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주중앙일보

광고닫기

전체

최신기사

수도국 직원 사칭 LA 전화사기 극성

LA수도전력국(DWP) 직원을 사칭한 전화사기가 극성을 부리고 있다. DWP 측은 전기 및 수도 공과금 납부를 독촉하는 전화를 받으면 ‘사기’ 가능성 먼저 의심하라고 당부했다.   최근 DWP는 자사 직원을 사칭한 전화사기 피해 사례가 늘고 있다고 경고했다. 사기범은 겨울철 유틸리티 요금이 급증하자 미납 고객을 노리는 것으로 알려졌다.   DWP에 따르면 전화사기범은 불특정 다수에게 DWP 직원이라며 전화를 건다. 이후 범행 대상에게 고지서 요금 납부가 밀렸다며 “당장 요금을 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전기와 수도 공급을 차단할 것”이라고 겁을 준다.     DWP 측은 “자사 직원을 사칭한 사기범은 서비스 중단 위협을 가한 뒤 리커스토어 등의 ATM을 이용해 특정 계좌로 돈을 보내라고 유도한다”며 “DWP는 직원이 실시간으로 전화를 걸어 고지서 요금 납부를 요구하지 않고, 미납을 이유로 전기나 물 공급을 차단한다고 위협하지도 않는다”고 강조했다.   특히 DWP 측은 자사 직원은 전화로 고객의 ‘신용카드 또는 데빗카드 번호, 선불 비자 또는 마스터카드’ 정보도 요구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DWP 측은 “누군가 전화를 걸어 ATM, 키오스크, 비트코인을 이용해 고지서 요금을 납부하라고 하면 ‘사기’”라고 덧붙였다.     DWP 측은 전화사기 의심이 들 때는 전화를 끊고 고객서비스센터(1-800-342-5397)에 문의하라고 당부했다. 음성안내를 통한 자동납부 시스템 번호(1-877-697-2939)도 확인하는 것이 좋다. 고지서 요금 개인 수표는 지정 우편주소(LADWP, P.O. Box 30808, LA, CA 90030)로만 받는다.   한편 남가주에디슨(SCE)사도 직원 사칭 전화사기 수법이 교묘하다며 주의를 당부했다.   전화사기 수법은 ▶직원 사칭 ▶고객센터 사칭 ▶가정방문 안내 ▶단전 통보 등이다. 사기범은 이를 통해 범행 대상에게 개인정보 요청, 선불카드를 통한 수백 달러 납부지시 등을 강요하고 있다. 최근에는 각종 지원금을 빌미로 개인정보를 요구하는 사례도 늘고 있다.   SCE 측도 고객에게 전화 걸어 전기공급 차단안내, 미납요금 송금요구 등을 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SCE 측은 ‘서비스 중단 부서’도 없다고 덧붙였다. 공과금 관련 사기가 의심될 때는 SCE 대표전화(1-800-655-4555)나 이메일([email protected])로 신고하면 된다. 김형재 기자 [email protected]전화사기 수도국 전화사기 의심 전화사기 수법 직원 사칭

