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라크 전쟁에서 전사한 한인의 이름이 다리에 새겨졌다. 전국에서 한인 전사자의 이름을 딴 추모 다리가 생긴 건 두 번째다. 펜실베이니아주 지역 매체 ‘레빗타운나우’에 따르면 지난 19일 벅스 카운티 트랜톤로드 다리를 고 문재식 하사의 이름을 딴 추모 다리로 명명하는 행사가 진행됐다. 다리의 공식 명칭은 이날부터 ‘재 S. 문 하사 추모 다리(Staff Sgt. Jae S. Moon Memorial Bridge)’가 됐다. 미 육군 소속이었던 문 하사는 다리가 있는 벅스 카운티 미들타운 타운십이란 소도시에서 성장했다. 이 지역에서 고등학교를 졸업한 뒤 육군에 입대, 이라크 전쟁에 참전했다가 지난 2006년 크리스마스날 차량에서 폭발물이 터져 전사했었다. 당시 문 하사의 나이는 21세였다. 문 하사에 대한 추모 다리 명명 법안을 발의한 조 호건 펜실베이니아주 하원의원(공화·142지구)은 “이 지역 출신 중에 당시 테러와의 전쟁으로 이라크에 파병됐다가 전사한 인물은 문 하사가 유일하다”며 “다리를 그의 이름으로 명명하는 것은 지역 사회가 그의 공로, 희생 등을 인정하고 영원히 기리는 일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문 하사는 1985년에 한국서 태어나 전사할 때까지 펜실베이니아주에서 자랐다. 군 복무 후에는 연방수사국(FBI)에서 일하는 것이 꿈이었다. 문 하사의 여동생인 크리스털 문씨는 이날 명명식에서 “그때 오빠가 전사하기 직전인 크리스마스이브 날 마지막 통화를 했던 기억이 아직도 생생하다”며 “늘 미소 짓는 얼굴로 타인을 돕는 것을 좋아했던 오빠는 가족은 물론 모두에게 사랑받던 인물”이라고 전했다. 이 매체는 “문 하사의 아버지도 과거 참전 용사로서 전투 중 다쳤던 인물”이라며 “호건 의원은 유가족들을 만나 문 하사와 아버지의 이야기를 듣다가 다리 이름 명명 법안을 추진하기로 결정했던 것”이라고 보도했다. 이날 다리 명명식에는 호건 의원을 비롯한 브라이언 핏즈패트릭 주 하원의원, 프랭크 페러 주 상원의원, 애나 페인 미들타운 타운십 수퍼바이저, 벅스 카운티 재향군인회, 뉴욕총영사관 필라델피아 출장소 관계자, 재향군인회 미북중부 지회 회원, 지역 주민 등 100여명이 참석했다. 한편, 이번 다리 명명 법안은 펜실베이니아주 상원(SB 621)과 하원(HB 1711) 등에서 잇따라 상정됐었다. 이후 SB 621로 법안이 통합되면서 의회에서 초당적 지지를 받아 통과됐다. 지난 2012년에는 아프가니스탄전에 참전했다가 전사한 고 최규혁(당시 34세) 하사의 이름을 딴 다리가 뉴욕주 업스테이트 지역에 생긴 바 있다. 장열 기자ㆍ[email protected]이라크전 전사자 한인 전사자 이라크전 한인 추모 다리
2024.04.22. 20:10
한국전 참전 용사의 이름을 가슴에 품고 전국의 초등학교를 찾아다니며 감사를 전하는 한인 노부부가 있다. 이들이 향하는 곳은 전사자들의 고향이다. 버몬트주에 사는 구성열(80), 김창화(77)씨 부부는 한국전 참전 용사들의 고향을 찾아가 전사자들의 이름으로 지역 초등학교 도서관에 책과 기부금을 전달하는 프로젝트를 진행 중이다. 전사자를 기리고 한국전의 뜻깊은 역사를 학생들에게 알리기 위해 시작된 이 프로젝트는 벌써 3년째 이어지고 있다. 