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적 명문대학인 하버드에 조기전형으로 합격한 한인 여학생이 주변의 부러움을 사고 있다. 주인공은 랜초 버나도 고등학교 12학년에 재학 중인 조이스 곽(사진) 양. 아직은 여고생의 앳된 미소를 가진 곽양은 오는 9월 하버드대 분자 세포 생물학과(Molecular and Cellular Biology) 입학을 앞두고 설렘을 감추지 못했다. 곽 양은 모두가 인정하는 수재다. 또래 우수 학생이 5~8개 정도 듣는 AP 과목을 15개나 수강했고 11학년때 PSAT 만점, 12학년 때는 SAT 1590점을 기록했다. 고등학교 과정에서는 더 이상 들을 수 있는 수업이 없어진 곽 양은 지난 2023~2024학년도에는 팔로마 칼리지에서 미적분/해석 기하학과 선형대수학 과목을 수강, 자신보다 서너 살이나 많은 대학생들과도 당당히 경쟁해 A학점을 받았다. 이처럼 화려한 성적을 자랑하는 곽 양이지만 대학 진학 준비를 하면서 어려움도 많았다고 한다. 어린 시절 집에서 한국어만 허락했던 부모님의 영향으로 영어 학습이 늦은 탓에 처음 학교에 입학했을 때는 친구들과의 관계도 쉽지 않았다. 또 유난히 수줍음이 많은 성격으로 인해 환경이 변화할 때마다 적응에 시간에 오래 걸리기도 했다. 곽 양은 하버드 조기합격의 비결로 다양한 인턴 및 교과외 활동을 꼽기도 했다. 2023~25년 샌디에이고 주립대 담배 및 환경센터의 로워 실험실에서 인턴십을 하며 수많은 논문을 읽고 직접 실험에도 참여했다. 또 팔로마 병원에서 인턴으로 활동하며 환자에게 필요한 처치를 구체적으로 파악했다. 뿐만 아니라 전 세계 고등학교, 대학, 대학원생들이 참여하는 합성 생물학 대회인 '아이젬(IGEM)'에서 학교를 대표해 회장직을 수행하며 유전자 조작, DNA 합성, 생물학적 시스템 설계 등을 통한 문제 해결 프로젝트를 실행하기도 했다. 하버드 입학으로 생전 처음 동부 지역을 가게 됐다는 곽 양은 앞으로 사계절을 만끽할 수 있게 됐다며 기대감과 호기심으로 눈 빛이 반짝였다. 또 입학 후 경쟁이 치열할 것 같다는 곽 양은 자신감도 내비쳤다. 곽 양은 물론 학교생활에 최선을 다할 것이지만 새로운 친구도 마음껏 사귀고, 사랑하는 바이올린 연습도 열심히 할 것이라고 대학 생활에 대한 기대감도 나타냈다. 글= 박세나 기자 사진= 정호 작가조기전형 조이스 하버드 입학 하버드 조기합격 하버드대 분자
2025.04.03. 19:49
최근 대부분 대학들이 조기 전형을 발표했다. 합격한 학생들과 떨어진 학생, 또는 합격 보류(defer∙디퍼)를 받은 학생들의 희비가 엇갈리는 시점이다. 특히 경쟁률이 높은 대학에서 합격 보류 또는 불합격 통지를 받는 것은 매우 낙담스러울 수 있지만, 여정의 끝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사실, 그것은 지원 전략을 재평가하고 정규(레귤러) 결정 또는 조기 결정 II 마감일 전에 다시 입시 원서를 살펴보고 조정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실망하는 것은 당연하지만, 이러한 결과는 자신의 능력 부족 탓이 아니라 입학 절차의 치열한 경쟁의 결과라는 것을 기억하는 것이 중요하다. 입학원서가 입학 사정관들의 관심을 즉시 끌지 못한 데에는 다 이유가 있다. 경쟁이 치열하고 과정의 많은 부분이 지원자가 어떻게 할 수 없지만, 이제부터 레귤러 원서를 마무리 할 때는 대학 입시에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 조금은 더 알고 있다는 이점이 있다. 