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른 아침 산책을 나서면 개를 데리고 나온 사람들을 많이 만난다. 개를 산보시키러 나온 것인지, 아니면 개가 사람을 따라 나온 것인지 잘 모르지만 어쨌든 동물과 사람이 함께 아침을 누리고 있으니 참 좋은 일이다. 우리네 한국 사람들은 길에서 남의 개를 만나면 우선 조심부터 한다. 뇌리에 개는 본래 집을 지키는 사나운 녀석이라는 인식이 있어서 일 게다. 그런데 여기 개들은 덩치와는 상관없이 모두 순해서 참 좋다. 개도 사람을 닮는다고 하더니만, 캐나다나 미국 사람들이 한국 사람들보다 더 온순하고 순둥이들인지… 그런데 참 재미있는 것은, 개를 유심히 보노라면 그 모습이나 걷는 모양이 어째 그리 주인을 많이 닮았을까! 오랫동안 함께 음식과 마음을 나누고 삶을 공유하며 교감하기 때문인지도 모른다. 산보 중에 맞은편에서 개가 다가오면, 나는 으레, 그 녀석 참 예쁘게 생겼다고, 혹은 참 영리하게 생겼다고 인사를 건넨다. 물론 기쁘자고 하는 인사다. 그런데 개 주인 치고 자기 개 예쁘다는 말을 무심코 흘려듣는 사람은 지금까지 못 봤다. 자기가 예쁘다는 것도 아닌데 그렇게도 좋은지! 처음 보는 사람도 거의 예외 없이, 마치 그런 칭찬을 애타게 기다리고 있기나 했다는 듯이, 가던 길을 멈추고 침이 마르도록 자기 개 자랑을 한다. 사실 들어보면 별 특별한 것도 아니고, 대부분의 개가 영리하고 충성스럽고 사랑스러운 것인데 말이다. 하기야 사람도 자기 새끼가 제일 예쁘다고 했다, 굳이 고슴도치까지 불러오지 않아도… 그런데, 서양 사람들이 왜 그리들 개를 좋아할까? 꼭 자기 자식처럼 위하고 아끼니 말이다. 물론 귀엽게 생긴 녀석들도 있고, 충직하고 사회성이 특히나 발달한 개들도 있다. 그러나 어떤 경우는, 물론 주인에게 절대 얘기하지는 않지만, 그 개가 좀 더 예쁠 수도 있겠다, 혹은 좀 더 영리할 수도 있겠다 싶은 녀석들도 있다. 그래도 그 주인은 아랑곳하지 않고 자기 개를 최고로 알고 귀히 여긴다. 사람이 개에게 왜 그리 애정을 쏟고 정성을 들이는 것일까. 여러 얘길 할 수 있겠지만, 혹시, 보편화된 핵가족 제도, 좀 더 잘살아보겠다고 저마다 바쁘게 뛰다가 잃어버리고 망가진 관계들, 피차의 무관심에서 비롯된 상실감, 애틋한 정서에 대한 갈망, 이런 것들에 대한 반작용이 순진하고 충직해 뵈는 개에게 더 애착을 두게 하는 것은 아닐까? 인간 대용품이 있어서 다행이긴 한데, 한편으로는 좀 씁쓸한 기분이다. 우리의 아픈 현실이 적나라하게 노출되는 것 같아서 그렇다. 한국에서의 이야기다. 미국에서 박사학위 과정을 마치고 귀국한 두 친구를 위한 환영회가 있었다. 어떤 동료가 짓궂은 말을 했다. “오래 나가 있었으니 이제 접시 닦는 일에는 익숙해졌겠구먼! 그런데 자네도 그렇게 시도 때도 없이 아내에게 I love you라고 하나?” 잠시 뜸을 좀 들이더니 그 친구 이렇게 말한다. “그게 모두 다 로맨틱한 것만은 아니더라고. 처음에는 근사해 보이더니, 제일 이혼율이 심한 나라도 그 나라더라고. 그리고 돌아서면 그냥 아주 남이야. 헤어지면서 상처를 입기나 하는지 모르겠어. 그동안 날마다 입버릇처럼 읊어 대던 그 I love you가 진실이었었는지 그것도 잘 모르겠고!...” 하는 것이다. “이기주의와 개인주의에 익숙해서 어느덧 부부간에도 사실은 마음 놓고 신뢰하지 못하는 사람들의 마음속 깊이 자리 잡고 있는 불안한 심리의 표출인지도 모르지... 