고 집으로 돌아왔다. 바로 대한민국 최초의 고유모델 자동차인 현대 포니였다.  어렸을 때부터 기계, 자동차에 관심이 많아 시간 가는 줄 모르고 차 탐색에 열중했다. 겉모양과 인테리어 곳곳에 현대 마크와 조랑말 엠블럼이 붙어 있었다. 하지만 후드를 열어보니 엔진부터 팬벨트에 이르기까지 곳곳에 다이아몬드 마크가 보였다. 주요 파트인 파워트레인 대부분이 미쓰비시 제품이었다는 사실을 나중에야 알게 됐다.   연휴나 방학이면 가족과 함께 포니를 타고 전국을 돌아다닌 덕분에 어린 시절 포니에 대한 추억이 남다르다. 펑크로 차가 서 본 일은 있어도 큰 문제 없이 잘 달렸다. 그래서인지 포니 이후로 40여년간 계속 현대차만 고집한 아버지의 생전 마지막 차도 에쿠우스였다.     최근 현대차가 선보인 첫 순수 전기차 아이오닉5를 처음 본 순간 포니에 대한 추억이 선명하게 떠올랐다. 1974년 11월 이탈리아 토리노 모터쇼를 통해 데뷔했던 포니가 47년 만에 심장은 물론 머리부터 발끝까지 완전히 업그레이드된 아이오닉5로 부활한 것 같았다. 시승회에서 만난 아이오닉5는 주행 성능은 물론 디자인까지 만족스러웠다. 지난해 미국 내 판매량에서 혼다를 제친 현대차 그룹이 차기 대세로 떠오르는 전기차 시장에서도 테슬라를 상대로 충분한 경쟁력을 있을 것이라는 확신이 들 정도였다.   예상을 뛰어넘는 호평 속에 아이오닉5에 대한 각종 수상 소식이 이어졌다. 굿디자인 어워드를 비롯해 ‘올해 구매해야 할 해치백’ ‘최고의 신차’ ‘가족들을 위한 최고의 전기차’에 선정됐다. 뉴욕 국제오토쇼에서 발표된 월드카 어워드에서는 대상격인 ‘세계 올해의 차’는 물론 ‘올해의 전기차’ ‘올해의 자동차 디자인’까지 휩쓸며 3관왕에 올랐다.   기아의 첫 순수 전기차 EV6도 각종 수상과 함께 한국차 최초로 ‘유럽 올해의 차’에 선정되는 쾌거를 이뤘다.     이 같이 한국 전기차들이 두각을 나타내며 향후 시장을 선도할 가능성이 높다고 점쳐지는 것은 기존 개스차와 달리 전기차는 근본적으로 태생과 구조가 다르기 때문이다. 미국, 독일, 일본차에 비해 역사가 짧은 개스차의 경우 한국차들이 개솔린 엔진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성능, 안전성을 업그레이드하며 뒤쫓는 입장이었다. 단기간에 눈부신 성장을 이뤄냈지만, 여전히 주행성능이나 엔지니어링 부문에서 경쟁차를 압도하기가 쉽지 않다.     내연 기관차라는 마라톤에서 이미 반환점을 돌아선 경쟁자들을 벤치마킹하며 뒤늦게 출발한 한국이 전기차에서는 거의 동시에 출발한 셈이다. 그러다 보니 현대차 그룹뿐만 아니라 경쟁업체들이 앞다퉈 전기차 연구, 개발을 위해 대규모 투자에 나서고 있다.     한국차들의 선전이 기대되는 것은 전기차의 핵심인 충전과 배터리 기술 분야에서 앞서고 있다는 점이다. 최근 실시된 전기차 설문조사에서 전기차 구매자들이 가장 중시하는 사양이 1회 충전으로 주행할 수 있는 거리와 배터리 충전 시간 단축으로 나타났기 때문에 한국 전기차들이 경쟁력을 갖췄다고 본다.     이 밖에도 전기차의 클러스터, 인포테인먼트 시스템과 직결되는 반도체, 스마트폰, 고화질 HDTV 등 전자 분야에서도 한국이 업계를 선도하고 있다. 실제로 해가 거듭할수록 시승한 한국 신차들의 주행 보조 전자시스템 성능이 일취월장하고 자동차 디자인 면에서도 한발 앞서가고 있음을 실감한다.     현대 아이오닉5나 기아 EV6는 딜러에 입고 되기 무섭게 팔리고 있다고 한다. 차가 없어서 못 팔 정도라니 쾌조의 스타트라고 할 수 있겠다. 이달부터 럭셔리 브랜드 제네시스가 첫 순수 전기차 GV60를 시판하고 12월부터는 판매 신기록 행진을 견인하고 있는 GV70의 전동화 모델이 앨라배마 공장에서 생산된다고 한다. 특히 20일에는 6조3000억원을 투입해 조지아주에 전기차 전용 공장과 배터리셀 공장 등 전기차 생산 거점을 2025년까지 구축하겠다고 발표했다.   1986년 울산서 생산된 엑셀로 미국 시장을 두드린 이후 35년만인 지난해 총판매량 670만대를 기록하며 세계 4위로 급부상한 현대차 그룹이 전동화 프로젝트를 통해 선보일 혁신으로 세계를 질주하는 ‘포니의 꿈’을 이룰 수 있기를 기대한다.  박낙희 / 경제부 부장중앙 칼럼 전기차로 전기차 시장 순수 전기차 자동차 디자인

2022.05.22. 19:00

썸네일

시카고 시내버스 전기차로

전국 3대 도시 시카고가 ‘시내버스 100% 전기차 전환’ 방침을 발표했다.   시카고 교통국(CTA)은 22일 “오는 2040년까지 시카고 시내버스 시스템을 전면 전기화할 계획”이라며 “(자원)형평성·환경·지역사회를 위한 노력의 일환”이라고 밝혔다.   도벌 카터 교통국장은 “시카고 시는 지난 10년간 전기차 전환 흐름의 선두를 지켜왔다”며 ‘차징 포워드(Charging Forward)’로 이름 붙인 시내버스 전기화 추진 목표를 세우고 다년의 연구조사 과정을 거쳐 이번 결정을 내렸다고 말했다.   CTA는 “지금까지 1억3000만 달러 이상의 기금을 확보했으며 계획 실행에 필요한 정책 기반, 기술 개발, 자금 조달 등의 방안이 마련됐다”고 밝혔다.   이어 “현재 운행 중인 1800여 대의 시내버스를 전기버스로 전환하는 것이 다가 아니다. 충전 장비 등 전기버스 운행을 지원하고 차량을 유지·보수하기 위한 시설과 설비, 인프라 업그레이드 및 투자가 이뤄져야 한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수많은 연관 사업에 대한 투자와 세심한 조정도 필요하다. 생각보다 복잡하고 도전적인 사업”이라며 “이 야심찬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주정부와 연방정부의 일관성 있는 지원이 필수적”이라고 부연했다.   일간 시카고 선타임스에 따르면 시카고 시는 2014년 처음 2대의 전기버스를 시내버스 노선에 투입했다. 현재 운행 중인 전기버스는 11대, 올해 안으로 14대를 추가할 예정이다.   시카고 시내버스 시스템은 전국 최대 규모이며 이번 계획은 시카고 시의 첫 전기차 전환 로드맵이라고 CTA 측은 밝혔다.시내버스 전기차로 시카고 시내버스 시내버스 전기화 시카고 교통국

2022.02.23. 18:39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