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전체

최신기사

“우정의 공원에 해시계·무동 조각상 기증하겠다”

한국의 성북구와 안산 시가 부에나파크 ‘우정의 공원(Friendship Park)’에 한국 상징물을 기증하겠다고 밝혔다.   지난달 15~22일 부에나파크 시 대표단을 이끌고 성북구(구청장 이승로)와 안산 시(시장 이민근)를 방문한 조이스 안 시장은 본지와 통화에서 “두 곳에서 모두 상징물을 기증하기로 했다. 현재 실무진이 논의 중이며, 앞으로 어떤 상징물을 우정의 공원에 설치하는 것이 좋을지 시의원들과 협의해 최종 결정을 내릴 것이다”라고 말했다.   안 시장에 따르면 부에나파크의 자매 도시인 성북구 측은 해시계와 측우기, 혼천의와 같은 옛 선조의 천체 관측 기구 설치를 제안했다. 우정 도시 협약을 맺고 있는 안산 시는 안산을 대표하는 인물인 화가 단원 김홍도의 그림에 등장하는 무동(춤을 추는 아이)의 캐리커처(특징을 잡아 익살스럽게 표현한 그림) 조각상을 보내줄 수 있다고 제의했다.   김홍도 무동 조각상은 안산의 자매 도시 라스베이거스의 ‘안산 자매도시 공원’에도 설치돼 있다.   부에나파크 시는 우정의 공원에 한국 정자와 정원을 만들 예정이다. 〈본지 1월 21일자 A-12면〉 정자는 공원(5290 Cameron Dr) 중앙에서 캐머런 드라이브에 치우친 장소에 396스퀘어피트 규모로 들어선다. 정자 앞엔 광장이 조성돼 커뮤니티 모임 장소로 활용된다. 광장 복판엔 태극 문양이 만들어진다. 광장 바로 옆엔 해시계가 설치되고, 정자와 광장 주위엔 한국의 나무와 꽃을 심은 정원도 조성될 예정이다.   안 시장은 “우리 시에서 전부터 관심을 가져온 해시계 외에 측우기와 천체 관측 기구는 옛 선조들의 과학 기술과 지혜를, 무동 조각상은 조상의 예술과 문화를 보여주는 조형물이 될 수 있다. 깊은 관심을 보인 성북구와 안산 시 측에 감사드린다”고 말했다.   시 대표단의 일원인 조종권 부에나파크 자매도시위원회 위원장은 방한 기간 중 성북구의 해시계, 측우기 제작 업체를 방문, 크기와 재질 등을 파악했다.   부에나파크 시의회는 정자 건립 프로젝트를 진행할 업체 ‘손 아키텍츠(대표 스티븐 손)’와 20만 달러에 계약을 맺는 안도 최근 승인했다. 손 아키텍츠는 이달 중 한국 상징물 설치 위치를 포함한 최종 디자인을 마련할 예정이다.   한국 정자, 정원 건립 총예산은 약 180만 달러다. 시 측은 이 프로젝트 공사가 9~10월 중 완료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임상환 기자조각상 해시계 해시계 측우기 측은 해시계 안산 자매도시

2025.04.09. 20:00

썸네일

프레더릭턴의 새 얼굴, ‘비버 조각상’

    이 주말부터 프레더릭턴의 비버브룩 미술관에서 프레더릭턴에서 가장 유명한 조각상 중 하나를 만날 수 있다.     ‘비버들(The Beavers)’이라 불리는 이 작품은 1,400킬로그램 무게의 회색 석회암으로 된 어미 비버와 새끼 비버를 나무들 위에 조각한 작품이다. 이 조각상은 미술관 입구에 자리 잡아 외부에서 유리문을 통해 볼 수 있다.    1959년, 80세 생일을 맞은 윌리엄 맥스웰 에이튼(Lord Beaverbrook) 비버브룩 미술관 설립자에게 주기 위한 선물로 주 정부가 제작을 의뢰했다.     1959년, 오피서스 스퀘어에 처음 설치된 이 작품은 수십 년 동안 날씨와 세월을 견뎌왔다. 또한 여러 세대의 아이들이 비버 등을 타거나 조각 위에 앉아 놀았다. 그러나 2016년, 시청 직원들이 작품이 심하게 훼손된 것을 발견하면서 도심 공원에서 철거되었다. 2023년 여름, 2주에 걸친 복원 작업 후, 이번 주 토요일부터 미술관에서 새로운 모습을 공개한다.     “그냥 완벽한 캐나다의 상징이죠,”라고 비버브룩 미술관의 수집 및 전시 매니저인 존 르로우가 말했다. 비버는 지능적이고, “비버브룩 경처럼 무엇인가를 만들어낸 동물”이라며 그 상징성을 강조했다.     비버브룩은 뉴캐슬 출신으로 신문 발행인, 사업가, 정치인으로 활동하며 두 차례 세계 대전 동안 영국 내각의 일원으로 일했다. 또한 뉴브런즈윅 대학교 총장이었으며, 비버브룩 미술관을 포함한 여러 자선 사업을 후원했다.     이 작품은 클로드 루셀 아카디아 출신 예술가에 의해 조각되었으며, 루셀은 현대 아카디아 미술의 선구자로 인정받고 있다.     1,400킬로그램의 무게를 가진 이 작품은 바퀴가 달린 금속 구조물에 실려 미술관으로 안전하게 옮겨졌으며, 작품은 관람객들이 만지며 소통할 수 있도록 전시되었다.   임영택 기자 [email protected]조각상 비버들 캐나다 미술관 작품 미술품

2024.11.25. 13:59

썸네일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