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전체

최신기사

세입자들 제이미슨 소송 "바퀴벌레·쥐 등 시달려"

세입자들이 부동산 개발업체 제이미슨 서비스의 건물관리 부실로 피해를 봤다고 소송을 제기했다. 11일 부동산전문매체 더리얼딜닷컴(therealdeal.com)은 제이미슨 서비스(대표 제이미 이)가 관리하는 건물에 입주한 4개 유닛 세입자들이 건물 부실관리에 따른 피해를 봤다며 LA카운티 수피리어법원에 소장을 접수했다고 보도했다. 매체에 따르면 맥아더파크 북동쪽 600 S 알바라도 스트리트 건물 세입자들은 제이미슨 서비스가 건물 관리부실 실태를 알고도 비용절약 목적으로 해충방제를 소홀히 하는 등 피해를 방치했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해당 건물에서 바퀴벌레, 쥐, 빈대가 출몰해 해충 앨러지 등 피해에 시달렸다고 주장했다. 일부 세입자는 부실한 건물관리로 죽은 바퀴벌레 사체 조각 일부를 먹었다고 덧붙였다. 당국은 해당 건물은 세입자 불만신고를 받고 2005년, 2017년 두 차례 현장 조사를 했다. 2005년에는 위반사항을 적발하지 못했고, 2017년 검사결과는 진행 중이다. 제이미슨 서비스는 2003년 3만6900스퀘어피트 규모 건물을 760만 달러에 매입했다. 김형재 기자 [email protected]

2018.07.11. 21:14

'제이미슨' 제이미 이 CEO USC 모교 이사진에 합류

한인 최대 부동산 개발업체인 제이미슨 서비스의 제이미 이(Jaime Lee·사진) 대표가 USC 재단 이사회(Board of Trustees) 이사진으로 선출됐다고 USC 측이 31일 밝혔다. 이씨는 제이미슨의 데이빗 이 회장의 장녀로 현재 제이미슨 부동산 CEO를 맡고 있다. 제이미슨 부동산은 한인 최대 부동산 기업으로 2000만 스퀘어 피트의 상업, 거주형 부동산을 관리하고 있다. 회사명 제이미슨은 이씨의 이름(Jamie)과 아들(Son)을 합성해 만든 것이다. USC에 따르면 이씨는 USC동문회 이사협회(Association Board of Governors) 대표로 활동하며 여러 USC 동문회 그룹과도 광범위한 활동을 펼쳐왔다. USC 총장 매스 니키야스는 "이씨는 동문회원으로 오랫동안 헌신적인 활동을 해왔고 대학행사와 사업에 전문적인 능력을 발휘했다"고 말했다. 이어 "그녀는 열정뿐만 아니라 부동산 업계에서도 탁월한 능력을 나타내 이사회에 참가하게 됐다"고 밝혔다. 이씨는 2006년 USC에서 영문학으로 학사학위를 받은 뒤 2009년 USC 법대를 마쳤다. 이씨 가족은 3대째 USC와 인연을 맺고 있다. 황상호 기자 [email protected]

2018.06.07. 19:37

제이미슨 윌셔 오피스 빌딩 또 아파트로 전환

한인 최대 부동산 개발업체인 제이미슨서비스가 LA한인타운에서 또 하나의 오피스 건물을 아파트로 전환한다. 부동산 전문매체 '더 리얼 딜'에 따르면 제이미슨서비스는 지난 23일 윌셔와 뉴햄프셔 코너에 있는 '윌셔 센터'를 리모델링해 아파트로 전환하겠다는 개발 계획서를 LA 시정부에 제출했다. '윌셔 센터'는 윌셔와 뉴햄프셔 북서쪽 코너(3255 Wilshire Blvd.)에 위치한 17층 높이의 건물로, 1977년 지어졌으며 연면적은 20만 스퀘어피트다. 제이미슨은 이 건물을 240유닛의 아파트로 개조한다는 계획이다. 1층에는 상가도 들어서게 된다. 이 프로젝트는 제이미슨서비스가 오피스 건물을 아파트로 개조하는 3번째 케이스다. 2013년에 윌셔와 웨스트모어랜드 소재 오피스 건물을 127유닛 아파트로 전환했으며, 윌셔와 아드모어 소재 13층 높이의 오피스 건물(3540 Wilshire Blvd.)도 206유닛의 리브-워크 유닛으로 전환하기 위한 프로젝트를 진행 중이다. 제이미슨은 현재 LA한인타운에만 20여 개의 아파트 개발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김현우 기자 [email protected]

