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한인타운의 치안 상황이 개선되지 않고 있다. 각종 범죄가 줄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LA경찰국(LAPD) 자료에 따르면 코로나19 팬데믹 이전까지 매년 감소세를 보였던 LA한인타운 범죄 건수는 2021년을 기점으로 다시 증가하고있다. 지난해에는 LA한인타운 지역에서 하루 평균 28건의 각종 사건이 발생했다. 특히 각종 절도사건이 급증해 우려를 낳고 있다. 한동안 차량 절도, 차량 내 물품 절도 등이 기승을 부리더니 최근에는 식당 내 절도 사건이 빈발한다. 고객을 가장해 업소에 들어와서는 다른 고객이나 업소 관계자들이 방심하는 틈을 타 가방이나 귀중품을 훔쳐 달아나는 수법이다. 워낙 순식간에 벌어지는 상황이다 보니 피해자들 입장에서는 황당하기만 하다.. 경찰의 늑장 수사도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절도 범죄는 강력사건이 아니라는 이유로 우선순위에서 뒤로 밀리고 있다는 것이다. 절도 사건의 경우 현장 출동은 고사하고 신고를 위해 경찰서를 찾아도 온라인 접수를 권한다고 한다. 그러다 보니 범인 체포는 하세월이다. CCTV 화면에 범인의 얼굴이 정확하게 나와도 소용이 없다. 더 우려되는 것은 이런 분위기를 틈타 범죄자들이 더 대담해질 수 있다는 점이다. 경범죄자라고 방치할 경우 “범죄를 저질러도 잡히지 않는다”는 인식을 가질 수 있기 때문이다. 경찰 측은 수사 지연 이류로 예산 축소를 내세운다. 수사 인력이 부족하다 보니 모든 범죄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없다는 것이다. 그러나 예산 감소와 인력 부족이 면죄부가 될 수는 없다. 어떤 상황에서도 시민의 재산과 안전을 지키는 것이 경찰의 존재 이유이기 때문이다. 아울러 한인 타운을 관할하는 올림픽경찰서에 ‘한국어 신고 접수창구’도 신속히 만들어야 한다. 신속한 범인 체포를 위해서는 경찰과 주민들의 긴밀한 협력 관계도 중요하기 때문이다.사설 절도범죄 타운 타운 절도범죄 la한인타운 범죄 la한인타운 지역
2023.08.02. 21:51
뉴저지주의 아시안 주민, 특히 일정한 재정 능력이 있는 사업주를 대상으로 각종 절도행각을 저지르는 범죄조직이 늘고 있어 주의가 요구된다. 연방수사국(FBI) 뉴저지주 뉴왁지부는 “주 전역에서 아시안 사업주를 대상으로 행동 양식을 정밀하게 분석해 돈과 재산을 노리는 잘 구성된 범죄조직이 기승을 부리고 있다”며 “범죄 피해를 당하지 않도록 각별히 유의해야 한다”고 발표했다. 뉴왁지부에 따르면 이들 범죄조직은 아시안 주민들이 다른 인종이나 국가 출신과 달리 ‘은행에 현금을 맡기지 않고 집이나 사업체에 보관하는 경향이 있다’는 점에 주목해 일정 기간 행동양식을 파악한 뒤 치밀하게 절도를 저지르는 경향이 있다고 지적했다. 특히 일부 범죄자들은 아시안 사업주가 소유한 차량의 문을 몰래 열고 안에 있는 서류 등을 살펴 신원정보를 파악하기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뉴왁지부는 “범죄자들은 아시안 사업주가 사업체에 몇시에 출근하고, 몇시에 퇴근하는지는 물론 집에서 어떻게 지내는지를 수사기관 요원처럼 감시한 뒤에 범죄를 저지른다”며 “사업체와 집 근처에 누군가 지켜보고 있는지, 또는 출퇴근 등 외출할 때 누군가 미행하는지 살피는 것도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번 발표는 지난 3년간 주 전역에서 발생한 아시안 주민들을 대상으로 한 각종 범죄 기록을 바탕으로 나온 것인데, 뉴왁지부는 아시안 주민이라는 특정 지역 출신 주민들을 지목해 주의보를 낸 것은 “더 많은 절도범죄 피해자가 나오지 않게 하기 위해서”라고 설명했다. 뉴왁지부 마이크 래타 스페셜에이전트는 절도범죄를 막기 위한 요령으로 ▶직장과 집 주위에 수상한 인물이나 차량이 있는지 살피고 ▶외출시 미행 여부에 주의를 기울이고 ▶집이나 사업체에 현금을 보관하지 말고 ▶수상한 인물이나 흔적이 발견될 때 경찰에 바로 신고하고 ▶사업체·집·차량에 안전시스템이나 장비를 설치할 것 등을 권고했다. 박종원 기자뉴저지주 절도범죄 아시안 주민들 뉴저지주 아시안 절도범죄 주의보
2022.06.27. 19: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