이 기회를 이용하여 자료를 재분석 평가하고 지원서가 영향을 미치지 못하게 하는 일반적인 실수를 하고 있는 게 없는지 등을 면밀하게 다시 살펴봐야 한다. 보통 2025년 1월 초~중순에 마감하는 정시(레귤러RD) 및 얼리디시즌 II(EDII) 지원서를 제출하기 전에 발견하고 수정해야 할 일반적인 지원자들의 실수는 다음과 같다. 적합성보다 명성 우선: 많은 학생들이 아이비 리그와 같은 최고 수준의 학교에 지원하면서 해당 대학이 학업 목표와 개인적 관심사에 적합한 지 고려하지 않는다. 학교의 평판이 좋다고 해서 반드시 자신에게 적합하다는 것은 아니다. 학생들은 학업적으로나 개인적으로 성공할 수 있는 학교를 우선시해야 한다. 관심 입증 실패: 대학의 입학 사정관은 해당 대학에 진심으로 관심이 있는 지원자를 보고 싶어한다. 지원서가 학교의 특정 관심사와 가치와 일치할수록 입학 사정관들은 캠퍼스 커뮤니티에 적합한 사람이라는 확신을 가질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지원자는 학교의 프로그램, 문화, 가치에 대한 연구를 에세이와 자료에 반영하고 학교가 제공하는 특정 기회에 대한 열정을 보여야 한다. 일관되지 않은 원서 전달: 산발적인 단절된 지원서는 영향을 미치지 못할 수 있다. 설득력 있는 스토리를 전달하거나 명확한 주제를 전달하는 대학 지원서는 초점이나 일관성이 부족한 지원서보다 더 매력적이고 기억에 남는다. 대학에 진학하고 싶어 하는 학생일 뿐만 아니라 성격과 명확한 목적 의식을 가진 사람으로 자신을 표현할 수 있는 기회이다. 일반적으로 학생들이 모든 자료에 걸쳐 일관되고 설득력 있는 원서를 만들어 활동, 관심사, 에세이를 고유한 자질과 대학 커뮤니티에 기여할 방법을 강조하는 통합된 스토리로 정렬하는 것이 좋다. 지원서에 필요한 모든 개선 사항을 적용한 후에도 진학하고 싶었던 학교에 여전히 합격하지 못했다면 그래도 희망을 잃으면 안된다. 나중에 편입생으로 지원할 수 있는 옵션이 항상 있다. 대학에 입학이 거절당하는 것은 개인적인 좌절처럼 느껴질 수 있지만, 거절이 자신의 가치나 잠재력을 반영하는 것은 아니라는 점을 기억하는 것이 중요하다. 성공으로 가는 모든 길은 독특하며, 이 순간이 모든 미래를 결정하는 것은 절대 아니다. 불합격이라는 상황에 매몰되지 말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회복력을 기르고, 목표를 다듬고, 자신의 열정과 열망에 더 밀접하게 부합하는 학교를 찾아서 합격 할수 있는 기회로 활용하길 바란다. (대학 입시 무료 상담 College Planning Corp. 대표, 847-450-8001) 이상영조기전형 합격보류 불합격 통지 대학 지원서 대학 커뮤니티
2024.12.24. 13:05
▶문= 2025년 가을학기 예일대 조기전형 지원자수가 크게 줄었다. 이유는 무엇인가? ▶답= 내년 가을학기 예일대 조기전형 방식인 ‘싱글초이스 얼리 액션’(SCEA) 지원자수는 총 6754명으로 집계됐다. 2024년 가을학기 SCEA 지원자수와 비교해 14% 감소했다. 왜 SCEA 지원자수가 이렇게 줄었을까? 가장 큰 이유는 이번 입시가 예일대가 표준시험 점수 제출 의무화 정책을 부활시킨 후 치르는 첫 입시이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대부분 명문대와 마찬가지로 예일대는 지난 몇년 간 테스트 옵셔널 정책을 시행하다 2025년 가을학기 입시부터 시험점수 제출 의무화 정책을 다시 채택했다. 예일대의 정책은 ‘테스트 플렉서블’(Test-Flexible)이라고 부른다. SAT, ACT, AP. IB 시험점수 중 하나를 입시 과정에서 의무적으로 제출해야 한다. 