지난 2020년 10월 버몬트주 리즈보로센트럴학교(Readsboro Central School)를 시작으로 지난 19일 사우스캐롤라이나주 식스 마일 초등학교(Six mile Elementary School)까지 총 33개 주 33개 학교에 기부금을 전달했다. 구씨 부부는 현재 식스 마일 초등학교 방문을 마치고 플로리다, 아칸소, 켄터키주 지역으로 이어지는 전사자의 고향 방문 일정을 28일까지 진행하고 있다. 구성열 씨는 19일 본지와 인터뷰에서 “전사자 명단을 일일이 살피며 마음에 와 닿거나 특별한 이야기가 있으면 주마다 한 명씩 선정해 그들의 고향 지역 초등학교를 방문하고 있다”며 “켄터키주까지 가면 36개 학교에 기부금을 전달하게 되는데 내년까지 50개 주를 모두 마치는 게 목표”라고 말했다. 일례로 식스 마일 초등학교의 식스마일 지역은 ‘찰스 헤이워드 바커(당시 18세)’ 일등병의 고향이다. 바커 일등병은 미군 제7보병사단 소속으로 경기도 연천군 천덕산 주변에서 중공군과 치열한 고지전이 벌어졌던 ‘폭찹힐(Pork Chop Hill)’ 전투에서 마지막까지 싸우다 전사한 청년이다. 구씨는 “바커 일등병의 이야기를 살펴보니 한국전에 참전하려고 부모 몰래 서명을 해서 15살 때 입대를 했다고 하더라”며 “그런 아이가 한국이라는 나라를 위해 싸우다 목숨을 잃었는데 어떻게든 감사함을 표현하고 싶었다”고 전했다. 이들은 세 가지 선물을 들고 초등학교를 방문한다. 전사자를 기리기 위해 이름이 새겨진 명패, 한국전 역사가 담긴 책 그리고 기부금(5033달러)이다. 초등학생들을 만나 한국전이 갖는 역사적 의미와 전사자의 이야기를 나누며 감사의 마음을 전하는 일은 이들에게 가장 보람찬 일이다. 이번에 켄터키주 일정까지 마치게 되면 36개 초등학교 도서관에 총 18만1188달러를 전사자들의 이름으로 기부한 셈이 된다. 구씨 부부는 지난 2019년에 6.25 재단(625foundation.org)을 설립했다. 구씨는 “예전에 네팔 여행을 갔다가 우연히 한인 2세 학생들을 만나 대화를 나눴는데 한국전쟁에 대해 전혀 모르고 있어 그때부터 교육 목적으로 재단을 설립했다”며 “한국전은 ‘잊힌 전쟁(Forgotten War)’으로 불리지 않나. 6·25 때 미국이 아니었다면 우리가 누리는 이 자유는 아마 없었을 것”이라고 전했다. 구씨 내외는 재단 설립 후 전사자 고향 방문 프로젝트를 위해 ‘리버티 워크(Liberty Walk·자유의 걸음)’ 행사를 매년 6월25일 마다 개최했다. 1마일을 걸을 때마다 일정액을 기부하는 행사다. 가족을 비롯한 이웃, 친지, 동창 등 모두가 후원자다. 지난해에는 처음으로 한국에서도 행사가 진행됐다. 후원자들과 주한 미군이 용산구 전쟁기념관 앞에서 미8군 기지를 거쳐 국립중앙박물관까지 함께 걸었다. 구씨는 “첫 리버티 워크 행사 때가 한국전 70주년이었는데 그때 걷힌 모금액이 5033달러였다”며 “그때부터 5033달러를 기부 금액으로 정했고 여러 후원자의 기금과 사비 등을 털어 재단을 운영 중”이라고 말했다. 구씨 내외는 직접 운전을 하고 기부할 학교에 방문한다. 대부분 시골 지역 학교라서 구석구석 다니려면 비행기보다 자동차가 낫다는 판단에서다. 이 때문에 동부에 살면서 캘리포니아 등 서부 지역까지 운전도 마다하지 않는다. 지금까지 기부를 위한 운행 거리만 무려 4만 마일이 넘는다. 구씨는 경기고등학교(57회), 연세대학교 사학과를 졸업(1965년)했다. 