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최신기사

“조기 전형이 정기보다 합격률 2배” 얼리 지원 전략 총정리

미국 대학 입시 과정에서 조기 전형은 합격 가능성을 높이고 지원 일정을 앞당길 수 있는 전략적 선택 사항이다. 일반적으로 일부 명문 대학에서 조기 전형 지원자의 합격률이 정기 전형(Regular Decision)지원자 보다 높다. 심지어는 조기 전형 합격률이 정기 전형 보다 두 배 이상이었다. 11월 1일 마감일을 앞두고 전략이 필요하다. 얼리 액션과 얼리 디시전의 차이, 장단점, 준비 전략을 알아본다.     대입을 앞둔 고교생이라면 누구나 명문 대학 입학을 원한다. 반면 대입을 앞둔 명문 대학 입장에서도 우수한 인재를 찾는다. 다시 말해서 미국의 대입 시스템은 우수 학생의 숫자가 제한적이라는 가정과 이들을 꼭 자기 대학에 입학시키고자 하는 대학들의 격전장이라고 볼 수 있다. 한 학생이 단 한 곳의 대학에 진학하기 때문에 대학 입장에서는 합격 허가를 했음에도 타교에 우수 학생을 뺏기는 불행한 일이 발생한다. 이런 저런 환경 아래에서 일부 명문 대학들이 자기 대학에 꼭 오겠다는 지원자의 서약을 받고 미리 합격증을 주는 제도가 바로 조기 전형 중 얼리 디시전이다.   한편 대학들의 인재 확보 경쟁이 가열되면서 정기 전형보다는 조기 전형에 초점을 두는 것으로 보이면서 대입을 준비하는 과정이 빨라지고 있다. 대학들의 조기 전형에 맞추기 위해서 커리큘럼을 바꾸고 있다. 이런 추세를 따르고 있는 한인 타운 유일의 한인 운영 사립 중고교인 NCA(교장 제이슨 송)의 경우, 9~12학년의 고교 과정을 8~11학년으로 앞당겨 대입 준비에 나서고 있다.   1. 조기 전형의 종류   조기 전형은 대학에 정기 전형보다 일찍 지원하는 제도로,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대부분의 정기 전형은 12월31일에 마감하거나 1월초에 마감하는데 조기 전형은 훨씬 이른 시기에 마감한다. 왜냐하면 조기 전형을 통해 모집 정원을 채울 수 없기 때문에 정기 전형을 해야 하기 때문이다.     (1) 얼리 액션(Early Action, EA): 조기 전형의 일반적인 형태로 합격증을 받고도 다른 대학에 등록할 수 있다. 마감일은 보통 11월 1일이며, 12월 중순 결과가 발표된다. 여러 학교에 얼리 액션으로 지원할 수 있어 상대적으로 부담이 적다. 대표적인 학교가 미시간 주립, 조지타운대를 꼽을 수 있다.     (2) 얼리 디시전(Early Decision, ED): 합격하면 꼭 등록해야 한다. 서약서에 서명해야 한다. 구속적(binding)이라고 얼리 액션과 구별한다. 마감일은 EA와 비슷하며, 일부 대학은 ED II(1월 마감)를 제공한다. NYU나 듀크가 있다. 또한 아이비리그 대학중 HYP를 제외한 대학들이 모두 채택하고 있다. 이들 세 대학에 우수 학생을 뺏기지 않으려는 의도다.     (3) 리스트릭티브 얼리 액션(Restrictive Early Action, REA): 얼리 액션의 변형으로, 다른 대학의 얼리 디시전에는 지원할 수 없지만, 공립대 얼리 액션에는 지원이 가능하다. 하버드나 스탠퍼드의 경우, 낮은 합격률 덕분에 우수 학생들이 지레짐작으로 포기하는 것을 막기 위해서 문호를 열어 주는 것이다.   (4) 싱글 초이스 얼리 액션(Single Choice EA): 합격시 다른 대학 얼리 디시전에는 지원할 수 없다. 정기 전형 결과가 나올때까지 기다릴 수 있다. 예일과 프린스턴이 채택하고 있다.   2. 조기 전형의 장단점   (1) 조기 전형의 장점으로는 합격률이 높다는 점이다. 경쟁이 덜 치열하고, 대학이 지원자의 진지한 관심을 높이 평가해 합격률이 상대적으로 높다. 정기 전형보다 2~3배나 높다. 우수 학생을 미리 확보할 수 있다는 점에서 대학이 선호하는 덕분에 지원자 입장에서 높은 합격 기회를 엿볼 수 있다. 또한 12월 중순에 결과가 발표되므로 얼리 디시전의 경우, 일찍감치 입시에서 해방 될 수 있고 그렇지 않은 경우, 정기 전형 지원 전략을 조정할 시간을 확보할 수 있다. 아울러 얼리 디시전의 경우, 합격 후 재정 지원 패키지를 조기에 확인할 수 있다.     (2) 조기 전형의 단점으로는 얼리 디시전을 통해 합격할 경우, 등록을 하지 않을 수 없으므로 완벽하게 만족하지 못할 경우 큰 후회를 할 수 있다. 또한 재정 지원 패키지가 기대에 미치지 못해도 선택이 제한된다. 더군다나 정기 전형에 비해서 마감일이 비교적 이른 편인 11월 1일 마감이므로 에세이와 추천서를 철저히 준비해야 하는데 여의치 않을 수 있다. 특히 명문대의 EA/ED 지원자는 우수한 학생이 많아, 준비가 부족하면 불리할 수 있다.   3. 조기 전형 준비 전략   조기 전형 성공은 철저한 준비와 전략에 달려 있다. 12학년생을 위한 단계별 가이드다.   (1) 대학 선택과 목표 설정: 우선 대학 리스트를 점검해서 빨리 지원 대학을 1~3곳으로 좁힐 필요가 있다. 특히 ED는 한 곳만 선택 가능하니, '드림 스쿨'인지 신중히 결정해야 한다. "이 학교가 아니면 안 된다"는 확신이 서야 한다. 캠퍼스 방문, 재학생과의 대화, 졸업생 인터뷰 등을 통해 충분한 정보를 수집하는 것이 좋다. 일단 결정되면 대학별 EA/ED 요구 사항(예: SAT/ACT, 추천서)을 철저히 확인한다. 특히 표준시험이 선택인지도 점검하라. 최근 일부 명문대학이 선택에서 필수로 바꾸는 추세다. 대략 점검이 마무리 되면 최종적으로 대학별 마감일을 공통지원서(Common App)에서 확인하고 캘린더에 기록한다.     (2) 에세이 작성과 피드백: 대입을 위한 공통지원서에서는 공통 에세이(650자 이내)를 통해 지원자의 개성과 열정을 보여줘야 한다. 여름 동안 초안을 완성하고, 교사나 멘토의 피드백이 필요하다. 대학별로 요구하는 추가 에세이는 구체적으로 작성해야 한다. 왜 이 학교를 선택했는지, 어떤 기여를 할 수 있는지를 구체적이고 진정성 있게 표현해야 한다. 예를 들어 온라인 사이트인 College Essay Guy(www.collegeessayguy.com)의 에세이 가이드를 참고해 초안을 다듬는 것도 좋다.     (3) 추천서와 서류 준비: 교사 1~2명과 카운슬러에게 이력서와 전공 관심사를 정리한 자료를 제공해서 구체적인 추천서를 받도록 한다. 또한 성적표, SAT/ACT 점수, 활동 리스트를 최신 정보로 업데이트 한다. 공통지원서에서 서류 업로드 상태를 확인한다. 추천서 요청은 이메일로 정중히 한다.     (4) 재정 지원 계획: 얼리 디시전 지원자는 합격 후 재정 지원 패키지를 확인해야 한다. 10월1일 오픈하는 FAFSA를 미리 준비한다. 또한 가족 회의를 통해 재정 상황을 논의해 얼리 디지선 원 여부를 결정하는 것이 좋다. 만약 재정적 부담이 크다면 얼리 액션을 고려하거나, 얼리 디시전 대신 정기 전형으로 여러 학교의 재정 지원(financial aid)을 비교하는 것이 현명할 수 있다.   (5) 인터뷰 준비: 컬럼비아나 다트머스 같은 일부 대학은 EA/ED 지원자에게 인터뷰를 요구한다. 일반적인 질문(예: "자신을 소개해 보세요", "왜 이 대학인가?")을 연습한다. 줌으로 가족이나 친구와 인터뷰 연습을 준비하며 자신감을 키우도록 한다.   (6) 학업 성취도 관리: 12학년 1학기 성적이 조기 전형에 반영되므로, 마지막까지 학업에 소홀히 해서는 안된다. 특히 지원하려는 전공과 관련된 과목에서 좋은 성적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SAT/ACT 점수도 마찬가지다. 10월이나 11월 시험을 마지막 기회로 활용할 수 있지만, 가능하면 그 전에 만족할 만한 점수를 확보하는 것이 좋다.   (7) 백업 플랜의 중요성: 조기 전형에 지원한다고 해서 정기 전형 준비를 소홀히 해서는 안 된다. 조기 전형의 결과가 나오는 12월 중순까지 정기전형 지원도 병행해서 준비해야 한다. 특히 얼리 디시전이 불합격될 경우를 대비해 얼리 액션이나 선착순(Rolling Admission) 학교를 미리 선정해두는 것이 좋다. 이렇게 하면 12월에 결과를 받은 후 남은 시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4. 흔한 실수와 피하는 법   첫째, 얼리 디시전은 합격하면 반드시 등록하고 진학해야 하므로 재정 지원과 대학 적합성을 신중히 검토한다. 둘째, 11월 1일 마감은 생각보다 빠르게 다가온다. 9월 중 에세이와 서류를 마무리한다. 셋째, 일반적인 에세이는 인상을 주기 어렵다. 구체적인 경험과 대학과의 연결성을 강조한다.     5. 학부모는 어떻게 도와야 하나   (1) 대학 선택 지원: 자녀와 함께 대학 리스트를 논의하며, ED의 구속성을 이해하도록 돕는다.     (2) 서류 관리: 공통지원서 계정에 로그인해 서류 제출 상태를 점검한다.  또한 FAFSA 서류(세금 보고서 등)를 미리 준비해 재정 지원 신청을 돕는다.     (3) 스트레스 관리: 자녀가 마감 압박으로 스트레스를 느끼면, 대화와 격려로 응원한다.     조기 전형은 합격 가능성을 높이는 전략적 선택이지만, 철저한 준비가 필요하다. 학기 초부터 대학 선택, 에세이, 추천서를 체계적으로 준비한다. 자신의 열정과 목표를 명확히 전달하면, 조기 전형은 분명 도전할 만한 가치가 있는 전략이다. 하지만 합격을 보장하는 것은 아니다. 아이비리그나 최상위권 대학의 경우 조기 전형이라도 여전히 경쟁이 치열하다. 불합격하더라도 낙담하지 말고 정기 전형에서 더 나은 결과를 얻을 수 있고, 때로는 처음 생각했던 것보다 더 적합한 학교를 발견할 수도 있다. 장병희 객원기자우수학생 전형 전형 지원자 조기 전형 정기 전형

2025.09.07. 19:00

썸네일

USC메릿장학생 되려면 '얼리 액션' 지원해야