2018.05.28. 16:55

제이미슨 41층 초고층 주상복합 개발

LA다운타운에 초고층 주상복합 건물 '서카'를 개발, 올 여름 오픈하는 한인 최대 부동산업체 제이미슨이 또 하나의 초고층 주상복합 건물을 짓는다. 부동산 전문매체 어버나이즈LA는 제이미슨이 LA다운타운 벙커힐 소재 월드트레이드센터에 41층 높이의 대형 주상복합 건물을 짓기 위한 개발신청서를 9일 LA시정부에 접수했다고 10일 보도했다. 어버나이즈LA 보도에 따르면 제이미슨은 동서로 피게로아와 플라워스트리트, 남북으로 3가와 4가 사이 전체 블록을 차지하고 있는 월드트레이드센터의 주차장 자리에 41층 높이에 주거용 570유닛 규모의 초고층 건물을 개발한다는 계획이다. 제이미슨은 지난 2004년에 하세코 코퍼레이션으로부터 37만3000스퀘어피트 규모의 월드트레이드센터를 5170만 달러에 매입했다. 제이미슨은 행키그룹과 공동으로 피게로아와 12가 인근에 총 5억 달러가 투입되는 '서카'를 개발하고 있다. 김현우 기자 [email protected]

2018.05.10. 18:31

제이미슨 공동 개발 '서카' 올 여름 오픈

한인 최대의 부동산 개발업체 제이미슨이 LA다운타운에 공동 개발하는 대형주상복합 건물 '서카(Circa)'가 올 여름에 오픈한다. 서카의 공동 소유주인 행키그룹은 LA다운타운 12가와 피게로아 인근(1200 S. Figueroa St.)에 들어서는 서카(조감도)가 거의 완공을 앞둬 올 여름에는 문을 열 것이라고 밝혔다. 서카는 약 5억 달러를 투입해 2.7에이커의 부지에다 35층 높이의 쌍둥이 타워를 신축하는 프로젝트다. 건물은 총 648유닛의 아파트와 4만8000스퀘어피트의 상가로 구성된다. 행키그룹에 따르면, 아파트는 700스퀘어피트에서 3800스퀘어피트 크기의 펜트하우스로 구성되며 월 임대료는 3000달러에 시작해 최대 2만5000달러에 이른다. 주차장은 1770대의 차량을 수용할 수 있는 규모이며, 건물 외곽에는 1만8000스퀘어피트 크기의 초대형 LED 전광판도 설치된다. 진성철 기자 [email protected]

2018.05.03. 21:33

제이미슨 마당몰 옆에 아파트 개발…현 주차장 9층으로 증축

LA한인타운에서 대규모로 아파트 단지를 개발하고 있는 제이미슨 서비스가 윌셔와 웨스턴에도 아파트<조감도를 짓는다. 부동산 전문매체 어버나이즈LA에 따르면 제이미슨은 윌셔와 웨스턴 인근 주차장 건물을 아파트 타워로 재개발하는 신청서를 LA시에 제출할 예정이다. 이 주차장 타워는 윌셔와 웨스턴 코너 13층 높이의 사무실 건물과 마당 쇼핑몰 사이에 위치한 3층 높이의 건물로, 제이미슨은 주차장 건물을 허물지 않고 그 위에 건물을 증축하는 방식으로 아파트를 개발한다는 계획이다. 이같은 개발 방식은 이미 윌셔와 카탈리나, 6가와 켄모어 코너 주차장 건물에도 적용되고 있다. 어버나이즈LA에 따르면 제이미슨은 3층 주차장 건물에 6층을 더해 총 9층 건물로 만들 계획이며, 아파트 132유닛, 265대 수용 가능한 주차장으로 개발하게 된다특히 아파트는 모두 스튜디오 구조로만 꾸밀 예정이다. 김현우 기자 [email protected]

2018.04.09. 20:00

'제이미슨' 제이미 이 CEO LA항 커미셔너에 임명

한인 최대 부동산 기업 제이미슨 프로퍼티스의 제이미 이(사진) 최고경영자(CEO)가 LA항 커미셔너에 임명됐다. 인준 표결은 다음 주 LA시의회에서 있을 예정이다. LA항 커미셔너는 LA항의 주요 프로젝트 승인과 각종 규정 마련 작업 등에 참여하는 역할을 한다. 이 CEO는 2014년부터 LA시 공무원은퇴시스템위원회의 커미셔너도 맡고 있으며, LA시 산업개발위원회의 커미셔너도 역임한 바 있다. 데이비드 이 제이미슨 서비스 회장의 딸인 이 CEO는 USC 영문학과와 USC 법대를 졸업했다. 진성철 기자 [email protected]

