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 바이든 대통령이 전략비축유 1500만 배럴을 추가로 방출한다고 공식 발표했다. 11월 중간선거를 3주 앞두고 인플레이션이 주요 이슈로 부각되면서 민주당 지지세가 주춤하자 ‘기름값 잡기’ 총력전에 나섰다는 분석이다. 19일 바이든 대통령은 백악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전략비축유 추가 방출 등 에너지 안보 강화 대책을 발표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기존에 발표된 전략비축유 방출 기간을 12월까지 연장하고 추가로 1500만 배럴을 전략비축유에서 방출할 것”이라면서 “필요하면 수개월 내 추가 방출 방안도 검토할 것을 지시했다”고 덧붙였다. 앞서 연방정부는 우크라이나 전쟁 발발 후인 지난 3월 1억8000만 배럴의 전략비축유를 방출하기로 발표했다. 이번에 발표한 1500만 배럴은 당시 승인됐으나 판매되지 않은 물량의 일부다. 또, 바이든 대통령은 정유사가 막대한 이익을 챙기고 있다고 거듭 비판하면서 생산량을 늘리고 가격을 인하할 것을 요구했다. 이와 함께 연방의회에는 청정에너지 개발을 가속화할 수 있도록 관련 인허가 절차를 개혁하는 입법안을 처리해줄 것을 촉구했다. 바이든 대통령의 이번 조치는 중간선거를 앞두고 체감 물가의 핵심 지표인 주유소 휘발유 가격이 다시 오르는 조짐을 보이자 나온 것이다. 전미자동차협회(AAA)에 따르면, 19일 현재 전국 평균 휘발유값은 3.85달러로 지난달보다 20센트 올랐다. 장은주 기자 [email protected]전략비축유 추가 전략비축유 방출 전략비축유 추가 추가 방출
2022.10.19. 19:25
조 바이든 대통령이 급등한 유가를 잡기 위해 향후 6개월간 매일 100만 배럴의 전략비축유를 방출하기로 했다. 사상 최대 규모다. 또 국가적 비상시국에도 유전을 운영하지 않고 있는 석유업체에는 과태료를 물리고, 필수 광물 증산을 위해 한국전쟁 당시 만들어진 국방물자조달법(DPA)을 발동할 뜻을 밝혔다. 바이든 대통령은 지난달 31일 기자회견을 열고 “푸틴이 자행한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인해 유가가 급등했다”면서 “공급량 부족에 따른 것으로 더 많은 원유 공급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에 대한 해법으로 향후 6개월간 하루 100만 배럴을 추가로 방출해 총 1억8000만 배럴을 방출하기로 했다. 백악관 측은 이에 대해 “전례 없는 사상 최대 규모”라고 전하고, “국내 석유 생산이 본격화되는 올 연말까지 가교 역할을 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와 함께 바이든 대통령은 미 전역에 원유를 생산하지 않는 시추시설이 9000개 이상 있다고 언급하고, 이익만을 추구하는 석유업체들을 비난했다. 이들 업체들이 원유값 급등에 따른 이익을 얻고자 의도적으로 생산량을 늘리지 않고 있다는 의미다. 이에 시추용 공공부지를 임대했지만 원유를 생산하지 않는 경우 과태료를 물게 하겠다고 경고했다. 단, 이는 연방의회 법안 통과가 필요한 사안으로 민주·공화 동석인 연방상원에서 통과할 수 있을지는 불확실하다. 장은주 기자전략비축유 개스값 개스값 하락 전략비축유 하루 원유값 급등
2022.03.31. 21:58
조 바이든 대통령이 급등한 유가를 잡기 위해 향후 6개월간 매일 100만 배럴의 전략비축유를 방출하기로 했다. 사상 최대 규모다. 또 국가적 비상시국에도 유전을 운영하지 않고 있는 석유업체에는 과태료를 물리고, 필수 광물 증산을 위해 한국전쟁 당시 만들어진 국방물자조달법(DPA)을 발동할 뜻을 밝혔다. 바이든 대통령은 31일 기자회견을 열고 “푸틴이 자행한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인해 유가가 급등했다”면서 “공급량 부족에 따른 것으로 더 많은 원유 공급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에 대한 해법으로 향후 6개월간 하루 100만 배럴을 추가로 방출해 총 1억8000만 배럴을 방출하기로 했다. 백악관 측은 이에 대해 “전례 없는 사상 최대 규모”라고 전하고, “국내 석유 생산이 본격화되는 올 연말까지 가교 역할을 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와 함께 바이든 대통령은 미 전역에 원유를 생산하지 않는 시추시설이 9000개 이상 있다고 언급하고, 이익만을 추구하는 석유업체들을 비난했다. 이들 업체들이 원유값 급등에 따른 이익을 얻고자 의도적으로 생산량을 늘리지 않고 있다는 의미다. 이에 시추용 공공부지를 임대했지만 원유를 생산하지 않는 경우 과태료를 물게 하겠다고 경고했다. 단, 이는 연방의회 법안 통과가 필요한 사안으로 민주·공화 동석인 연방상원에서 통과할 수 있을지는 불확실하다. 이같은 원유 가격 급등에 대응한 단기적인 처방 외에도 청정에너지 전환과 같은 장기적인 방안도 제시됐다. 대통령은 이에 대해 “미래 성장동력을 위한 에너지를 다른 나라에 의존하는 것을 끝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의 일환으로 전기자동차 배터리 등에 이용되는 리튬·니켈·코발트·망간 등의 광물 생산을 위해 DPA를 발동할 예정이다. 바이든 대통령은 이날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우크라이나 전쟁과 관련해 제대로 된 정보를 받지 못하고 있다는 당국 발표에 대해 “푸틴이 스스로를 고립시키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하지만 러시아가 우크라이나에서 철군하느냐는 질문에는 “명확한 증거가 없다”면서 “약간 회의적”이라고 밝혔다. 한편, 이같은 비축유 대량 방출 결정에 국제유가가 큰 폭으로 떨어졌다. 31일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5월 인도분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는 전날보다 배럴당 7%(7.54달러) 내린 100.28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이는 지난달 16일 이후 보름동안 가장 낮은 가격이지만, 올해 1분기 동안 WTI는 33% 급등했다. 장은주 기자 [email protected]전략비축유 석유업체 원유값 급등 우크라이나 침공 우크라이나 전쟁
2022.03.31. 2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