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최신기사

한인 청소년 절반 이상, 정체성 혼란 경험

한인 청소년 절반 이상이 한국과 미국의 문화적 차이로 인해 정체성 혼란을 경험한 것으로 파악됐다.     시민참여센터(KACE)가 16일 기자회견을 열고 발표한 '2025 한인 청소년 정체성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고등학생·대학생을 포함한 한인 청소년 56.9%가 두 나라의 문화적 간극으로 인한 정체성 혼란을 경험한 것으로 집계됐다.     연령대별로 보면, 고등학생에 비해 대학생의 정체성 혼란 경험 비율이 더 높았다. 한인 대학생 94.7%가 문화 차이로 인한 정체성 혼란을 겪은 반면 고등학생은 그 비율이 38.5%에 불과했다.     설문조사를 진행한 KACE 관계자들은 이에 대해 "아무래도 고등학생 때까지는 비슷한 환경의 친구들이 모인 커뮤니티에서 생활하지만, 대학에서는 다양한 집단과 어울리면서 정체성 혼란을 느낄 가능성이 높다"고 설명했다   해당 설문조사는 2003년생부터 2011년생까지 한인 청소년(혼혈 포함)을 대상으로 진행됐는데, 이들 가운데 자신을 뚜렷하게 '한인'으로 규정한 비율은 약 절반(47.8%)에 불과했다. 자신을 뚜렷하게 '미국인'으로 규정한 청소년 비율 역시 비슷한 수준을 기록했다.     KACE 설문조사팀은 "데이터가 보여주듯, 미국에서 태어났거나 어린 시절 이민 온 한인들은 대부분 정체성 혼란을 경험한다. 한국에서도 완전히 소속된 느낌을 받지 못하고, 아무리 오랜 기간 살았어도 미국에서 이방인처럼 여겨지는 경우가 많다"며 "그렇기 때문에 차세대 한인들에게 한국인으로서의 정체성을 심어주는 것이 중요하다"라고 강조했다.     하지만 설문조사에 참여한 한인 청소년 67명 가운데 '한국 문화 활동에 항상 참여한다'고 답한 인원은 9명에 불과했다.     미국 거주 한인 청소년들이 한국 문화를 배우게 되는 경로와 관련해서는, 10명 중 7명(71.6%)은 가족을 통해 한국 문화를 배웠다고 응답했다. 또 67.9%는 영화 또는 TV 프로그램, ▶58%는 소셜 미디어 ▶52.9%는 음악 ▶49.4%는 인터넷 동영상 ▶35.8%는 인터넷 기사를 통해 한국 문화를 접한 것으로 집계됐다.     리차드 인 KACE 사무총장은 "조사 결과를 토대로 KACE는 한인 청소년들이 한국인으로서의 정체성을 찾아나갈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있다"며 "이런 활동들을 통해 한인 커뮤니티에 대해 알아가는 경험이 정체성 확립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글·사진=윤지혜 기자 [email protected]정체성 청소년 한인 청소년들 정체성 혼란 청소년 비율