2018.04.06. 21:06

제이미슨, 유서 깊은 웨스트레이크 극장 인수

LA한인타운 인근 알바라도 길에 위치한 유명 극장 건물을 한인 최대 부동산 업체인 제이미슨이 인수했다. 부동산 전문 매체 커버드LA는 알바라도길 윌셔와 6가 사이에 위치한 웨스트레이크 시어터(634 Alvarado St.)를 제이미슨이 200만 달러에 인수키로 계약했으며, 에스크로는 오는 15일 완료될 예정이라고 보도했다. 이 건물은 CRA/LA가 소유하고 있던 것으로 히스토릭 건물로 지정돼 있다. CRA/LA는 당초 이 건물을 상가나 크리에이티브 오피스로 재개발하고 인근 부지에는 저소득층 주거용 건물을 개발할 계획이었다. 이를 위해 쿠시먼&웨이크필드를 고용, 개발 파트너를 구했으나 결국 찾는 데 실패했다. 쿠시먼&웨이크필드의 지미 채 브로커는 "LA에서 개발이 가장 뜨겁게 진행되고 있는 LA한인타운과 다운타운 중간에 위치한 데다 MTA 전철역이 인접해 있는 등 입지 조건이 매우 뛰어나다"고 말했다. 웨스트레이트 시어터는 지난 1926년 오픈해 65년 동안 극장 및 영화관으로 운영됐으며 이후에는 스왑밋으로 사용돼 왔다. 한편, 제이미슨은 이 건물을 다시 복원할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김현우 기자 [email protected]

2018.03.11. 16:19

LA한인타운 잔디광장 역사기념물 최종 승인

LA한인타운 내 유일한 녹지공간인 윌셔길 잔디광장이 사적지로 최종 지정됐다. 이에 따라 한인 최대 부동산개발업체 제이미슨사가 이 자리에 추진해온 고층빌딩 재개발 프로젝트는 최장 1년간 보류된다. <관계기사 3면> 7일 LA시의회는 윌셔길 선상 세라노~옥스퍼드 블록내 윌셔파크플레이스빌딩(3700 Wilshire Blvd) 앞 잔디광장을 '역사문화기념물(Historic-Cultural Monument)'로 최종 승인했다. 시의원 15명 중 표결에 불참한 4명을 제외한 11명 전원이 찬성했다. 이날 시의회 결정으로 지난 반세기 동안 한인타운 주민들의 쉼터이자 지역사회 행사장으로 이용됐던 잔디광장은 일단 즉각적인 철거는 피할 수 있게 됐다. 1962년 제정된 LA시문화유산보호조례에 따르면 시의회 산하 문화유산소위원회는 역사기념물에 대한 철거를 180일간 중단시킬 수 있다. 또 필요한 경우 시의회 전체 표결을 거쳐 철거 보류 기간을 180일 더 연장할 수 있다. 따라서 제이미슨사가 2년 전부터 추진해온 36층 주상복합 재개발 프로젝트는 차질이 불가피하게됐다. 시의회는 사적지 지정을 통해 잔디광장 철거에 반대하는 주민들의 손을 들어준 것으로 풀이된다. 잔디광장은 50년 전인 1968년 완공된 베네피셜플라자(현 윌셔파크플레이스빌딩)와 함께 '자유공원(Liberty Park)'이라는 이름으로 조성됐다. 베네피셜플라자 소유주인 베네피셜보험사 조셉 미첼 CEO가 지역사회에 환원한 녹지다. 정구현 기자 [email protected] [email protected]

2018.03.07. 20:31

[이슈분석] 윌셔 잔디광장 사적지 지정, '유일한 녹지' 주민들이 지켰다

LA한인타운 윌셔길 잔디광장의 역사문화기념물 지정은 단순히 LA시내 사적지가 추가됐다는 의미를 뛰어넘는다. 잔디광장은 최근 한인타운내 '재개발 붐'을 주도하는 개발업체와 지역주민들간 힘겨루기의 장이었다. 2016년 제이미슨은 잔디광장을 없애고 주상복합을 짓겠다고 전격 발표했다. 타운 유일의 쉼터가 사라질 위기에서 주민들은 단체를 조성해 반대 서명과 사적지 청원운동으로 맞섰다. ▶시의회 표결 의미=단 2표가 희비를 갈랐다. 조례상 역사문화기념물로 지정되려면 시의회 전체 표결에서 최소 10표를 얻어야 한다. 이날 찬성한 시의원은 11명이다. 만약 표결에 불참했거나 반대한 의원이 2명만 됐다해도 사적지 지정은 무산됐을 수 있다. 최종 승인은 지역구(10지구) 시의원인 허브 웨슨 시의장이 찬성표를 던져 가능했다. 당초 그는 제이미슨사의 재개발을 지지하는 쪽에 가까웠다. 지난해 1월 열린 관련 주민공청회에서도 보좌관을 직접 보내 "잔디광장이 사라져도 그 뒤쪽 피오피코 도서관을 미니공원으로 개발하기 때문에 대안이 될 수 있다"고 에둘러 재개발 찬성의견을 전달한 바 있다. ▶향후 보존 전망=역사문화기념물로 지정됐지만 영구보존되는 것은 아니다. 시 조례 상 원칙적으로 360일 동안만 철거를 막을 수 있다. 그 이후 재개발 여부는 소유주인 제이미슨사와 시의회간 줄다리기에 달렸다. LA시의 역사문화기념물로 지정되면 시 조례 뿐만 아니라 가주환경기준법(CEQA)에 근거해 보존된다. 이 때문에 제이미슨 측은 잔디광장을 철거 혹은 변경하려면 종전보다 까다로운 절차를 거쳐야 한다. 우선 시의회 산하 문화유산소위원회의 1차 승인을 먼저 받아야 하는데 심사 필수 서류로 제이미슨은 '포괄적인 환경보고서(EIR)'를 제출해야 한다. 사적지에 미칠 영향까지 세밀하게 분석하는 환경보고서로 통상적으로 재개발시 제출하는 'MND 보고서'에 비해 시간과 비용이 더 많이 소요된다. 개발업체 입장으로선 승인 여부가 불투명한 상황에서 부담을 안고 시작해야 한다. 정구현 기자 [email protected]

