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으로 노트북, 스마트폰, AI서버 같은 전자제품 가격이 급등할 전망이다. CNBC 방송은 “중국, 캐나다, 멕시코에서 수입되는 전자제품에 대한 관세 부과 계획이 실행되면 소비자와 기업 모두 타격을 입을 것”이라며 “2018년 관세보다 광범위한 제품군에 적용될 가능성이 높다”고 27일 보도했다. 지난 2018년에는 기업들이 특정 제품 대상으로 관세 면제를 신청할 수 있었다. 하지만 이번에 트럼프 대통령이 모든 제품에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공언함에 따라 중국산 제품에 60%, 캐나다와 멕시코산 제품에도 10%의 관세가 부과돼 가격 인상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소비자기술협회(CTA) 보고서에 따르면 노트북 및 태블릿 가격이 최대 45% 상승하고, 비디오 게임 콘솔은 40%, 스마트폰은 평균 26% 오를 전망이다. 이는 스마트폰 한 대당 평균 213달러의 가격 상승을 의미한다. 트럼프 1기 정부 관세 정책과 팬데믹 영향으로 많은 기업이 중국 의존도를 줄이고 멕시코로 생산 거점을 이전했다. 팍스콘, 레노보, 하이센스 같은 대기업은 멕시코에 생산 공장을 추진했다. 팍스콘은 지난 11월 멕시코 과달라하라에 엔비디아 인공지능 서버를 조립하기 위한 대규모 공장을 건설 중이라고 밝힌 바 있다. 트럼프 대통령이 멕시코산 전자제품에 대한 관세 부과를 발표하면서 기업들은 또다시 새로운 문제에 직면했다. 많은 회사가 팬데믹, 관세 대응에 나서 이미 니어쇼링(근거리 아웃소싱)으로 멕시코에서 생산을 확대했기 때문이다. 국제무역위원회에 따르면 미국의 멕시코산 전자제품 수입은 2019년 860억 달러에서 2023년 1030억 달러로 증가해 전체 전자 제품 수입의 약 18%를 차지했다. 멕시코는 2023년 1460억 달러의 수입을 보고한 중국에 이어 2위를 차지했다. 멕시코의 성장에도 불구하고 중국은 여전히 미국에서 전자제품을 가장 많이 수입하는 국가다. CTA에 따르면 중국은 스마트폰의 78%, 비디오 게임 콘솔의 87%, 노트북의 79%를 생산하고 있다. 기업 입장에서 관세로 인한 비용 증가는 결국 소비자에게로 전가될 가능성이 크다. 무역 단체와 학계에서 트럼프의 관세로 인해 촉발된 무역 전쟁이 세계 무역을 둔화시키고 소비자 가격을 인상할 수 있다는 경고가 나오고 있다. 이번 주에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테슬라가 지난해 12월 분기 실적을 발표한다. 투자자들은 트럼프 대통령이 주요 미국 무역 파트너에 대한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위협한 것이 해당 기업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에 관심을 집중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내달 1일 중국, 캐나다, 멕시코 수입 제품에 대한 관세 부과 관련 구체적인 내용을 공개할 것으로 알려졌다. 이은영 기자전자제품 트럼프 멕시코산 전자제품 전자제품 가격 트럼프 대통령
2025.01.27. 19:04
#. 20대 B씨는 매달 약 100~200달러를 가구, 옷, 하이킹 용품, 수리 도구 등을 임대하는 데 쓴다고 한다. 그는 자주 이사할 수 있어서 가구를 사는 것보다 빌리는 게 경제적이고 특히 이사 비용를 고려하면 돈을 더 아낄 수 있다고 전했다. #. 프리랜서 사진가 H씨는 현재 사용 중인 카메라보다 훨씬 고사양의 카메라나 렌즈가 필요할 땐 렌탈을 이용한다. 최신 카메라 구입보다 당장 큰 돈이 들지 않아서 원활하게 자금을 운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매달 한 번씩 카메라 관련 다른 장비와 조명도 렌털한다. 젊은 소비자들 중에서 생활용품이나 가구를 소유하는 것보다 렌털을 더 선호하는 경향이 강하게 나타나고 있다. 