미국 고교12학년생들의 대학 입학 지원 시즌은 조기 지원 전형(Early Application)부터 시작된다. 정기(regular) 전형과 시기, 목적과 결과는 다르다. 대학입학 전형에 대한 이해와 종류, 고려할 사항을 살펴본다.     대입 지원에 나선 미국 고교 12학년생은 1학기를 입학 원서를 쓰면서 보내게 된다. 원래는 12월 정기 전형 뿐이었지만 이에 앞선 10월 조기 전형이 생기면서 더 복잡해졌다. 캘리포니아 학생의 경우, UC계 대학 전형이 11월말에 마감되므로 한시름 덜 수 있는 여지도 있다. 준비가 잘 된 학생이라면 조기 전형을 이용하면 합격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자신의 성적과 실력 등을 냉정하게 살펴보고 자신이 꼭 가고 싶은 대학에 조기 전형으로 지원해 볼 만 하다. 왜냐하면 명문 대학의 조기 전형 지원자 합격률은 15~25%에 이르고 심지어는 절반 가까이에 이른다. 전체 합격률에 비해서 5배 정도는 높다. 조기 전형 결과는 늦어도 12월 15일 쯤에는 대부분 알려지므로 설령 원하는 대학에 합격이 안됐더라도 다른 대학의 정기 전형에 지원할 수 있다.     조기 전형 합격자의 경우, 또한 연말 연휴 전에 대입에 대한 부담을 덜 수 있다. 하지만 밝은 면이 있으면 어두운 면도 있다. 조기 전형 합격 학생이 정기 전형 합격생보다 평균적으로 재정 보조 혜택을 적게 받는다는 통계가 있기 때문이다. 재정 보조가 절실하다면 조기 전형으로 지원하는 것에 대해서 여러 가지를 따져볼 필요가 있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조언이다. 하지만 일부 대학에서는 웹사이트에 두 전형 합격생들에게 똑같은 재정보조 혜택을 제공한다는 것을 밝힌 곳도 있다.     원래 하나였던 전형제도가 복잡해진 이유는 대학들의 자구책이기 때문이다. 조기 전형제도를 이용해 최고 인재를 확보하기 위한 선점 방안이다. 그래서 조기 전형은 일부 특급 명문대 때문에서 시행되고 있고 명문일수록 단순하게 운영된다.     일부 주립 등 공립대를 제외하고는 사립 대학들은 입학사정관들이 자기들만의 원칙대로 합격생을 뽑는다. 그래서 대학 입장에서는 훌륭한 인재를 확보해야 하는 절실함이 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하버드를 비롯한 아이비리그 대학들에게 훌륭한 신입생 쏠림 현상이 심해졌다. 그래서 아이비리그 대학을 포함한 상위권 대학들이 훌륭한 신입생을 타대학에 뺏기지 않으려 정기 전형에 앞서 조기 전형을 도입하게 된 것이다. 더군다나 조기 전형 중 입학 허가를 받으면 꼭 입학해야 하는 구속력이 있는 '얼리 디시전'을 통해 입도선매가 가능해졌기 때문이다.   상당수 대학이 얼리 디시전을 통해서 정원의 거의 절반을 확보한다. 그러면 정기 전형에서 여유 있게 더 좋은 인재를 합격시킬 수 있다. 그래서 일반적인 합격자 정보인 SAT점수, GPA 등은 조기 전형 및 정기 전형의 합산 결과다. 조기 전형이 있는 대학에 지원할 때는 조기 전형 결과를 유심히 살펴볼 필요가 있다.   조기 전형에는 크게 얼리 디시전(Early Decision)과 얼리 액션(Early Action)으로 나뉜다. 합격 결과에 따라 등록 구속력이 있는 의무 입학(binding)이냐 구속력이 없느냐(nonbinding)로 구별한다. 