자기가 I love you라 표현하면서 상대의 사랑도 수시로 확인해야만 마음이 놓여서 그럴 수도 있고…” 물론 그는 자기의 사견이라 전제를 했지만, 난 온종일 씁쓸함을 떨칠 수 없었다. 곰곰이 되씹어볼수록 일리가 있는 분석인 것 같아서 그랬다. 그렇다.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는 누구 할 것 없이 한없이 외롭고 지친 인간들이다. 따지고 보면 사람은 눈물이 나올 정도로 가련한 존재들이다. 모두 간신히 살아가고 있다. 그래서 조그만 격려나 위로라도 절실하다. 기댈 수 있는 언덕들이 있으면 좋겠다. 피차 용기를 북돋우는 것이 매우 요긴하다. 우리가 다 아는 얘기다. 조금씩 북돋우고 받쳐주면 우리 세상이 훨씬 살만한 곳이 되지 않을까…. 그래, 격려, 사랑한다는 말이 그립다. 오늘 당신이 참 우아해 보인다, 옷매무새가 아주 세련되었다, 난 네가 참 좋다, 한 주일 보고 싶었다, 갑자기 네 생각이 나서 전화했다, 파트락 음식이 정말 맛있었다, 당신을 위해 기도하겠습니다, 오늘 말씀 감사했습니다.... 어느 것이라도 좋다. 어쩌면 잘 안 해보던 일이어서 어색하기도 하겠지만, 그래도 한번 해보자, 미루지 말고 오늘부터, 널 위해서 날 위해서. 그럼 세상이 달라진 댄다. 유진왕 / 수필가수필 제안 파트락 음식 박사학위 과정 한국 사람들
2022.11.17. 19:50
에릭 아담스 시장 당선자의 러브콜을 받은 톰 수오지 연방하원의원(민주·뉴욕3선거구)이 부시장직을 맡아달라는 아담스의 제안을 거절했다. 27일 수오지 의원은 트위터를 통해 “가족과 상의한 결과 뉴욕시와 아담스를 돕기 위한 최선의 방안은 선출직에 있다고 생각한다”며 “아담스를 돕기 위해 무엇이든 할 것이며 향후 계획을 수일 내로 발표하겠다. (제안에) 고맙다 에릭!”이라고 밝혔다. 뉴욕포스트 등은 수오지 의원이 수일 내로 내년 뉴욕주지사 선거 출마 여부를 발표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부시장직을 수락할 경우 연방하원 뉴욕3선거구에 생기는 공백을 메우기 위한 보궐선거가 열려 공화당에 의석 1석을 뺏길 리스크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거절했다는 분석도 나온다. 한편, 올해 말로 12년의 임기가 끝나는 피터 구 뉴욕시의원(민주·20선거구.사진)이 차기 아담스 행정부의 부시장 중 1명이 될 가능성이 있을지 기대감이 오르고 있다. 구 의원은 아담스 당선자가 올해 시장선거 캠페인을 펼칠 당시, 앤드류 양 후보의 출마에 대다수의 아시안 정치인·커뮤니티 리더들이 양 후보를 지지했던과 다르게 아담스의 지원군 역할을 맡아왔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시 헌장(city charter)에 따르면 뉴욕시장은 행정에 도움을 받기 위해 여러 명의 부시장을 임명할 수 있다. 권한과 의무, 심지어 부시장을 몇 명을 임명할지는 정해져있지 않다. 지난 23일 CNBC는 소식통을 인용해 애덤스 당선인이 스티븐 셰어 골드만삭스 CFO를 시의 주택경제개발 부시장에 기용하는 쪽으로 고려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심종민 기자 [email protected]부시장 제안 부시장 제안 주택경제개발 부시장 아담스 당선자
2021.11.28. 16: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