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주중앙일보

광고닫기

전체

최신기사

얼어붙은 청약시장서 호텔 같은 조경 갖춘 단지 관심

㈜한화 건설부문이 대전 학하에서 조경으로 승부수를 던졌다. 최근 얼어붙은 분양시장에서 조경을 잘 갖춘 단지들이 인기를 끌고 있기 때문이다.   양적 주거문화에서 질적 주거문화로 주택시장 패러다임이 바뀌면서, 공동주택의 외부환경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이 급증하는 점도 조경을 잘 갖춘 단지들이 인기를 끄는 이유이기도 하다. 여기에 조망권이 침해될 가능성이 거의 없고 사계절의 변화를 주거공간에서 누릴 수 있는 조경특화 아파트들은 매매 시 프리미엄까지 기대할 수 있어 실수요자들의 관심이 모인다.   실제, 국토교통부 아파트 실거래가에 따르면, 전북 익산시 마동 일원에 자리한 ‘익산자이그랜드파크’의 경우 전용면적 126㎡(37층)의 분양권이 올해 9월 최고가 10억2989만원으로 올해 1월(9억3280만원) 대비 1억원 이상이나 오른 가격에 거래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아파트는 엘리시안가든, 테마가든, 자이펀그라운드 등 조경을 갖출 계획이다.   또 천안시 서북구 두정동 일원의 ‘포레나 천안두정’ 전용면적 84㎡(16층)은 올해 9월 4억7000만원에 거래됐다. 이는 같은 층의 직전 매매거래가(6월, 3억9870만원) 대비 7000만원 뛴 셈이다. 이 아파트는 야외 물놀이장, 공용 텃밭, 티하우스, 반려동물 놀이터 등 타 아파트에서 볼 수 없는 조경을 갖춘 것으로 알려졌다.   청약경쟁률도 높다. 경기 시흥시 군자동 ‘e편한세상 시흥장현 퍼스트베뉴’는 단지 내 중앙광장과 생태연못, 라이브러리 가든 등 자연친화적인 조경특화설계를 적용하면서, 평균 190대 1이라는 높은 경쟁률을 기록했다. 지난 9월 경남 창원시 성산구 ‘창원 롯데캐슬 하버팰리스’도 단지 내에는 플레이가든과 워터카페테리아, 보타닉가든 등 조경에 힘쓴 결과 미분양이 많이 적체된 창원에서 평균 21.34대 1의 높은 경쟁률을 달성했을 정도다.   부동산 전문가도 조경에 신경을 쓰는 것이 필수불가결한 현상이 됐다고 말한다. 리얼투데이 리서치팀 장재현 이사는 “인테리어 등 특화설계가 세대의 가치를 올린다면, 조경은 아파트 전반의 가치를 상승시키는 결정적 역할을 한다. 특히 조경이 잘 갖춰진 아파트는 고층 세대는 전망을, 저층 세대는 가까이서 조경을 바라볼 수 있는 또 다른 로열층으로 평가받고 있는 만큼 다양하고, 특화된 조경이 있는 아파트의 가치는 높아질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하반기 주택시장에서는 이렇듯 조경에 각별히 신경을 쓴 신규 분양 아파트가 수요자들의 이목을 독차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기존 아파트와 달리 넓은 조경면적을 확보하여 명품 조경을 가꾼 단지는 지역을 대표하는 랜드마크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주)한화 건설부문이 지난달 28일 모델하우스를 열고 본격 분양에 나선 ‘포레나 대전학하’가 눈에 띈다. ‘포레나 대전학하’는 대전시 서구 학하동 일원에 지하 2층~지상 34층, 21개 동, 전용면적 59~84㎡, 2개 단지 규모로 지어지는 아파트로, 총 1,754가구(1단지 1,029가구, 2단지 725가구) 중 임대를 제외한 872가구(1단지, 전용면적 84㎡ 단일 면적)가 일반 분양된다.   이 아파트는 평균 조경면적(약 30~35%)보다 높은 조경면적(43%)으로 꾸며져 쾌적하게 주거 환경을 누릴 수 있다. 지상의 공간은 다양한 식재와 동선을 고려한 조경, 산책로 등이 배치되어 사계절 다채로운 풍경을 바라보며, 휴식할 수 있는 공간으로 꾸며질 계획이다. 1단지 한가운데에는 중앙광장을 배치하고, 광장 주변으로 연못과 숲길이 조성될 예정이다.   또 단지 외곽에는 어린이놀이터와 주민운동시설 등도 조성하여 단지 전체를 다양한 연령대의 주민들이 즐길 수 있는 휴식 공간으로 꾸몄다. 단지 주출입구와 근린생활시설이 연계되는 곳에는 모던한 식재가 설치되며, 근린생활시설의 활성화는 물론 문주 뒤편의 경관이 함께 어우러져 단지의 상징성까지 부각시킬 계획이다. 단지 주변으로는 인근에 고층 구조물이 없고, 주변 단지와도 이격돼 있어 일부 저층 가구를 제외한 대부분의 가구가 막힘없는 녹색조망을 누릴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반경 3km 이내에는 계룡산 국립공원 수통골, 리기테다 소나무숲, 학하천, 국립대전 숲체원, 빈계산 등이 인접해 있는 만큼 입주민들은 자연과 조경에 둘러싸여 쾌적한 주거생활과 고즈넉한 휴식을 만끽할 수 있어 주거 만족도가 남다를 것으로 예상된다.   HDC현대산업개발은 12월, 충청북도 음성군 맹동면 일원에 ‘음성 아이파크’를 선보일 예정이다. 최근 주거 선호도가 높아지고 있는 충북혁신도시 생활권을 누릴 수 있는 단지인데다, 지역 내 첫 선보이는 아이파크 브랜드 아파트로 높은 관심이 예상된다. ‘음성 아이파크’는 본성지구 A, B블록에 지하 2층~지상 29층, 전용면적 84·113·177㎡, 총 1,653세대 규모의 대단지로 조성될 계획이다. 블록별 세대수는 △A블록 9개동, 880세대 △B블록 8개동, 773세대다.   단지는 음성 첫 아이파크 브랜드 단지로 높은 상징성과 차별화된 설계 및 상품성을 갖출 예정이다. 먼저 전세대 남향 위주로 배치해 채광과 통풍을 극대화하였으며, 선호도가 높은 4Bay의 판상형 평면으로 공급된다. 또 1.47대의 넉넉한 주차 공간을 제공하고, 기존 음성 지역과 충북혁신도시 입주 단지에서는 볼 수 없었던 캠핑장·키즈 라운지·사우나 등의 커뮤니티 시설이 계획돼 있다. 여기에 드레스룸과 알파룸 등(일부 세대 제외) 넉넉한 수납공간 설계로 차별화를 선보이며 공간 활용성을 극대화할 전망이다.   강동현 기자 [email protected]청약시장 조경 조경특화 아파트들 국토교통부 아파트 아파트 전반