2025.10.16. 21:42

썸네일

정체성은 삶의 목표·가치 제시…한인 2세들에게 더욱 중요해

 코리안 아메리칸 선배로서, 부모로서 혹은 교육자로서 우리는 우리 2세들에게 무엇을 가르치고 남겨야  할까 고민한다. 우리는 그들이 거대한 미국에서 리더로 성장해 글로벌 세상을 힘차고 바르고 건강하게 살아가기를 바란다. 일제 강점기와 6.25를 이기고 이제 세계 10위의 강국으로, G7으로 성장한 강한 대한민국의 후예로 우리의 민족적 정체성을 가지고 보다 살기 좋은 미국과 세상을 만들어 나가는 리더로 성장하기를 바란다. 정체성은 왜 중요할까.   ▶대학에서 강한 정체성을 원한다     분명한 정체성을 가진 사람들은 다르다. 나는 누구이며 무엇을 위해 살아갈지를 아는 사람은 인생의 목표가 있고 그것을 위해 어떤 삶을 살 것인지를 안다. 자신이 어떤 사람이고 자신에게 중요한 것이 무엇인지를 탐색하고 자신이 어떤 사람인지에 대한 신념을 가진다. 정체성이 잘 형성되어 있는 사람은 자신에게 무엇이 정말 중요하고, 자신이 행복한 순간은 언제도, 자신의 삶에 가치와 의미를 부여하는 것은 무엇인지 알고 있다. 사회나 부모가 원하는 일이 아니라 자신이 원하는 일, 자신의 가슴을 뛰게 하는 일에 뛰어들라는 것이다. 가야 할 도착지가 어디인지 알고 있기에 어떤 일에 집중할지 알고 어떤 일은 거절할지 알기에 삶에 대한 지침, 가치판단의 기준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대학에서 학생을 선발할 때 학생의 정체성 즉 자신이 누구이며 무엇을 위해 어떻게 살아왔으며 앞으로 어떻게 살고 싶은지 아는 학생을 원한다.       ▶사회에서 정체성이 중요한 이유   사회적 정체성은 다른 존재와의 관계에서 어떤 본질적인 특성을 지속해서 공유하는 것 모두를 의미한다. 어떤 대상의 인식으로서의 정체, 즉 사회적, 문화적, 종교적, 성별, 연령, 민족 등의 다양한 자신이 누구인지를 아는 것이 필요하지만 대부분 학생들은 공부만 하느라 자신의 영혼을 제대로 들여다보지 못한 채 살아가면서 자존감, 건강, 잘사는 것이 얼마나 왜 중요한지 깨닫지 못하고 살아간다. 사회적 정체성은 사람들이 그룹의 일부가 되도록 하고 사회적 세계에서 소속감을 얻도록 하며 자아상을 형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사회적 신분은 다른 사람들이 자신을 보는 방식과 다른 사람들과 상호 작용하는 방식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중요하다.     ▶정체성 혼란이 주는 문제점   ‘나는 누구인가’는 부모, 동료 및 타인들의 역할 모델을 보면서 깨닫게 된다. 그리고 성장하면서 십대는 자신과 사회에 적응하는 방식에 대해 혼란스러워하거나불안해하기 시작한다. 핵심 정체성은 자신이 다른 사람들과 어떻게 관계하는지, 인생에서 무엇을 하는지, 상황에 어떻게 반응하는지, 그리고 미래에 원하거나 달성해야 하는 것 사이에는 관계가 있기 때문에 어떤 사람들과 함께 어울리고 무엇을 하는지 행동 방식을 통제하는 데 도움이 된다. 십대들에게 정체성이란 ‘나는 어떤 사람인가’의 심리적 정체성보다는 ‘내가 어디에 소속돼 있으며 어떤 사회적 역할을 하고 있는가’라는 것과 같은 사회적 정체성으로 자신을 정의한다. 나 자신은 내가 속한 집단의 정체성으로 집단과 자신을 동일시하려 한다.     ▶코리안 아메리칸의 정체성     올해는 4.29 LA폭동 30주년이다. 이 아픈 역사적 기억을 지우지 않고 미래를 살아갈 차세대들에 교육하려고 세미나를 준비하고 있다.   미국에서 살아가는 우리의 자녀들은 미국인이지만 100% 미국인이 될 수 없다. 인종, 문화, 사회 모든 면에서 그들은 100% 미국인이 아니기 때문에 그들의 사회적 정체성을 코리안 아메리칸으로 분명한 정체성이 필요하다. 자신이 누구인지 알고, 자신에 대한 확신이 있고, 자신의 강점을 찾을 수 있을 때 더 강한 사람으로 우리를 독특하게 유지하고 우리를 다른 모든 사람들과 구별하는 것이다.     우수한 민족적, 문화적, 역사적 자긍은 자신의 힘이 된다. 이민자로서 힘이 없어 고통받았던 아픔을 기억하고 그들이 다시는 그런 아픔을 겪지 않게 하기 위해 무엇을 할 것인지 고민하고 그들의 인생의 목표를 찾게 될 것이며 갈등과 반목이 없는 보다 살기 좋은 미국과 세상을 만들어 나가는 리더로 성장할 수 있을 것이다.   ▶문의: (323)938-0300             www.a1collegeprep.com 새라 박 원장 / A1칼리지프렙정체성 목표 사회적 정체성 민족적 정체성 정체성 혼란

2022.04.10. 19:00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