2023.02.09. 21:57

[스팸 전화 현황·대처법] 전화사기, 7000만명이 400억불 당했다

전화 사기가 갈수록 교묘하고 다양해지고 있어 주의가 요구된다.   스팸 전화를 걸러내는 앱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트루콜러에 따르면 올해 통화 및 문자 메시지를 통해 전화 사기를 당한 미국인은 약 7000만명에 달하며 피해 규모가 400억 달러에 육박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트루콜러의 클레이턴 리아브래튼 수석 고문은 “적은 비용으로 자동 발신장치 설치해 다수의 전화번호를 연결할 수 있다. 의도적으로 지역, 인구 분포를 고려해 무작위로 전화를 거는 것은 매우 단기간에 가능하다”고 밝혔다.   그는 “보이스 피싱 등 통화 사기(Vishing)와 문자 사기(Smishing)는 기존의 이메일 사기(Phishing)와 비슷한 유형이지만 매우 즉각적이고 단시간에 이뤄진다. 특히 스마트폰을 항시 휴대하고 수시로 들여다보기 때문에 걸려들기 쉽다”고 덧붙였다.   연방거래위원회(FTC)에 따르면 지난해 180만건의 사기 보고가 접수된 가운데 전화 사기가 36%를 차지했다. 사기 유형으로는 가족·친지 사칭, 비즈니스·투자, 채무탕감, 신용점수 회복, 자동차 보증기간 연장, 자선 기부, 융자, 경품, 로또, 여행·타임셰어, 무료 체험 등 다양하다. 전화 사기 피해자 수는 매년 급증해 지난 2014년 1760만명에서 올해 6840만명으로 289% 증가했으며 피해 규모도 86억 달러에서 395억 달러로 359% 폭증했다.   전화 사기꾼을 역으로 공격하는 것으로 유명한 유튜버 키트보가는 “대다수의 사기꾼이 매우 긴박한 사안이라며 다그쳐 피해자의 정신을 빼놓는다. 또한 전화를 끊지 말라던지 다른 사람에게 말하지 말라고 당부한다. 그런 후 일단 피해자가 안심하면 바로 사기행각에 나선다”고 설명했다.   그는 “흔히 시니어들이 주요 타깃이고 사기 피해를 본다고 생각들 하지만 젊은층일수록, 여성보다 남성이 더 피해를 많이 입는다”고 덧붙였다.   통계에 따르면 피해 남성의 경우 35~44세가 51%로 가장 많았으며 18~34세가 46%로 뒤를 이었다. 이어 45~54세 24%, 55~64세 10%, 65세 이상 9% 순이었다.   여성 피해자의 34%는 18~34세였으며 35~44세가 32%, 45~54세 15%, 55~64세 8%, 65세 이상 11% 순으로 나타났다.   젊은층 피해가 큰 것에 대해 리아브래튼 수석 고문은 “젊은이들은 온종일 스마트폰을 달고 산다. 또한 소셜네트워크 활동이 왕성해 개인 정보가 더 많이 노출되기 때문에 사기꾼들의 타깃이 되기 쉽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피해 예방을 위해 ▶모르는 전화는 받지 말 것 ▶텍스트 메시지의 링크는 절대로 클릭하지 말 것 ▶케이스넘버, 직원 넘버 등 요구할 것 ▶전화 끊고 크레딧카드, 은행에 직접 전화해 확인할 것 ▶전화번호를 FTC 두낫콜 레지스트리에 등록하라고 조언했다.   두낫콜 레지스트리 등록은 웹사이트(www.donotcall.gov)를 통해 이메일 1개당 최대 3개 번호까지 무료로 등록할 수 있다. 글·사진=박낙희 기자스팸 전화 현황·대처법 전화사기 메시지 전화 사기꾼 사기 피해 이메일 사기

2022.11.10. 21:17

썸네일

뉴저지 일원서 아마존 사칭 전화사기 주의보

뉴저지주를 중심으로 아마존 고객들을 표적으로 삼은 전화사기가 기승을 부리고 있다.     26일 NJ 101.5 라디오 방송에 따르면, 최근 뉴저지주에 거주하는 아마존 고객들을 대상으로 ‘아마존 주문처리’(Amazon Fulfillment) 라는 이름의 발신자 번호로 사기전화가 걸려오는 경우가 많아졌다. 이 전화를 받으면 “고객의 아마존 계정에서 비정상적인 활동을 감지했다”, “혹시 맥북 프로와 애플 에어팟 등을 주문한 적이 있느냐”며 고객계정이 해킹돼 고가의 물건이 주문된 듯한 질문을 던지는 것으로 전해졌다. 물건을 주문하지 않았다면 1번을 눌러 아마존 사기 담당 부서로 연결해주겠다고 안내한다.     고객이 만약 1번을 눌렀을 경우 잘못된 주문에 대한 환불을 제공하겠다며 개인정보와 신용카드 정보 등 민감한 정보를 알려줄 것을 요구하는 방법의 사기 수법이다.     아마존 측은 “고객에게 일부 부서에서 전화를 걸어 주문을 확인하는 경우가 종종 있긴 하다”면서도 “아마존은 민감한 개인정보를 전화로 공개 혹은 확인하도록 요구하는 경우가 없고, 갑자기 전화를 걸어 주문 오류에 대한 환불을 제공하는 경우도 없다”고 경고했다. 문자나 이메일로도 비슷한 수법으로 개인정보를 요구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하고 있다.     아마존을 사칭한 사기전화를 받았거나, 이로 인한 피해를 입었다면 아마존 고객서비스센터(www.amazon.com/gp/help/customer/display.html/?nodeId=201909130)를 통해 신고할 수 있다. 연방거래위원회(FTC) 웹사이트(https://reportfraud.ftc.gov/#/)를 통해서도 신고 가능하다.  김은별 기자 [email protected]아마존 전화사기 사칭 전화사기 뉴저지 일원 최근 뉴저지주