만약 학생이 AP나 IB 점수를 제출하기로 결정한다면 모든 과목의 점수를 내야 한다. 제레마이어 퀸런 예일대 입학사무처장은 “표준시험 점수 제출을 의무화한 후 조기전형 지원자수가 감소할 것으로 예상했다”고 말했다. 내국인 학생보다는 외국인 유학생 조기전형 지원자 감소폭이 더 컸다. 유학생 지원자수는 올 가을학기보다 30% 감소했다. 반면에 내국인 지원자수는 1년 전보다 9% 줄었다. 많은 외국인 지원자들은 자신의 출신국가에서 필요한 표준시험을 보기가 어렵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내년 가을학기 SCEA 지원자수는 테스트 옵셔널로 바뀌기 전인 지난 2020년 가을학기 SCEA지원자보다 1000명 이상 증가한 것이라고 예일대는 밝혔다. 내년 가을학기 예일대 SCEA는 지난 11월1일 원서 접수를 마감했다. SCEA는 합격해도 등록할 의무가 없다. 합격하면 내셔널 디시전 데이라고 불리는 내년 5월1일까지 등록여부를 학교에 알리면 된다. 예일대의 SCEA는 다른 탑 대학 조기전형 방식과는 조금 다른 면이 있다. SCEA나 제한적 얼리 액션(REA)을 시행하는 대부분 대학은 조기전형으로 한곳의 사립에만 지원하는 것을 허용하지만 예일대는 얼리 결과가 다음해 1월2일 이후에 나올 경우 얼리 액션(EA), 얼리 디시전(ED) 할 것 없이 다른 사립대학에 지원하는 것을 허용한다. 일반적으로 조기전형 결과는 12월 중순 쯤에 발표된다. 하버드대와 스탠포드대의 경우 REA를 시행하며, 메릿 장학금 신청을 위해 얼리로 지원해야 하는 경우 다른 사립대에 EA로 지원하는 것을 허락한다. ▶문의: (855)466-2783 / www.TheAdmissionMasters.com미국 조기전형 조기전형 지원자수 유학생 지원자수 내국인 지원자수
2024.11.25. 17:16
대부분의 학부모들은 자녀가 대학진학 시 매년 제출해야 하는 재정보조신청서 제출에 매우 민감하다. 재정보조신청서 마감일은 대학별로 다른데 이 부분에 대해 어려워하는 학부모들이 있어서 이해를 돕고자 한다. 우선 제출해야만 하는 재정보조신청서를 구분하는 것이 중요하다. 연방정부 학생 재정보조신청서인 FAFSA(Free Application for Federal Student Aid)는 제출이 국세청(IRS)와 연동되어 비록 간단해 보이지만 실질적인 자료가 대략 130여 개 문항이 자동이체되며 모든 것이 프로세스 되기 전에는 어떠한 정보가 얼마나 넘어왔는지 정확한 확인이 쉽지않다. 그러나, 재정보조 신청시 반드시 필수로 대학들이 요구하는 중요한 신청서이며 연방법이 적용된다. FAFSA는 연방정부와 주정부 보조금을 계산하기 위한 기준이 되므로, 연방정부 제출마감일을 준수하는 것이 중요하다. 예외로 학기 중에라도 영주권이 나온 신분변동이 있는 경우는 마감일이 지나도 무조건 제출해야만 한다. 주로 6월 말일을 마감일로 정하고 있다. 다음해 재정보조를 위한 신청은 연방정부의 일정에 따라 지난해와 올해는 정부발표로 지연되고 바뀌고 있어 반드시 FAFSA신청서 웹사이트 접속해 마감일을 확인해야만 한다. 주정부 마감일은 재학 또는 지원하는 대학이 어느 주에 위치하고 있을지 여부에 따라 다르다. 주정부 마감일을 놓치면 해당 주에 거주민 학생은 주정부 보조금을 지원받을 수가 없다. 무엇보다 대학별로 정하고 있는 자체 마감일의 경우 모든 마감일자보다 우선한다는 점에서 대부분의 재정보조의 구성이 대학자체의 기금으로 편성된 사립대학들의 경우 이러한 우선마감일자를 중시하므로 반드시 지키는 것이 추천된다. 