표 참조〉   ▶얼리 액션=크게 3종류로 나눌 수 있다. 리스트릭티브(restrictive) 얼리 액션, 싱글 초이스(single choice) 얼리 액션, 일반 얼리 액션이다. 리스트릭티브 얼리 액션은 구속력은 없으나 지원시 대학에 따라 다른 대학 지원을 제한하고 있다. 따라서 각 대학의 가이드라인을 정확히 알아야 한다. 예를 들면 스탠포드는 리스트릭티브 얼리 액션으로 사관학교를 포함해 다른 공립학교 얼리 액션은 지원할 수 있으나 다른 사립대 얼리 액션과 얼리 디시전을 함께 지원할 수 없다고 제한하고 있다. 다만 USC의 메릿 장학금 얼리 액션만은 예외적으로 지원이 가능하다. 조지타운, 노터데임이 여기에 속한다. 싱글초이스 얼리 액션은 구속력은 없으나 오직 같은 시기에 한 개의 대학만을 지원할 수 있다. 이 전형은 하버드, 프린스턴, 예일만 시행하고 있다. 이들은 자신들중 하나만 지원할 수 있고 12월에 합격증을 받더라도 얼리 디시전 제도와 달리 구속력이 없기에 정기 전형을 통해 다른 대학에 지원할 수 있고 등록 결정은 다른 정기 지원 통지를 받은 후에도 가능하다. 최근 USC도 채택한 일반 얼리 액션은 여러 대학에 지원할 수 있다. 구속력도 없고 다른 사립대학 지원 제한도 없다. 12월에 입학 허가를 받고 정기 지원을 할 수도 있으며 4월이 돼 모든 대학의 합격 통지를 받은 후 심사숙고하여 어느 학교를 진학할 지를 결정할 수 있다. USC의 경우, 메릿장학금 신청자는 꼭 얼리 액션으로 지원해야 한다. MIT, 미시간 주립 등이 채택하고 있다. 싱글 초이스 얼리 액션과 다른 점은 여러 대학에 지원 가능 여부다. ▶얼리 디시전=바인딩이라서 '무조건 등록' 구속력이 있으므로 꼭 가고 싶은 대학을 정해서 지원해야 한다. 얼리 디시전은 11월 1일까지 한 대학에만 지원해서 12월에 입학이 허가되면 그 대학을 반드시 가야 한다. 따라서 입학 유무의 결정은 바꿀 수 없다. 만약 얼리 디시전에서 합격 통지를 받는다면 정기 전형에 지원할 수 없다.  얼리 디시전도 마감일 시기에 따라 일반 얼리 디시전과 얼리 디시전 I/II 로 구분된다. 일반 얼리 디시전과 같은 얼리 디시전 I은 마감일이 11월1일 또는 15일이다. 얼리디시전II와 정기 전형은 마감일이 1월 1일이나 15일이다. 얼리 액션과 얼리디시전을 동시에 시행하는 대학도 상당히 많다.   ▶조기 전형제도의 이해   대입을 앞둔 훌륭한 인재가 딱 1만명만 있다고 가정해보자. 최상위권 대학들은 1만명을 나눠 가져야 한다. 실제 정원과 상관없이 하버드-프린스턴-예일은 자기 학교에 지원하면서 다른 학교의 조기 전형에 지원하지 못하게 하는 '싱글 초이스 얼리 액션'을 채택하고 있다. 만약 얼리 디시전이라면 12학년생이  조기 지원을 망설일 수 있기에 사용하는 방법이다. 하버드가 싱글초이스얼리액션을 수년 전 그만뒀다가 부활시킨 이유도 프린스턴이나 예일에 훌륭한 신입생을 뺏길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었다. 지원자들에게 기회를 줘서 인재를 확보해 보자는 취지다. 스탠포드의 리스트릭티브 얼리 액션도 같은 취지다.  이들 아이비 상위 세 학교의 빛에 가려 있는 다른 아이비리그급 대학은 얼리 디시전을 채택한다. 다트머스, 브라운, 코넬, 컬럼비아, 유펜, 듀크 등이다. 