2018.03.07. 20:19

"윌셔 잔디광장 사적지로 보존" …주민들 "힘든 싸움 값진 승리" 시의회 전체 투표서 최종결정

LA한인타운내 마지막 남은 녹지공간을 지키려는 주민들의 풀뿌리운동이 시의회를 움직였다. 고층빌딩 재개발이 추진되고 있는 윌셔길 잔디광장이 사적지로 재차 승인받았다. LA시의회 개발 및 토지이용관리 소위원회(이하 PLUM)는 6일 윌셔파크플레이스빌딩(3700 Wilshire Blvd) 잔디광장을 역사문화기념물(Historic-Cultural Monument)로 승인했다. 이날 PLUM측은 지난해 10월 시의회 산하 문화유산소위원회가 사적지 지정이 필요하다는 1차 결정을 그대로 받아들였다. 사적지 지정 최종 승인은 3번째 심사인 시의회 전체 표결만 남겨두게 됐다. 만약 사적지로 최종 결정되면 잔디광장을 철거하려던 한인 최대 부동산 개발업체 제이미슨사의 개발프로젝트는 큰 차질을 빚게될 전망이다. 역사문화사적지로 지정되면 시조례상 일단 1년 동안은 철거하거나 건물을 지을 수 없다. 이날 소위원회 회의에는 개발계획 반대하는 100여명의 주민들이 참석했다. 반대운동을 주도해온 아네트씨는 "지난 2년여간 주민들의 애타는 호소를 시의회가 받아들인 결과"라며 "큰 승리"라고 기뻐했다. 주민들의 반대운동은 2년 전 제이미슨측이 윌셔 불러바드 선상의 세라노~옥스퍼드 블록의 윌셔파크플레이스빌딩 앞 잔디광장을 철거하고 그 위에 36층짜리 고층주상복합 빌딩을 짓겠다고 신청하면서 시작됐다. 주민들은 자발적으로 '세이브 리버티 파크(savelibertypark.org)'라는 단체를 결성해 반대 서명운동과 역사사적지 청원운동으로 맞섰다. 역사적·문화적·사회적 이유를 들어 개발 계획을 저지했다. 잔디광장은 꼭 50년 전인 1968년 베네피셜보험사의 사옥인 '베네피셜플라자(현재 윌셔파크플라자)'가 완공되면서 조성됐다. 당시 베네피셜보험사의 CEO인 조셉 미첼씨는 건물을 뒤쪽에 배치하면서 앞 공간을 잔디공원으로 조성해 지역사회에 환원했다. 그래서 공원 이름도 리버티파크로 명명하고 '자유의 종' 복제품을 전시했다. 반세기가 지난 지금 잔디광장은 한인타운 문화를 상징하는 곳이 됐다. 한인들에게는 월드컵 응원의 붉은 함성이 울린 곳으로도 잘 알려져 있다. 또 타운 전체 주민들에게는 단 하나 남은 녹지공간이다. 도시계획국에 따르면 현재 한인타운내 거주민 1인당 녹지는 1000명당 0.07 에이커로, 최소 필요 부지 1000명당 3에이커에 태부족한 상태다. 잔디광장은 한인타운의 허파인 셈이다. 이런 당위성을 들어 주민들은 93페이지 분량의 방대한 보고서를 작성해 시정부에 사적지 승인을 요청했다. 유적지 보호 비영리단체인 LA보존위원회도 지원했다. 이날 2차 승인을 통과했지만 잔디광장의 영구보존 가능성은 장담하기 어렵다. 시의회 전체 투표에서 최종 승인되면 최장 1년간 철거를 막을 수 있다. 그 이후 개발업체측은 재차 개발승인을 신청할 수 있다. 시정부측에서는 역사사적지 재개발이 반드시 필요한 사유와 환경영향보고서 등 더 복잡한 절차로 대응할 수 있다. 현재 시전역에는 1150개의 역사문화기념물이 지정되어 있다. 정구현 기자 [email protected]