이후 1967년에 미국에 온 구씨는 뉴욕에서 컴퓨터 소프트웨어 개발 사업체를 운영했다. 구씨 부부에게는 또 하나의 숙제가 있다. 차세대가 리버티 워크 행사를 이어받길 바라고 있다. 구씨는 “학교를 한 군데 정해서 교육구와 협의하고 결정이 되기까지 약 1년 정도의 준비 시간이 필요한데 젊은 친구들이 함께한다면 의미가 배가 될 것”이라며 “50개 주 방문 프로젝트가 끝나도 계속 리버티 워크 행사를 이어갈 수 있는 젊은이들이 많이 나왔으면 한다”고 말했다. 한국전에서 전사한 미군은 3만7000여명이다. 7000여명은 여전히 실종(Missing in Action) 상태다. 자유의 걸음을 멈출 수 없는 이유다. 장열 기자 [email protected]한국전 전사자 전사자 고향 한국전 참전 초등학교 방문
2023.09.21. 21:39
한국 정부 등이 2400만 달러 이상의 예산을 지원해 최근 준공한 한국전쟁 전사자 '추모의 벽'에서 수백개의 오류가 발견돼 논란이다. 참전용사들의 노령화로 관련 단체들마저 잇따라 문을 닫고 있어 한국전 기념사업에 대한 대책이 시급하다는 지적도 제기되고 있다. 29일 한국전 전사자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하는 ‘한국전 프로젝트(KWP)’에 따르면 한국전 추모의 벽에 총 868개의 오·탈자 및 형식 오류 등이 발견됐다. 한국전 추모의 벽은 지난 27일 워싱턴DC 한국전참전용사기념공원에서 공개됐다. 이곳에는 미군 전사자(3만6634명), 한국군 카투사 전사자(7174명) 등 총 4만3808명의 이름이 각인돼있다. 그런데 오류로 지적된 것이 868개라면 약 2%에 해당하는 전사자 이름이 잘못 표기된 셈이다. KWP는 지난 1995년부터 웹사이트(www.koreanwar.org)를 통해 한국전 전사자 유가족으로부터 참전 용사 정보 수집 및 한국전 역사 연구를 담당하는 단체로 할 베이커, 테드 베어커 형제가 관리하고 있다. KWP의 할 베이커는 지역 매체 ‘텍사스 먼슬리(Texas Monthly)’와의 인터뷰에서 “우리 역시 한국전 참전용사의 아들로서 30년 가까이 유가족, 참전 용사들로부터 정보를 얻어 자료를 수정하고 있다”며 “이번에 공개된 추모의 벽의 오·탈자는 868개로 베트남 전쟁 전사자 추모의 벽에서 발견된 실수보다 8배나 더 많다”고 말했다. KWP가 공개한 오·탈자의 예를 살펴보면 ▶해군 십자훈장을 받은 ‘H.J Smith’를 ‘HOW J SMITH’로 표기 ▶명예훈장을 받은 ‘Ambrosio Guillen’의 성씨를 ‘GUILIEN’으로 표기 ▶해병대 중령 ‘Edward R Gagenah’ 이름 두줄 밑에 ‘Edward R. Hagenah’로 중복 및 잘못 표기 ▶‘Melvin E Sarkilahti’의 성씨를 ‘SARKILANTI’로 표기 등이다. 이와 관련, 텍사스 먼슬리는 ‘새로운 한국전 추모의 벽은 수백명의 미군 전사자를 잊어버렸다’고 보도했다. 특히 당국의 반응을 보면 한국전이 왜 ‘잊힌 전쟁(Forgotten War)’으로 불리는지 알 수 있다. KWP의 테드 베이커는 “지난 수년간 백악관, 국방부 장관, 부통령 등에게 전사자 정보 오류에 대해 수정을 요청했지만, 그 누구도 신경을 쓰지 않았다”며 “특히 추모의 벽을 관리하는 한국전참전용사추모재단(KWVMF)은 정확한 전사자 정보를 얻기 위한 진지한 노력을 기울이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이 가운데 참전용사 협회들은 계속해서 문을 닫고 있다. 