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주중앙일보

광고닫기

전체

최신기사

[열린광장] 통한의 휴전, 왜 7.27인가

전투는 멈췄지만, 전쟁은 끝나지 않았다. 1953년 7월 27일, 한반도는 ‘정전’이라는 이름으로 총성이 멎었지만, 그 과정은 복잡하고 불완전했다. 북한과 중공, 소련은 각기 다른 이해관계를 갖고 있었고, 유엔군 내에서도 미국과 영국을 비롯한 각국의 입장은 제각각이었다. 결국 휴전은 미국 측의 의도대로, 제한된 전쟁의 틀 안에서 마무리되었다.   우리 입장에서 이 휴전은 억울함 그 자체였다. 3년 1개월 동안 온 국토는 폐허가 되었고, 수많은 군인과 민간인이 희생됐다. 당시 북한은 소총, 기관총, 박격포 등 보병 화기 정도는 자체 생산이 가능했지만, 우리는 총알 하나, 수류탄 하나조차 만들지 못한 상태였다. 독자적으로 전쟁을 수행할 수 없는 상황에서 우리는 사실상 선택지가 없었다.   중공군의 참전 이후, 당시 전선 사령관 맥아더 장군이 주장한 만주 폭격은 군사적으로는 당연한 판단일 수 있었지만, 미국은 처음부터 6·25 전쟁을 세계대전으로 확산시키지 않기 위해 ‘제한 전쟁’으로 간주하고 있었다. 특히 맥아더를 제외한 대부분의 미국 장성과 일선 지휘관들은 제2차 세계대전 당시 태평양이 아닌 유럽 전선에서 복무한 인물들이었다. 여기에 더해, 대통령 선거가 임박한 미국 내부의 정치적 상황도 전쟁 장기화를 꺼리게 만든 요인이었다. 전쟁 말기에는 매일 중대 병력에 달하는 사상자가 발생했고, 이를 감당할 여론적 기반도 붕괴되고 있었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미국은 한반도 방어에 있어 가장 이상적인 선이라 판단한 ‘캔자스(Kansas) 방어선’을 유지하기 위해 판문점 일대의 서부 전선을 고착화했다. 휴전회담이 이뤄지고 있다는 명분 아래 서부 전선의 북진을 포기했고, 중동부와 동부 전선에서도 대대급 이상의 공격을 금지함으로써 실질적으로 한국전의 승리를 포기한 셈이었다. 더욱이 영국은 이 전쟁을 소련의 유럽 침공을 위한 양동작전으로 판단했기에 하루라도 빨리 종전하고 유럽 방어에 집중해야 한다는 입장을 견지했다.   결국, 유엔군은 하루빨리 휴전을 원했지만, 오히려 칼자루를 쥐게 된 공산군은 느긋하게 2년 넘게 협상을 끌며 유리한 조건을 모색했다. 그리고 마침내 1953년 7월 27일 오전 10시 정각, 정전협정이 발효됐다. 협정문은 영문, 한글, 중국어 3개 국어로 작성되었고, 유엔군 사령관 마크 클라크 대장, 중국인민지원군 사령원 팽덕회, 북한의 김일성 세 사람의 서명이 담겼다. 그러나 대한민국은 정식 서명국은커녕 배석자조차 허락되지 않았다. 대한민국은 전쟁의 직접 당사자였음에도 정전협정에 서명할 자격조차 인정받지 못했다.   그로부터 72년이 지난 지금도 북한은 기회만 되면 도발을 일삼고, 불리한 국면에서는 ‘민족애’를 앞세운 평화 공세를 되풀이하고 있다. 남북 간의 대치는 세계적으로도 유례없는 장기 휴전 상태이며, 이산가족 간의 편지 한 장조차 자유롭게 오가지 못하는 현실은 우리가 아직도 한반도의 주권을 온전히 행사하지 못하고 있음을 방증한다.   휴전 직전, 7월 13일 백마고지 전선에서 적군의 포로가 된 수도사단 부사단장 임익순 대령(1917~1997)은 자신의 회고록 『내 심장의 파편』에서 정전 회담 기간 중 평양으로 끌려가며 직접 목격한 북한의 전황을 기록하고 있다. 유엔군의 공중 폭격으로 인해 철도망은 마디마디 끊겨 있었고, 무기와 보급품은 확보되었더라도 운송 자체가 불가능한 상황이었다.   공산군은 이 시점에 더 이상의 전쟁은 패망으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는 판단에 이르렀고, 마침내 휴전 협정에 서명했다.     하지만 일선에서 싸운 군인들은 전투 의지를 잃지 않도록 하기 위해 정전 시각을 알지 못한 채 싸움을 계속했다. 그 결과, 정전 발효 직전 몇 분, 몇 초를 남기고 전사한 병사들도 있었다. 그 유가족들이 느꼈을 참담함과 억울함은 이루 말할 수 없을 것이다.   그날, 금성천 골짜기에서는 미군, 국군, 중공군, 북한군 병사들이 함께 물장구를 쳤다는 전언이 전해진다. 역사의 아이러니이자 전쟁의 비극적 단면이다.   임익순 대령은 이후 남쪽으로 송환되어 포로복을 벗고 팬츠 바람으로 부대 사열을 받은 유일한 일선 지휘관이 되었다. 하지만 지금도 북한에는 돌아오지 못한 국군 포로들이 여전히 남아 있다는 사실을 우리는 잊지 말아야 한다. 주영세 / 은퇴목사·ROTC 1기열린광장 휴전 제한 전쟁 전쟁 말기 유럽 전선

2025.07.10. 18:45

썸네일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