2022.07.26. 21:06

"전기·수도료 내라" 전화사기 피해 급증

전기 및 수도 요금 납부를 독촉하는 전화사기 피해가 계속되고 있다.   25일 남가주 에디슨(SCE)는 지난해 자사 고객의 전화사기 피해액만 66만7000달러라며 주의를 당부했다. 지난해 전화사기 피해액은 전년 42만6000만 달러보다 57%나 급증했다. 특히 사기범은 연말 기간인 지난해 11~12월 동안 SCE 고객을 상대로 4만6000달러 이상을 사취했다.     최근 전화사기 수법은 ▶직원 사칭 ▶고객센터 사칭 ▶가정방문 안내 ▶정전통보 등이다. 전화사기범은 이를 통해 범행 대상에게 개인정보 요청, 선불카드를 통한 수백 달러 납부지시 등을 강요하고 있다.   SCE 시설보안 매니저 랜디 화이트는 “사기범들은 피해자에게 겁을 줘 신속하게 행동하도록 설득한다”면서 “소매점주에게는 요금을 당장 내지 않으면 전력공급을 끊는다고 위협해 금전적 이득을 챙긴다”고 전했다.     SCE 측은 지난해 9월부터 전기요금 미납고객이 ‘지불방식 합의’ 프로그램에 자동으로 등록돼 미납 요금을 장기간 나눠 상환하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화이트 매니저는 “SCE 직원을 사칭해 요금 미납을 이유로 단전하겠다며 송금 등을 요구하면 절대 응하지 말라”고 당부했다.     이밖에 SCE 측은 고객이 이상한 전화를 받을 때는 발신자 ID 이름 조작, SCE 사칭 문자메시지, 모바일은행을 통한 송금요구 등도 항상 조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공과금 관련 사기가 의심될 때는 SCE 대표전화(1-800-655-4555)나 이메일([email protected])로 신고하면 된다.           김형재 기자전화사기 수도료 전화사기 피해액 전기요금 미납고객 최근 전화사기

2022.01.25. 22:43

셰리프 사칭 전화사기 극성

최근 샌디에이고 카운티 셰리프국 간부를 사칭한 사기전화가 기승을 부리고 있어 주의가 요망된다.   카운티 셰리프국에 따르면 이 사기범은 주민들에게 무작위로 전화를 건 뒤 자신을 하트먼 루테런트라고 소개하고 “법원의 출석명령을 어겼기 때문에 당장 커니메사 지역에 소재한 셰리프국 본부로 출두해야 한다”며 겁을 준다는 것.   셰리프국은 이와 관련 “샌디에이고 카운티 셰리프국에는 하트먼이라는 루테런트가 근무하지 않는다”고 밝히고 “셰리프국은 법원 출석명령 불응 케이스나 영장 관련 케이스를 절대로 전화상으로나 본부에서 직접 해결하지 않는다”면서 “이들 케이스는 반드시 법원을 통해야만 해결이 가능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이 같은 사기사건의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자신의 개인정보를 함부로 공개하거나 제공하지 않아야 한다고 밝혔다.  샌디에이고 전화사기 셰리프 카운티 셰리프국

2021.11.02. 18:00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