한국전 발발 72주년을 넘어서며 참전용사들이 사망하거나 생존하더라도 90세 전후가 되면서 협회 운영이 점점 힘들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장진호 전투를 다룬 '나를 이끌어준 아버지의 훈장' 등의 작품을 쓴 LA의 소설가 권소희 작가는 29일 본지와의 인터뷰에서 안타까움을 드러냈다. 1년 전 미주리주에서 열린 ‘미 육군 제7사단 장진호 전투 참전 용사 모임’에 다녀왔다는 그는 "그날 행사에 제7사단의 마지막 생존자 7명이 참석했는데 그게 공식적으로 마지막 모임이었다”며 “다들 연로해서 더는 모임을 갖기 어렵고 단체 운영도 쉽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뉴욕 지역 매체 ‘애디론댁 데일리 엔터프라이즈’도 글렌폴스 지역 한국전 참전용사협회가 회원들의 고령화로 해산을 결정했다고 이날 보도했다. 장열 기자ㆍ[email protected]한국전 전사자 한국전쟁 전사자 한국전 전사자 한국전 참전용사
2022.07.29. 19:28
6·25전쟁에서 전사한 미군과 카투사 등 전사자 4만3808명의 이름을 각인한 ‘추모의 벽’이 27일 워싱턴DC 한국전 참전용사 기념공원에서 새 상징물로 모습을 드러냈다. 한국전 정전협정 69주년을 맞은 27일, 한국전참전용사추모재단은 워싱턴DC 한국전 참전용사 기념공원에서 한국전 전사자 추모의 벽 헌정식을 개최했다. 이날 헌정식에는 한국에서 이종섭 국방부 장관과 박민식 국가보훈처장, 조태용 주미대사가 참석했고, 미국에서는 조 바이든 대통령을 대신해 부통령 남편인 ‘세컨드 젠틀맨’ 더그 엠호프, 제이크 설리번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 존 털럴리 한국전참전용사추모재단 이사장 등이 참석했다. 또 미군 참전용사, 현지 한인 등 2000여 명이 몰렸다. 작년 3월부터 공사를 시작해 이날 준공된 추모의 벽에는 미군 전사자 3만6634명, 카투사 전사자 7174명의 이름이 군별, 계급·알파벳 순으로 각인됐다. 추모의 벽에는 카투사의 이름을 함께 새겨 넣어 미국 내 참전 기념 조형물 가운데 비미국인 전사자 이름이 새겨진 첫 사례가 됐다. 윤석열 대통령은 박 보훈처장이 대독한 기념사에서 추모의 벽 완공에 대해 “한미 혈맹의 강고함을 나타내는 조형물로 건립됐다”며 “한국전 참전용사 여러분은 대한민국을 지켜낸 자유의 수호자이자 진정한 영웅”이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세컨드 젠틀맨 엠호프는 “우리는 계속 한국과 나란히 서 있을 것”이라며 “추모의 벽은 이 약속을 구체적이고 영원히 상기시키는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바이든 대통령은 정전협정일 69주년을 하루 앞둔 26일 포고문을 내고 “오늘날 한국은 강력한 동맹이자 글로벌 혁신센터, 활기찬 민주주의 국가”라면서 지난 5월 방한 때 한미 동맹이 어느 때보다 강력하다는 점을 재확인한 사실을 상기했다. 심종민 기자한국전 전사자 한국전참전용사추모재단 이사장 한국전 전사자 한국전 참전용사
2022.07.27. 18:43