2022.11.03. 22:40

썸네일

조경 잘못하면 주택 가치 최대 30% 하락

 잔디·지붕 상태 등 첫인상 좌우 나무 한 그루 심으면 10% 뛰어 그린 인테리어도 가치 상승 도움   나무와 드라이브 웨이 정비 등 주택의 조경과 환경 미화를 소홀히 하면 주택 가치가 최대 30% 이상 하락할 수 있어 셀러의 주의가 요구된다.   조경 정보 공유 업체 ‘트리스닷컴’이 전국의 부동산 에이전트 125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4명 중 3명 이상인 78%가 상태가 불량하거나 미흡한 조경과 환경 미화는 예비 바이어의 주택 가치 산정에 매우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했다. 주택 가격이 10% 정도 떨어진다고 한 에이전트가 24%나 됐으며 하락 폭이 20%라고 가리킨 에이전트는 22%로 나타났다. 18%는 가치가 30% 이상 떨어진다고 답했다.     부동산 에이전트들은 “깨끗한 외관과 수려함까지는 아니더라도 잘 정돈된 정원이나 앞마당은 예비 바이어들에게 매우 좋은 인상을 심어준다”며 “조경과 주택 환경 미화 상태가 매물의 첫인상이라고 보면 된다”고 설명했다. 이어 “관리가 안 된 잔디나 건물 외벽, 현관문, 지붕 상태, 앞마당 조경 등으로 커브 어필(Curb Appeal)이 형편없다면 예비 바이어는 전반적으로 주택 관리가 잘 안 됐다고 바로 평가하는 경향이 짙다”고 덧붙였다. 반대로 주택의 외관과 조경의 관리 상태가 우수한 경우에는 집주인이 주택을 잘 유지하고 필요한 보수도 잘할 것이라는 믿음을 준다고 강조했다.   한 부동산 에이전트 “지금과 같이 주택 가격이 고공행진을 하는 ‘핫’한 주택 시장에서 부실한 조경 관리로 거래 가격이 10%나 떨어진다며 셀러에게 큰 타격을 줄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그는 “코로나19로 인해서 외출이 이전보다 자유롭지 않게 되면서 바이어들이 집을 구매할 때 실외 공간을 더 중요하게 여기고 있다”고 말했다. 뒷마당을 가족의 엔터테인먼트 공간으로 사용하려는 바이어들이 교외 외곽에 대형 주택을 구매하는 실정이기 때문이다.   바이어들이 조경 중 잔디(64%), 나무(59%), 꽃(52%)의 관리 상태에 가장 많은 비중을 두고 있다는 게 부동산 에이전트의 설명이다. 부동산 에이전트 2명 중 1명은 나무 한 그루를 마당에 심을 경우, 주택 가치가 10% 정도 오른다고 응답했을 정도다. 예비 바이어들이 실외의 조경수, 잔디, 꽃을 눈여겨보는 것과 같이 실내에도 화분과 꽃 등으로 집안에 생기를 불어넣는 그린 인테리어 역시 집값 상승에 일조한다고 전했다.   주택의 환경과 부대 시설 관리에 대해서는 10명 중 6명에 가까운 58%가 덱(deck)이 중요하다고 콕 집었다. 이외에도 드라이브 웨이(54%), 아웃도어 키친(47%), 인공 잔디(44%), 가제보(42%), 파이어핏(39%) 순으로 비중이 컸다.   진성철 기자

2021.10.20. 16:26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