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최신기사

학교·공원 인근 주류 광고 금지…가든그로브 새 조례 내달 발효

가든그로브 시가 청소년 관련 시설 인근에서 맥주, 와인, 위스키 등 주류 옥외 광고를 금지한다.   가든그로브 시의회는 지난 12일 회의에서 예세니아 무네톤 시의원 주도로 학교, 놀이터, 어린이 보육 시설 또는 도서관으로부터 500피트 이내 지역에서 빌보드, 표지판, 간판 등을 이용한 알코올 광고를 금지하는 새 조례안을 시의원 전원 찬성으로 가결했다.   무네톤 시의원은 회의에서 “우리 학생들과 어린이들, 지역 사회의 안전을 보장하고 싶다”며 동료 시의원들에게 조례안 지지를 부탁했다.   시의회의 새 조례 마련은 한 주류 회사가 지역 초등학교 벽면에 제품 광고를 담은 벽화를 그렸다는 직원 보고서 제출 이후 이루어진 조치다.     알코올 남용 및 중독 국립연구소(NIAAA)를 포함한 여러 기관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알코올 마케팅에 대한 노출이 증가하면 미성년자 음주율도 증가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새 조례는 조례안 가결 30일 이후 발효되며, 위반 시 벌금을 포함한 행정 제재가 부과된다.학교 공원 알코올 광고 지역 초등학교 제품 광고

2025.08.25. 20:00

[우리말 바루기] ‘귀찮다’의 변주

무더위가 이어지다 보니 몸이 처지고 만사가 귀찮아진다. 움직이기가 싫다는 사람이 많다. 움직이면 땀이 흐르고 숨이 차니 가급적 움직임을 줄이려는 것이다.   이럴 때 쓰이는 ‘귀찮다’는 단어는 일상 속에서 자주 사용되면서 변주를 거듭하고 있다. ‘귀차니즘’이나 ‘귀차니스트’라는 말이 생겼다. 귀찮은 일을 몹시 싫어하는 태도나 사고방식을 ‘귀차니즘’이라 한다. ‘귀차니스트’는 귀찮은 일을 싫어하고 혼자 노는 데 익숙한 사람을 비유적으로 일컫는 말이다. 요즘은 귀차니스트에게 소구하는 제품 광고도 심심치 않게 볼 수 있다.   ‘귀찮다’는 언어의 역사성을 보여주는 대표적 단어다. 본래 뜻은 지금과 상당한 차이가 있었다고 한다.   ‘귀찮다’는 원래 ‘귀(貴)하다’와 ‘아니하다’가 합쳐져 ‘귀하지 않다’는 의미로 쓰였다. ‘귀하지 아니하다’가 ‘귀치 않다’로 줄어들고, 이어 ‘귀찮다’로 축약된 것이다. 그러니까 귀하지 않고 평범한 것, 중요하지 않은 것을 의미할 때 ‘귀찮다’를 사용했다.   현재 표준국어대사전에서 ‘귀찮다’를 찾아보면 ‘마음에 들지 아니하고 괴롭거나 성가시다’로 풀이돼 있다. 원래의 ‘귀하지 아니하다’는 의미는 포함돼 있지 않다. 귀하지 않아 평범하다 보니 흔하고 마음에 들지 않는 것에 이르렀고, 결국에는 괴롭고 성가시다는 의미가 더해졌다.   이렇게 의미가 ‘귀(貴)하다’에서 멀어지다 보니 이제 표준국어대사전에서는 ‘귀찮다’를 순우리말처럼 취급하고 있다. 즉 ‘귀(貴)찮다’와 같이 한자를 병기하지 않는다.우리말 바루기 현재 표준국어대사전 제품 광고 가급적 움직임

2025.08.21. 18:24

[우리말 바루기] ‘귀찮다’의 변주

‘귀찮다’는 단어는 일상 속에서 자주 사용되면서 변주를 거듭하고 있다. ‘귀차니즘’이나 ‘귀차니스트’라는 말이 생겼다. 귀찮은 일을 몹시 싫어하는 태도나 사고방식을 ‘귀차니즘’이라 한다. ‘귀차니스트’는 귀찮은 일을 싫어하고 혼자 노는 데 익숙한 사람을 비유적으로 일컫는 말이다. 요즘은 귀차니스트에게 소구하는 제품 광고도 심심치 않게 볼 수 있다.   ‘귀찮다’는 언어의 역사성을 보여주는 대표적 단어다. 본래 뜻은 지금과 상당한 차이가 있었다고 한다.   ‘귀찮다’는 원래 ‘귀(貴)하다’와 ‘아니하다’가 합쳐져 ‘귀하지 않다’는 의미로 쓰였다. ‘귀하지 아니하다’가 ‘귀치 않다’로 줄어들고, 이어 ‘귀찮다’로 축약된 것이다. 그러니까 귀하지 않고 평범한 것, 중요하지 않은 것을 의미할 때 ‘귀찮다’를 사용했다.   현재 표준국어대사전에서 ‘귀찮다’를 찾아보면 ‘마음에 들지 아니하고 괴롭거나 성가시다’로 풀이돼 있다. 원래의 ‘귀하지 아니하다’는 의미는 포함돼 있지 않다. 귀하지 않아 평범하다 보니 흔하고 마음에 들지 않는 것에 이르렀고, 결국에는 괴롭고 성가시다는 의미가 더해져 지금에 이른 것이다.   이렇게 의미가 ‘귀(貴)하다’에서 멀어지다 보니 이제 표준국어대사전에서는 ‘귀찮다’를 순우리말처럼 취급하고 있다. 즉 ‘귀(貴)찮다’와 같이 한자를 병기하지 않는다.우리말 바루기 현재 표준국어대사전 제품 광고

2023.08.04. 20:44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