오렌지카운티 한국전 참전 미군 용사 기념비(이하 기념비) 준공식이 사흘 앞으로 다가왔다. 오는 11일 오후 1시 풀러턴의 힐크레스트 공원(1200 N. Harbor Blvd)에서 열릴 준공식에서 공개될 기념비와 기념비 표지석엔 한국전 당시 목숨을 잃은 미군 장병 3만6591명 외에 기념비 건립을 위해 기부한 이와 완공에 도움을 준 이 392명의 이름이 새겨져 영구 보존된다. 기념비 건립위원회(이하 건립위) 노명수 회장은 “대한민국을 위해 희생한 미군들과 함께 영원히 기억된다는 건 크나큰 영예”라며 “단일 프로젝트에 400명에 육박하는 이가 기여한 것도 한인 사회에서 유례를 찾아보기 힘든 일일 것”이라고 말했다. 미군 전사자 명단은 오각별 기둥 형태로 제작돼 각각 10개의 면을 지닌 기념비에 새겨졌다. 각 주 명칭과 전사자 이름 알파벳 순서대로 새겨졌다. 콘크리트 받침대의 각 면마다 각 주 이름이 표시돼 쉽게 구별할 수 있다. 브레아 불러바드를 향해 설치된 콘크리트 기념비 표지석은 가로 16피트, 세로 4피트 크기로 제작됐다. 표지판 앞쪽엔 ‘코리안 워 메모리얼(KOREAN WAR MEMORIAL)’이란 영문과 함께 미 육군, 해병대, 해군, 공군, 해안경비대 문장이 새겨졌다. 표지판 뒤쪽엔 500달러 이상 기부자 337명, 풀러턴 시의회 관계자 7명, 건립위 위원, 자문위원 등 48명의 이름이 새겨졌다. 기부자 명단은 기부 금액에 따라 별 1개~5개로 구분돼 작성됐다. 500달러 이상은 별 1개, 1000달러 이상 2개, 5000달러 이상 3개, 1만 달러 이상 4개, 2만 달러 이상 5개다. 500달러 미만 기부자 명단은 건립위 웹사이트(ockoreanwar.com)에 등재된다. 본지가 확인한 결과, 2만 달러 이상 기부자는 18명이다. 1만 달러 이상은 37명, 5000달러 이상은 29명이다, 1000달러 이상 기부자가 165명으로 가장 많다. 500달러 이상 기부자는 88명이다. 건립위 측은 부부가 함께 기부한 경우, 둘의 이름을 모두 기록하되 1명으로 간주했다. 기념비 건립 프로젝트는 11년 만에 빛을 보게 됐다. 오랜 세월이 흐른 탓에 2만 달러 이상 기부자 중엔 별세한 이도 둘 있다. 건립위 초대 회장을 지낸 김진오 회장, 홍명기 M&L재단 이사장이다. 건립위 측은 힐크레스트 공원 부지를 제공한 풀러턴 시의원들의 이름도 새겼다. 브루스 위태커 시장, 마이크 던랩 부시장, 프레드 정, 헤수스 실바, 아마드 자라 시의원 외에 제니퍼 피츠제럴드 전 시장과 잰 플로리 전 시의원이 영예의 주인공이 됐다. 역사에 남게 된 건립위원은 타계한 김진오 초대 회장과 오구 회장 외에 노명수 회장, 배기호 부회장, 강석희 고문, 박동우 사무총장, 안영대 재무, 토니 박 총무, 테드 김, 김창달, 정성남, 조이스 김 위원이다. 이 밖에 미셸 박 스틸, 루 코레아 연방하원의원, 섀런 쿼크-실바 가주하원의원, 지종식 아리랑마켓 대표, 이건수 한미동맹재단 명예이사장, 원로 배우 김지미씨 등이 자문위원 자격으로 등재됐다. 준공식 관련 문의는 건립위 노명수 회장(714-514-6363) 또는 박동우 사무총장(714-858-0474)에게 하면 된다. 임상환 기자전사자 기여자 기념비 건립위원회 미군 전사자 이상 기부자
2021.11.07. 20: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