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전체

최신기사

정병화 총영사, 뉴욕원로자문위원회 방문

 뉴욕원로자문위원회 정병화 정병화 총영사

2022.09.29. 21:03

썸네일

정병화 총영사, 이민진 작가에 시상

 정병화 총영사 정병화 총영사

2022.05.27. 20:24

썸네일

“뉴저지에서도 뉴욕처럼 ‘김치의 날’ 제정 노력”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사장 김춘진)가 지난 23일 뉴저지주 팰리세이즈파크에 있는 뉴저지한인회(회장 이창헌)를 방문해 K-푸드(한국식품)의 미국 시장 수출 확대 방안 등에 대해 함께 논의했다.   이창헌 회장은 “뉴저지한인회관에서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김춘진 사장을 만나 최근 세계적으로 각광을 받고 있는 K-푸드를 어떻게 더 많이 미국 시장에 수출을 할 것인가에 대해 상호 의견을 나눴다”고 밝혔다.   김춘진 사장 등 한국농수산물유통공사 관계자들이 이번에 뉴저지한인회를 방문함으로써 향후 뉴저지주에 거주하는 10만 명의 한인들을 중심으로 미국사회 곳곳에 K-푸드 등 한류문화가 더욱 확산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에 따르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의 장기화와 물류 상황 악화에도 K-푸드(농수산식품 기준)의 대 미국 수출액은 올해 4월까지를 기준으로 6억4300만 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과 대비해 19%나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날 회합에서 김춘진 사장은 K-푸드 수출증대와 함께 뉴저지주에서도 최근 뉴욕주에서 이룬 쾌거와 마찬가지로 ‘김치의 날’이 제정될 수 있도록 뉴저지 한인사회 차원에서의 협조를 요청했다.   뉴욕주는 24일 올바니의 주의회에서 론 김(민주·40선거구) 뉴욕주 하원의원, 정병화 뉴욕총영사, 찰스 윤 뉴욕한인회장 등 주요 인사들이 참석한 가운데 매년 11월 22일을 ‘김치의 날’로 제정하는 결의안을 공표하고 축하행사를 개최했다.   이와함께 김춘진 사장은 이창헌 회장에게 먹거리 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이고자 현재 진행 중인 저탄소 식생활 캠페인 ‘글로벌 그린푸드 데이’에 대해 설명하고 캠페인 확산을 위해 적극 지원해 줄 것을 요청했다.   박종원 기자뉴저지한인회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김춘진 K-푸드 이창헌 회장 '김치의 날' 론 김 정병화 찰스 윤

2022.05.25. 20:31

썸네일

정병화 총영사, 광복회 뉴욕지회 임원진 초청 오찬

정병화 뉴욕총영사(앞줄 가운데)가 지난 13일 대한민국광복회 뉴욕지회 임원진을 맨해튼 소재 관저로 초청해 오찬을 가졌다. 이날 정 총영사는 조국 독립을 위해 헌신한 독립운동가들의 정신을 후세들이 건전하게 계승할 수 있도록 함께 노력해 나가자며 지원을 약속했다. [대한민국광복회 뉴욕지회] 뉴욕지회 정병화 대한민국광복회 뉴욕지회 뉴욕지회 임원진 정병화 뉴욕총영사

2022.04.17. 16:35

썸네일

정병화 총영사, 뉴욕시장과 화상 면담 개최

 뉴욕시장 정병화 정병화 총영사 화상 면담

2022.03.03. 21:03

썸네일

정병화 총영사, 앤디 김 연방하원의원 면담

 연방하원의원 정병화 연방하원의원 면담 정병화 총영사

2022.03.01. 20:13

썸네일

린다 이 시의원, 정병화 총영사와 면담

 시의원 정병화 시의원 정병화

2022.02.10. 21:05

썸네일

정병화 뉴욕총영사 부임

   정병화(58·사진) 신임 뉴욕총영사가 20일 부임한다.   19일 뉴욕총영사관에 따르면 정 신임 총영사는 20일 JFK공항을 통해 뉴욕에 도착, 부임할 예정이다.     1963년생인 정 총영사는 1987년 제21회 외무고시를 통해 외무부에 입부했다. 이후 주미국 1등서기관, 북미통상과장, 주제네바참사관, 다자경제외교국장, 주벨기에 유럽연합공사 등을 지냈다.     2018년 11월부터 올해 11월까지는 주슬로바키아대사를 역임했다.     경제통상 전문가로 통하는 그는 2002년 국무총리 표창, 2011년 근정포장 등도 받았다.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한 그는 행정학 석사도 연세대에서 받았다. 매사추세츠대에서 정치학 석사를, 성균관대학교대학원에서 행정학 박사를 취득했다. 김은별 기자뉴욕총영사 정병화 정병화 뉴욕총영사 신임 뉴욕총영사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

2021.12.19. 16:49

썸네일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