2018.03.06. 21:16

'한인타운 유일의 공원' 찬반 엇갈린다

LA한인타운내 유일한 포켓 공원 조성 계획이 추진 4년 만에 가시화되고 있다. 녹지 공간이 거의 없는 타운에 미니공원이라도 마련되는 것은 희소식이지만 우려의 목소리도 있다. LA시공공사업국(DPW) 커미셔너위원회는 5일 회의 첫 안건인 '피오피코 도서관 공원 조성 프로젝트'의 환경성 검토와 관련, 기술지원업체로 AECOM을 선정했다고 밝혔다. 2014년 허브 웨슨 시의장(10지구)이 발의한 해당 프로젝트는 7가와 옥스포드 인근에 있는 피오피코 도서관 주차장을 '포켓 공원'으로 만드는 계획안이다. 지상에 미니 공원을 꾸미고, 현재 주차장은 지하에 짓는다. 부동산 전문매체 '커브드LA'는 이날 DPW의 안건 통과 소식을 보도하면서 공원 디자인을 공개했다. 디자인 업체는 한인 앨리스 김씨와 남편 존 프리드먼씨가 공동대표로 있는 JFAK사다. 도안에 따르면 공원에는 잔디 위에 아동 놀이시설, 애견공원, 그늘막, 벤치, 의자, 소규모 공연무대 등이 세워진다. 지하 주차장 공간은 최소 50대 규모다. 자전거 70대를 세울 수 있는 거치대도 마련된다. 공원은 윌셔와 웨스턴 교차로 지하철역과 가까워 접근성면에서는 좋은 선택이라는 평가가 우세하다. 또 현재 한인타운내 녹지가 거의 전무한 상황이어서 주민들에게는 '숨 쉴 공간'이 될 수 있다. 최근 조사에 따르면 한인타운 주민 1000명당 공원 면적은 0.1 에이커로 LA카운티 전체 평균 3.3에이커에 크게 못 미친다. 타운 거주 주민 1명이 이용할 수 있는 면적은 고작 4스퀘어피트(0.1평)로 '관 크기' 정도에 불과하다. 비록 미니 공원이지만 타운에서는 그만큼 녹지가 절박하다는 뜻이다. 그러나 일부 주민들은 공원 조성안을 이해할 수 없다는 의견도 내놓고 있다. 먼저 치안 문제 때문이다. NBC 탐사보도팀은 지난해 11월 방송을 통해 LA시립도서관 곳곳에서 마약 투여 등 각종 범죄들이 잇따르고 있다고 고발했다. <본지 2017년 11월15일 A-3면> 특히 공원이 조성될 피오피코 도서관 주차장 바닥에서 마약 투여에 사용된 주사기와 콘돔들이 다수 발견돼 우려를 낳았다. 피오피코 도서관에서 시행하는 미술 교실 등 애프터스쿨 프로그램에는 한인 아동들도 다수 찾는다. 어떤 곳보다 안전해야 할 도서관 앞 노상에서 버젓이 마약을 하고 성행위가 이뤄졌다는 증거다. 이 때문에 자녀를 둔 주민들은 사전에 경찰의 치안 대비책이 우선되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또 다른 우려는 인근의 일명 '윌셔 잔디광장'이 사라질 위기에 처한 상황 때문이다. 윌셔 불러바드 선상 세라노~옥스퍼드 블록에 세워진 윌셔파크플레이스빌딩(3700 Wilshire) 앞 잔디광장은 타운 주민들의 유일한 휴식처로 이용되어 왔다. 하지만 최근 제이미슨 서비스 측이 이 광장을 없애고 36층 주상복합고층빌딩 건축을 추진하면서 주민들의 반발이 거세다. 주민들은 피오피코 미니 공원이 조성되면 이 잔디광장 철거 프로젝트가 명분을 얻을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도서관 공원은 이 잔디광장의 1/4에 불과하다. 정구현 기자 [email protected]

2018.03.05. 20:39

제이미슨 LA한인타운 인근에 아파트

한인 최대 부동산 개발업체인 제이미슨서비스가 LA한인타운 인근에 또 하나의 아파트를 개발한다. 부동산 전문매체 어버나이즈LA는 제이미슨서비스가 LA한인타운 인근인 윌셔와 7가 사이 코로나도 스트리트에 7층 높이의 아파트를 개발하기 위한 신청서를 곧 LA 플래닝위원회에 제출할 것이라고 28일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제이미슨서비스는 약 0.5에이커 넓이의 주차장 부지에 122유닛, 7층 높이의 주상복합 아파트를 개발할 예정이다. 아파트는 스튜디오 및 1베드룸으로 구성되며, 10유닛은 저소득층용으로 배정된다. 1층에는 상가도 입점한다. 아파트는 수영장, 루프덱, 피트니스센터 등의 부대시설을 갖추게 된다. 한편, 아파트가 들어설 부지 북쪽으로 접한 12층 높이의 오피스 건물 역시 제이미슨 소유로 알려졌다. 현재 오피스 건물 건너편에서는 152유닛, 7층 높이의 주상복합 콘도 공사가 진행되고 있다. 김현우 기자 [email protected]

