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전체

최신기사

[우리말 바루기] '제주항공 참사'가 맞다

무안국제공항에 착륙하던 여객기가 불에 타고 산산조각이 났다. 탑승자 181명 중 179명이 숨졌다. 언론은 처음 ‘무안공항 참사’라고도, ‘제주항공 참사’라고도 했다. 지금은 주로 ‘제주항공 참사’라고 부른다. 모두 ‘참사’라고는 했지만 지역명과 기업명을 두고는 정리가 덜 됐었다.   언론이 ‘사고’라고 하지 않은 건 우연히 일어난 일이라고 볼 수 없었기 때문이다. ‘사고’에는 ‘우연’이란 의미가 깔려 있다. ‘참사’라고 불러야 사건의 책임 주체도 드러낼 수 있는 일이 된다. ‘참사’는 말 그대로 ‘비참하고 끔찍한 일’이어서 사실을 더 적극 반영한 말이기도 했다.   ‘무안공항 참사’라는 표현에는 지역명이 들어간다. 그 지역에 부정적 낙인이 찍힐 수 있다. 지역 혐오를 부추기게 된다. 대신 참사를 일으킨 기업의 책임은 감춰진다. 2007년 12월 7일 일어난 삼성중공업의 태안 앞바다 기름 유출 사고는 ‘태안 기름유출 사고’로 불렸다. 기업의 책임은 희석됐고, 지역에는 부정적인 이미지가 씌워졌다. 그래서 언론은 대부분 ‘제주항공 참사’라고 한다.   ‘제주항공 참사’로 숨진 사람들을 가리킬 때는 ‘사망자’가 아니라 ‘희생자’라고 한다. 사망자의 사전적 의미는 ‘죽은 사람’이다. 희생자는 ‘어떤 일이나 사건으로 말미암아 죽거나 다치거나 피해를 본 사람’이다. 그들에게 희생자라고 하는 건 사전적 의미를 떠나 그들의 죽음이 개인적 죽음이 아니기 때문이다. 그들의 죽음은 사회적이고 구조적이다.   어떤 일에 대해 명칭을 붙이는 건 중요하다. 정확한 표현이어야 사실이 뒤틀리지 않는다. 올바른 명칭은 진실로 가는 길이 되기도 한다.우리말 바루기 제주항공 참사 제주항공 참사 무안공항 참사 대신 참사

2025.01.07. 20:07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희생자 합동분향소, 4일 5시까지 운영

제주항공 참사 희생자를 추모하는 합동분향소가 조지아주 피치트리코너스 시에 있는 리 장의사(Lee's Funeral Home & Crematory)에서 4일 오후 5시까지 운영된다.   지난 2일 미동남부호남향우회, 애틀랜타 한인노인회, 애틀랜타 밀알선교단, 동남부 충청향우회, 조지아 한인식품협회 등 5개 단체는 분향소를 마련해 추모식을 가졌다. 합동분향소는 오후 1시~5시 운영되며, 누구나 조문할 수 있다. 근조화환과 조기 설치도 가능하다.   김경호 미동남부호남향우회 회장은 "애틀랜타 한인 중에도 사고로 가까운 가족을 잃은 유족이 있다"며 "많은 동포가 추모에 동참하길 바란다"고 전했다. 장채원 기자 [email protected]합동분향소 제주항공 추모 합동분향소 제주항공 참사 미동남부호남향우회 애틀랜타

2025.01.03. 16:26

썸네일

제주항공 참사 뉴욕 합동분향소 설치

제주항공 여객기 사고 희생자를 추모하는 뉴욕 합동분향소가 오는 4일(토) 오후 2시부터 4시까지 뉴욕시 플러싱 중앙장의사에 마련된다.     중앙장의사는 “해당 사고는 지난 12월 29일 오전 9시경 태국 방콕을 출발해 전라남도 무안국제공항에 착륙하는 도중 일어난 사고인데 탑승자 181명 중 179명이 사망한 대형 참사로 뉴욕 한인들도 함께 슬퍼하고 있으며, 연고자들도 뉴욕·뉴저지 일원에 있기에 헌화와 분향을 준비했다”고 전했다.   이번 추모 행사는 뉴욕한인회와 중앙장의사가 주최하고 퀸즈한인회·호남향우회·하늘가족재단이 주관한다   문의: 718-353-2424(중앙장의사). 박종원 기자 [email protected]합동분향소 제주항공 뉴욕 합동분향소 합동분향소 설치 제주항공 참사

2025.01.02. 18:05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