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전체

최신기사

월그린스, 법무부와 3억달러 합의금

시카고 서버브 디어필드에 본사를 둔 월그린스가 오피오이드와 관련 연방 정부와 3억달러 규모의 합의에 도달했다.     월그린스는 21일 성명서를 통해 법무부와 합의에 이르렀다고 밝혔다.     이번 합의는 지난 2018년 내부 고발자가 제기한 소송과 관련한 것이다. 이후 법무부가 소송에 참여하면서 월그린스와 3억달러에 달하는 합의금에 도달한 것이다.     이번 소송은 월그린스가 유효하지 않은 오피오이드 처방전을 바탕으로 마약성 진통제를 처방했다는 혐의로 시작됐다. 또 약값을 청구하면서 메디케어와 같은 연방 프로그램을 부정한 방법으로 이용해 환급을 받았다는 것이 주요 내용이다.     즉 월그린스는 높은 용량의 마약성 진통제인 오피오이드를 처방전에서 지시하는 것보다 일찍 채웠을 뿐만 아니라 위험한 약들을 섞어 처방한 혐의를 받고 있다. 해당 기간은 2013년부터 2023년까지다.     월그린스는 약사들로 하여금 처방전을 빨리 채우라고 독촉해 처방전이 유효한 지 여부를 따질 수 없도록 압력을 넣었다는 혐의를 받아왔다. 그리고 유효하지 않은 처방전을 바탕으로 약을 처방했기 때문에 메디케어와 같은 연방 프로그램도 위반했다는 것이 법무부의 주장이다.     법무부는 성명서를 통해 “월그린스는 유효하지 않은 것을 알면서도 통제 약물을 처방했고 이는 보통의 처방 과정과는 다른 것이었다. 해당 처방전이 위험성을 지니고 있다는 것을 알았음에도 불구하고 다수의 처방전을 채웠다”고 주장했다.     월그린스는 성명서에서 위법성을 인정하지는 않았지만 소송이 가져올 수 있는 불확실성을 해소하기 위해 합의했다는 입장을 밝혔다.     법무부와 월그린스의 이번 합의에는 추가 합의금 조항도 포함돼 있다. 즉 2032년전까지 기업 매각과 합병 등이 발생할 경우 추가로 5000만달러를 내야 한다는 조항이다. 이는 월그린스가 지난달 올 4분기 내 사모펀드에 매각을 추진한다고 발표한 것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또 합의 내용에 따라 월그린스는 향후 처방전이 유효한지를 충분히 확인한 후 통제 약물을 보충하는 내용도 포함시켰다.     한편 이번 소송은 지난 2018년 월그린스 전 직원에 의해 제기됐으며 이 직원은 연방법의 따라 전체 합의금의 17.25%를 받게 된다. 월그린스는 2개월 전에도 코로나19 테스트와 관련한 소송에서 5억9500만달러의 합의금을 지급하겠다는 내용에 합의한 바 있다.     Nathan Park 기자월그린 법무부 추가 합의금 전체 합의금 향후 처방전

2025.04.22. 13:04

썸네일

폭리-규정 위반 우버이츠, 시카고에 합의금 1000만불

우버이츠(UberEats)가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중 음식 배달과 관련, 규정을 어기고 폭리를 취한 데 대해 합의금 1000만 달러를 내기로 시카고 시와 합의했다.     이번 합의는 우버이츠)가 식당측 동의 없이 자신들의 앱에 해당 업체를 올려 놓거나 규정 이상의 높은 수수료를 받았다며 시카고 시가 소송을 제기하면서 비롯됐다. 시카고 시는 이번 합의에 따라 소송을 취하하기로 했다.     시카고 시는 지난 2020년 11월부터 2021년 4월까지 배달 업체들에 비용으로 총금액의 15% 이상을 적용할 수 없도록 했다.     하지만 우버이츠와 우버이츠가 소유한 또 다른 배달 플랫폼 '포스트메이츠'(Postmates)는 15% 이상을 받았고 심지어 25%를 적용한 경우도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또 업체측의 동의 없이 우버이츠앱에 식당을 무단 등록하기도 한 것으로 알려졌다.     우버측은 수수료 과다 부과에 따른 합의금 550만 달러 외 시카고 시청에 해당 사안에 대한 조사비 명목으로 150만 달러를 지급하는데도 동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피해를 입은 식당들에 모두 250만달러에 달하는 우버이츠 제공 무료 배달, 마케팅 서비스를 제공하기로 했다.     이렇게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중 시카고서 이용할 수 있는 식당 배달 앱 가운데 소송이 진행 중인 곳은 우버이츠를 포함해 포스트메이츠와 도어대쉬, 그룹허브 등이 있다. 이 중 도어대쉬 소송은 연방 법원에서 진행 중이고 그룹허브는 쿡 카운티 순회법원이 재판을 담당하고 있다.     시카고 시는 이번 합의를 통해 모두 2500곳 이상의 지역 내 식당들이 보상을 받게 될 것으로 예상했다. 또 전체 합의금 가운데 최소 50만 달러는 동의를 하지 않았는데도 플랫폼에 올린 레스토랑들에 전달할 계획이다.     피해를 입은 업체는 시카고 시 관련 웹사이트(chicago.gov/ubersettlement)서 피해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 오는 1월 29일까지 합의금 신청서를 제출해야 한다.     한인 식당들 중에서도 우버이츠와 같은 식당 배달 앱의 높은 시장 지배력에 대해 피해를 호소하는 경우가 있다. 글렌뷰에서 식당은 운영중인 한인 이 모씨는 “요즘 같은 상황에서 배달 앱을 이용하지 않을 수 없는데 수수료 명목으로 음식값의 25%를 받아 가면 식당측 입장에서는 정말 어렵다. 대부분의 식당 이윤이 그리 높지 않은 수준인데 앱에 지불하는 높은 수수료로 인해 식당 영업에 차질이 심각한 수준"이라고 밝혔다. Nathan Park•Kevin Rho 기자시카고 합의금 합의금 신청서 전체 합의금 대해 합의금

2022.12.06. 15:24

썸네일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