2018.03.02. 0:01

제이미슨 LA다운타운에 호텔 개발…올림픽·LA스트리트 객실 149개

LA한인타운과 다운타운에 대규모로 아파트를 개발하고 있는 한인 최대 부동산업체 제이미슨이 LA다운타운에 호텔 개발도 진행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부동산 전문 매체 '더 리얼 딜'은 제이미슨이 올림픽과 LA스트리트 코너(124 E. Olympic Blvd.)에 객실 149개 규모의 호텔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고 22일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제이미슨은 6층 높이의 오피스 건물에 1층을 추가해 7층 호텔 건물로 전환할 계획이다. 호텔은 객실 149개 외 1층에는 레스토랑이 입주하며, 호텔 내에는 나이트클럽도 만들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이 건물은 제이미슨 소유로 알려져 있으며, 한 블록 떨어진 곳에는 제이미슨이 지분을 매각한 캘리포니아 마켓 센터가 있다. 이 매체는 현재 LA다운타운에 호텔 수요가 급속도로 늘고 있는 점을 감안해 제이미슨이 호텔 개발에도 뛰어드는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LA에는 지난해 1월부터 10월까지 총 4700개의 호텔 객실이 새롭게 오픈했으며, 현재 공사중인 호텔 객실수도 총 5029개에 이른다. 김현우 기자 [email protected]

2018.01.22. 17:34

제이미슨 8가 인근에 주상복합 개발…아파트 131 유닛·소매공간

한인 최대 부동산업체 제이미슨이 LA한인타운에 또 하나의 주상복합 건물을 개발한다. LA비즈니스저널에 따르면 제이미슨 서비스는 최근 8가와 하버드 인근의 건물(826 Harvard Blvd.)을 구입했으며, 이 건물을 철거하고 1400만 달러를 투자해 주상복합 건물을 신축할 계획이다. 주상복합에는 131유닛의 아파트와 4150스퀘어피트 규모의 리테일 공간이 들어설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제이미슨은 지난해 웨스턴길 8가와 제임스 M 우드 사이의 IB플라자(800 S. Western Ave.)와 인접한 8가 길 주차장 등을 호텔, 아파트, 쇼핑몰로 개발하는 안을 승인받았으며 웨스턴과 7가 인근에도 약 200유닛 규모의 아파트 개발 프로젝트를 진행 중이다. 이밖에 웨스턴과 멜로즈 인근에도 주상복합 개발 계획을 추진하고 있으며, 할리우드 및 선셋 불러바드 인근에도 대형 아파트 개발 프로젝트 3~4개를 준비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제이미슨은 올림픽, 윌셔, 4가, 5가, 8가 등 한인타운과 인근에서 25개 이상의 주택개발 프로젝트를 진행 또는 계획하고 있다. 진성철 기자 [email protected]

2018.01.17. 21:38

한인 개발사 '제이미슨' 3분기 로비자금 '20만불'

한인 부동산 개발업체인 제이미슨 프로퍼티(대표 데이비드 이)가 지난 3분기 로비자금으로 20만 달러를 지출했다고 LA비지니스저널이 20일 보도했다. LA시윤리위원회 로비보고서에 따르면 제이미슨이 LA한인타운 등에서 현재 계획 중인 9개 개발 프로젝트의 로비를 위해 20만1000달러를 썼다고 전했다. 제이미슨의 로비자금은 시전체 개발업체 중 5번째로 많다. 1위는 애틀라스 캐피털 그룹으로 다운타운내 3개 대형 프로젝트 로비에 65만달러를 지출했다. 정구현 기자 [email protected]