결국 최상위권 1만명은 아이비 상위 세학교와 스탠포드, 이외 나머지 5곳의 아이비리그나 뉴아이비에 분산돼 지원하게 된다. 결국 얼리 디시전은 상위 세 학교에 훌륭한 신입생을 뺏기지 않으려고 만든 제도라고 보는 것이 옳은 해석이다. 반면 얼리 액션은 얼리 디시전은 채택하고 있지 않지만 나름 명문으로 훌륭한 인재를 뽑으려는 학교들의 제도다. 만약 얼리 디시전이면 지원조차 하지 않았을 학생이 구속력이 없기에 얼리 액션에 지원할 수 있다. 훌륭한 인재가 지원하느냐 아니면 기회 조차 못 갖느냐는 명문대를 지향하는 학교 입장에서는 큰 차이가 있다. 그래서 주립 대학이 다수다. UC의 경우 아예 시기를 앞당겨 일종의 변형된 얼리 액션을 채택하고 있는 셈이다.   조기 전형과 정기 전형을 보면 대학들의 눈치 싸움이 엿보인다. 최우수대학들의 조기전형 마감은 대개 11월1일, 정기 전형 마감은 1월1일을 시작으로 1월7일, 1월15일, 1월31일, 2월1일 순으로 잡혀 있다.     ▶조기 지원시 고려할 사항   조기 전형이 합격률이 높다고 해서 자격이 미흡한 지원자까지 욕심을 내서 지원하고 있다고 알려져 있다. 이는 조기 지원 전형 제도를 만든 취지를 모르기 때문에 저지르는 잘못이다. GPA나 SAT등 표준 시험 성적이 좋은 인재를 뽑기 위해서 만든 얼리 지원을 채택할 만한 명문 대학 수준에 못 미치면 당연히 합격될 리가 없다. 일부 학생은 자신이 명문 대학에 지원서를 내는 것이 목적이지 합격할 가능성의 여부에는 관심이 없다. 그들은 어느 명문 대학을 지원했다는 것으로 만족해 한다. 그런데 현실은 명문 대학에 합격한 학생의 평균 성적을 보면 10년 전에 비해 크게 높아졌다. 따라서 현실적으로 가능한 대학을 검색하여 전략을 세워야 한다. 계획을 세우기 위해 자녀의 학교 성적, SAT, ACT 점수를 체크하여 지원하고자 하는 대학의 입학 자격의 안정권에 있다면 가능성이 있다. 지원 대학에서 충분히 인정해 줄 만한 재능이나 특기가 있으면 더욱 좋다. 또한 독특한 여름 방학 활동이나 뛰어나게 튀는 봉사 활동을 했다면 합격할 기회가 더 있다.   조기 지원 전형에 지원해서는 안 되는 학생도 있다. 재정 보조가 꼭 필요한 경우라고 입시 전문가들은 설명한다. 또 확실히 성적과 스펙이 자격이 안 되는 학생, 특히 11학년까지의 성적이 좋지 않은 학생은 연습삼아 해서는 안된다. 성적이 충분해서 자격이 넘치는 학생으로 정기 지원을 해도 충분히 합격할 가능성이 있고 재정 보조가 필요한 학생이다. 아울러 대학 선택을 위한 검색을 늦게 시작했거나 아직 전공 선택 같은 것에 대한 결심이 서지 않은 상태의 학생도 조기 전형에 나서지 않는 것이 좋다. 조기 전형으로  12월에 대학으로부터 불합격 통보를 받는 경우 정기 지원으로 같은 학교에 다시 지원할 수 없다. 한 학교에서 2번의 기회를 주지 않기 때문이다. 만약 조기 전형 결과 입학 보류(defer)통보를 받은 후 정기 지원의 대기자 명단에 남아 있기를 원한다면 일단 합격한 다른 대학 중 한 곳을 선택해서 등록을 통보해줘야 한다. 장병희 기자액션 지원 조기 전형제도 대학입학 전형 전형 지원자

2024.10.13. 18:00

썸네일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