이런 소비 트렌드가 확산하면서 다양한 렌털 업체들이 생겨하고 있다. 최근 금융정보업체 크레딧 카르마의 설문조사에 따르면, 응답자 4명 중 1명 이상이 생활용품을 렌트해서 사용한다고 답했다. 빌려 사용하는 품목은 의류, 전자제품, 가구, 하이힐, 핸드드릴, 소파, 임신복, 캠핑 장비, 예술품, 장례용 관, 크리스마스트리, 자동차까지 다양했다. 임대 기간도 하루에서 수년까지 선택 옵션이 많다. 크레딧 카르마의 코트니 알레브 소비자 금융 전문가는 “젊은 세대는 재정 유연성을 중시하고, 물건 보관 공간 부족과 잦은 이사로 인해 소유에 대한 부담을 느끼는 경향이 강하다”며 “이러한 소비 트렌드 변화로 인해 렌털 서비스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전문가들은 편리성, 저렴한 초기 비용, 최신 유행 따라집기 등을 젊은층의 렌털 선호 이유로 꼽았다. ▶의류 누울리는 안트로폴로지아, 메이브 등 유명 브랜드의 옷을 한 달에 최대 6벌까지 집으로 배송해주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임산복, 파티 드레스, 캐주얼 정장 등 다양한 종류의 옷이 있다. 고객은 마음에 드는 옷 6벌을 선택해 한 달 동안 착용한 후 반납하고, 다음 달에 새로운 옷 6벌을 다시 선택할 수 있다. 이 모든 서비스는 월 98달러에 이용 가능하며, 세탁이나 수선의 걱정도 없다. 입어보고 마음에 드는 옷은 할인된 가격에 구매할 수도 있다. 누울리의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분기 동안 51% 이상 증가했으며, 평균 활동 가입자 수는 22만4000명이다. 또 다른 대여 서비스인 피클도 결혼식, 파티, 휴가 등 행사에 어울리는 옷, 신발, 가방, 액세서리 등을 빌려준다. 미우미우 핸드백 렌트비는 50달러, 구찌 목걸이 120달러, 루이뷔통 귀걸이 30달러, 에르메스 샌들 100달러, 자라 핸드백은 10달러다. ▶가구 가구 대여 업체 코트는 집, 사무실, 이벤트에 사용할 가구를 빌려준다. 소비자는 침대, 의자, 식탁, 소파뿐만 아니라 접시, 조리도구, 토스터, 커피 머신 등을 빌릴 수 있다. 원하는 가구를 정하고 날짜를 선택하면 직원이 가구를 원하는 장소에 직접 가져다준다. 이사가 잦은 학생과 군인을 위한 패키지도 준비돼 있다. 이 서비스는 소비자에게 1베드룸에 필요한 가구를 월 129달러에 대여해 준다. 소비자는 대여 업체 AF퍼니처렌털을 통해 가구부터 집에 둘 식물, 그림, 거울, 장식품들을 렌트할 수 있다. ▶공구·가전 등 홈디포는 전기톱, 잔디깎이, 카펫 청소기, 사다리 등 자주 사용하지 않고 부피가 커서 보관하기가 어렵고 구매하기 부담스러운 공구를 대여한다. 하루 기준 카펫 청소기는 39달러, 전기톱은 61달러, 잔디깎이는 46달러다. 어플라이언스 웨어하우스는 세탁기와 건조기를 매달 22~55달러에 빌려준다. 냉장고는 한 달에 40달러대다. 업체가 무료 설치해주고 임대 기간 동안 무상 수리도 해 준다. 렌즈렌털은 카메라, 렌즈, 조명 등을 대여하는 업체다. 캐논, 니콘, 소니, 후지, 파나소딕, 블랙매직 등의 카메라를 빌려준다. 한 번 빌리면 7일동안 사용할 수 있다. 가격은 브랜드와 제품에 따라 30달러~800달러까지 다양하다. 글·사진=정하은 기자 [email protected]전자제품 자동차 공구 자동차 렌털 문화 사이즈침대 작업복
2024.08.26. 19:39
뉴욕 퀸즈한인회 존 안 회장과 집행부 부회장들은 지난 5일부터 7일까지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세계 최대 IT·전자제품 박람회 ‘CES 2022’ 행사장을 방문했다. 참석자들은 올해 미국 다음으로 가장 많이 참석한 한국 대기업.중소기업 부스들을 찾아 변화하는 세상의 중심에 한국과 미국의 역할이 중요하다는 것을 확인했다. [퀸즈한인회]퀸즈한인회 전자제품 전자제품 박람회 뉴욕 퀸즈한인회 집행부 부회장들
2022.01.11. 17: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