2017.12.20. 20:53

[중앙칼럼] '제이미슨'의 미래를 위한 제언

누구지? 허리케인 하비 피해자 돕기 성금 거액 기부자 명단에서 낯선 이름 하나가 눈에 띄었다. 제이제이 와트(JJ Watt). 기부 금액도 엄청났다. 무려 2700만 달러(7일 기준, 모금은 아직 진행 중)나 됐다. 어떤 인물인지 궁금해 인터넷 검색을 했더니 뜻 밖에도 그는 프로풋볼(NFL) 스타였다. 올해 나이 스물여덟. 하비의 최대 피해 지역인 휴스턴을 연고로 하는 텍산스(Texans) 소속이다. '올해의 수비선수상'을 3번이나 받았고, 인기의 척도라는 유니폼 판매량도 팀내 1위라고 하니 실력과 인기를 겸비한 선수다. 물론 그 혼자서 이 많은 돈을 낸 것은 아니다. 그의 뒤에는 뜻을 함께 하는 16만 명이라는 엄청난 후원자들이 있었다. 그 중에는 월마트처럼 100만 달러 짜리 수표를 보낸 대형 기부자도 있지만 대부분은 소액 참여자다. 그는 불과 며칠 사이에 벌어진 일에 스스로도 놀랐다고 했다. 처음에는 20만 달러 모금이 목표였다. 본인이 10만 달러를 내고 나머지는 팀동료나 친구들로 부터 도움을 받을 계획이었다. 그런데 그의 순수한 마음이 통했는지 참여자와 금액이 순식간에 눈덩이처럼 불어났다. 일이 커져버린 것이다. 풋볼 시즌이 시작된 요즘 그에게는 본업 외에 또 한가지 중요한 일이 생겼다. 바로 트럭의 출도착 스케줄을 관리하고 확인하는 일이다. 모아진 성금으로 각종 생필품을 구입해 피해자들에게 직접 나눠주고 있기 때문이다. 그의 이야기를 따라 가면서 내가 더 주목한 것은 모금 활동에 나선 이유였다. 그는 '받은 것을 돌려주고 싶었다'고 말한다. 그가 받았다는 것은 바로 팬들의 사랑이다. 위스콘신대학 출신인 그는 텍산스에 드래프트 됐을 때 휴스턴 팬들이 보여준 애정을 잊을 수 없다고 말한다. 그런 팬들이 어려움에 처했는데 가만히 보고만 있을 수 없었다는 것이다. 그의 모금 활동이 기적과 감동을 만들 수 있었던 것은 '스타 파워'가 아니라 감사할 줄 아는 인간미였다. 비즈니스도 고객과 '주고 받는 관계'를 통해 성장한다. 이런 구도가 무너지면 수명이 짧아질 수 밖에 없다. 많은 기업들이 이익의 환원을 통한 사회적 역할에 관심을 갖는 것도 이런 이유다. 하지만 한인 최대 부동산 기업인 '제이미슨 프로퍼티'는 이런 흐름에 역행하는 듯해 안타깝다. 최근 불거진 '입주자 운영비 소급 적용본지 8월24일자 중앙경제 1면>' 논란이 대표적이다. '제이미슨'이 LA한인타운 윌셔가의 자사 빌딩 입주자들에게 기존 임대료 외에 운영비 명목으로 추가 비용을 청구한 것이 발단이었다. 입주자들은 추가 비용 문제도 그렇지만 아무런 사전 고지나 배경 설명없이 일방적으로 이뤄진 조치에 더 화가 났다. 자산 규모 30억 달러가 넘는 '제이미슨 프로퍼티'의 성공 비결은 물론 뛰어난 투자지만 한인들이 기여한 부분도 크다. LA한인타운 윌셔가가 '제이미슨'의 핵심 투자 지역 중 하나고 입주자의 대부분이 한인들이기 때문이다. 제이미슨이 소유한 윌셔가 빌딩의 가치와 수익률을 높여 준 것도 한인 입주자들인 셈이다. 한인 경제권과는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라는 의미다. 하지만 그동안 입주자들 사이에서는 사실 '부실 관리' 등을 이유로 불만의 목소리가 더 컸다. '제이미슨'은 이제부터라도 한인 입주자들과 '주고 받는 관계'를 재정립 할 필요가 있다. 독점적 지위에 있다는 생각을 버리고 입주자들과 함께 발전할 수 있는 방법을 찾는 것이 필요하다. 그래야 미래도 있다. 사족 하나, 혹시 텍산스의 게임을 볼 기회가 있다면 99번 선수를 응원하기 바란다. 그가 바로 제이제이 와트다. 김동필 경제부장 [email protected]

2017.09.10. 17:08

제이미슨 소유 CMC 빌딩 4억4000만 달러에 팔려

LA패션업계를 대표하는 건물인 '캘리포니아 마켓 센터(CMC·사진)'가 4억4000만 달러에 팔렸다. CMC는 미 서부지역 최대의 쇼룸을 보유해 의류와 관련된 각종 대소형 행사장으로 인기를 끈 건물이다. 또 한인들이 주축이 된 부동산그룹 제이미슨이 지난 2004년 1억3500만 달러에 매입해 한인들에게도 널리 알려졌다. 제이미슨은 이번 매매를 통해 13년 만에 약 3억 달러의 차익을 챙기게 됐다. 매입사는 뉴욕에 본사를 둔 브룩필드(Brookfield)사로 LA다운타운 금융가의 주요 고층빌딩 여러 개를 소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번 매매는 지난 8일 완료됐으며 거래금액은 약 4억4000만 달러에 육박하는 것으로 전해졌다고 LA타임스가 9일 보도했다. 브룩필드사는 수백만 달러를 들여 CMC를 새 단장시킬 계획이라고 밝혔다. 180만 스퀘어피트 규모의 13층 건물인 CMC는 1963년 9가와 로스앤젤레스 스트리트 코너에 지어졌고 이후 미 서부지역 최대 규모의 도매시장으로 자리잡았다. 하지만 1980년대에 백화점 업계가 통합 또는 파산 등으로 전체 규모가 대폭 축소되면서 의류 시장도 함께 위축됐고 2000년 이후에는 온라인 시장으로 의류시장의 큰 축이 옮겨가면서 CMC도 쇠퇴하는 모습을 보였다. 현재는 건물 전체 면적의 절반 이하만 리스 계약이 된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브룩필드사는 이번 매입을 계기로 기존의 의류 중심의 테넌트와 행사를 유지하면서 비의류 부문 사업체에도 개방하는 전략을 구사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김병일 기자 [email protected]

2017.06.09. 22:27

웨슨 시의원-제이미슨…'뒷거래 의혹' 구설수

LA한인타운내 유일한 녹지공간인 윌셔길 잔디광장 철거 재개발 프로젝트와 관련해 시의원과 개발사간 '뒷거래' 의혹이 제기됐다. 잔디광장 철거 반대 주민모임인 '세이브 리버티 파크(savelibertypark.org)'측은 마이크 퓨어 LA시검사장에게 2일자로 서한을 보내 공식 수사를 요청했다. 서한에서 주민들은 LA한인타운을 지역구로 둔 허브 웨슨 시의장이 잔디광장 소유주인 한인 최대 부동산 업체 제이미슨 서비스(회장 데이비드 이)에게 공공 자산을 불법 증여했는지 여부를 밝혀달라고 요구했다. 이들이 말하는 공공 자산은 제이미슨이 철거를 추진중인 잔디광장 뒤편의 피오피코 도서관 주차장 부지다. 웨슨 시의장은 지난달 7일 잔디광장 철거 인허가 공청회에 대변인을 보내 "잔디광장이 사라져도 그 대체 녹지로 피오피코 뒤편 주차장 부지를 공원으로 만들면 된다"고 주장해 주민들의 반발을 샀다. 지역구 주민 권익을 대표해야할 시의원이 특정 개발사를 지지하는 듯한 발언을 한데다 시민의 소유인 주차장 부지를 대안으로 제시한 것은 불법이라는 것이 주민들이 공분한 이유다. 서한에서 주민들은 "(시의원이)특정 개발사의 프로젝트를 밀어주기 위해 시민들의 세금을 쓰겠다는 현 상황은 '밀실 거래(back room dealmaking)' 수준까지 의혹을 고조시키고 있다"고 지적했다. 주민들은 "만약 시검찰이 시의원을 조사하는 데 있어 이해관계가 충돌한다면 이 서한을 LA카운티검사장에게 전달해달라"고도 요청했다. 한편 제이미슨이 추진중인 재개발 프로젝트는 윌셔와 옥스포드 인근 잔디광장을 없애고 36층 초고층 주상복합 건물을 짓는 건축안이다. 시정부는 9일까지 관련 주민 의견을 접수한다. 주민들은 반대 서명 운동을 벌이고 있다. 도시계획국 담당자 앞으로 이메일 혹은 편지를 통해 찬반 의견을 전할 수 있다. ▶의견 보낼 곳:이메일 [email protected]) /우편 City Planning Dept. 200 N. Spring St. #703 LA, CA 90012 정구현 기자 [email protected]

2017.01.04. 22:16

'잔디광장 철거(제이미슨 36층 주상복합 개발)' 반발 확산

윌셔 잔디광장 철거 재개발 프로젝트를 막으려는 주민 반대 운동이 확산할 전망이다. 해당 프로젝트는 한인 최대 부동산 업체 제이미슨 서비스(회장 데이비드 이)가 LA한인타운 윌셔 선상 옥스퍼드~세라노 사이의 잔디광장을 없애고 타운 최고층인 36층 주상복합건물을 짓는 건축안이다. 이 잔디광장은 타운내 유일한 녹지공간으로 월드컵 응원전, 축제 등에 활용되어온 터라 주민들의 반발을 사고 있다. 지난 7일 첫 인허가 공청회에 참석해 반대 의사를 밝혔던 주민들은 최근 개발 저지를 위한 웹사이트(savelibertypark.org)와 페이스북 홈페이지를 제작해 커뮤니티 차원의 참여를 호소하고 있다. 웹사이트에 접속해 시의회와 도시개발국에 반대 의견을 보낼 수 있다. 또 미국내 최대 유적 보호 비영리단체인 LA역사보존위는 잔디광장의 유적지 지정을 추진하겠다면서 개발 저지 동참 의사를 밝혔다. <관계기사 4면> 지역 주민 마크 로렌스씨는 본지와 LA타임스 등 언론에 보낸 이메일에서 "제이미슨측은 마지막 남은 녹지를 뽑아버리려 하고 있다"면서 "소유 건물마다 관리 평판이 좋지 않고 공실률도 높은 제이미슨이 추진하는 개발안에는 찬성할 수 없다"고 말했다. 그는 한인타운 관할 시의원인 허브 웨슨 시의장이 잔디광장 뒤편 피오피코 도서관 주차장 일부를 대체 녹지공간으로 조성하겠다고 한 계획에 대해 "수상한 데가 있다"고 의구심을 제기했다. 제이미슨의 재개발 계획을 승인하기 위해 공공부지를 내준 것 아니냐는 의혹이다. 로렌스씨는 "주차장에 공원이 만들어진다 해도 현재 잔디광장의 1/4 크기에 불과하다"면서 "대체 공간이 될 수 없다"고 지적했다. 정구현 기자 [email protected]

2016.12.18. 20:41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