따라서 이를 Priority Deadline이라고 부르며 이러한 우선마감일은 상황에 따라 차이가 있다. 제일 빠른 우선마감일은 조기전형하는 학생의 경우고 일반전형하는 학생들은 마감일이 조금 늦으며 재학생의 우선 마감일자가 그 이후라고 보면 된다. 그러나, 조기전형의 경우 대부분 FAFSA의 신청이 시작되는 시기에 우선마감일자가 정해지는 경우가 많고 동시에 추가로 요구하고 있는 칼리지보드를 통해 제출하는 C.S.S. Profile의 마감일자와 동일하게 요구하는 경우가 대부분인 것을 알 수가 있다. 따라서, 각 대학별로 재정보조 사이트에 접속해 이를 정확히 구분해 신청서가 늦게 제출되지 않도록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마감일들은 신입생의 경우에 대학을 많이 지원할 경우에 별도의 표를 만들어 관리를 하면 편리하다. 하지만 제출된 신청서의 검증을 요구하게 되므로 만약, IDOC에 가입된 대학들의 경우에 검증서류들을 실수가 없이 제출하는 것도 중요한 문제임을 감안하기 바란다. 이러한 신청서의 제출마감일을 지키는 일은 중요한 이슈가 되지만 무엇보다 재정보조를 잘 지원받기 위해서는 신청서에 기입하는 정보가 더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신청서 제출은 검토를 위한 서류지만 기재내용으로 재정보조금 지원이 계산되므로 실질적인 재정보조 마감일은 사전준비를 언제 마칠 수 있는지 여부를 마감일과 같이 생각하는 것이 더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고 하겠다. 따라서, 입학시즌을 맞아 준비에 철저히 대비하고 신청서 제출에 따른 실수가 없도록 만전을 기해야만 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재정보조 공식과 SAI 적용범위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이해가 반드시 동반해야 한다는 점도 유의해야만 할 것이다. ▶문의:(301)219-3719 [email protected] 리처드 명 대표 / AGM 인스티튜트재정보조 조기전형 재정보조 신청서 재정보조 마감일 연방정부 제출마감일
2024.10.20. 18:00
2024~2025학년도 아이비리그 대학 입학 조기전형 지원자가 꾸준히 늘어난 반면 합격률은 여전히 낮은 수준에 머물렀다. 특히 올해 조기 전형 입학 결과는 지난 여름 연방대법원이 소수계 우대 대학 입학제도인 ‘어퍼머티브 액션’(Affirmative Action) 위헌 판결을 낸 후 나온 첫 번째 결과라 더욱 이목을 끈다. 먼저 하버드대는 올해 총 7921명이 조기전형에 지원해 692명이 합격통보를 받았다. 합격률은 8.74%로 7.56%를 기록한 작년 대비 늘어난 수준이었다. 전년도에는 9553명이 조기전형에 지원해 722명이 합격통보를 받았다. 반면 예일대의 조기 전형 합격률은 최저 수준을 기록했다. 예일대는 7856명이 지원해 709명이 합격 통보를 받았다. 합격률은 9.02%로 전년도 10% 대비 0.88%포인트 하락했다. 이는 지난 20년 간 합격률 중 가장 낮은 수치다. 펜실베이니아대(유펜)는 올해 조기전형 지원자가 8500명 이상을 기록했다고만 밝혔다. 지난해 8000명 넘는 학생이 조기 전형에 지원했다고 발표한 것으로 봤을 때, 전년 대비 지원자가 늘어난 것으로 보인다. 유펜은 지난해부터 조기전형 및 정시 합격률 통계를 공개하지 않고 있다. 컬럼비아대 역시 조기전형에 6009명이 몰렸다고 밝히면서 합격자 수는 공개하지 않았다. 컬럼비아대의 지원자 수는 작년 5738명에 비해 늘어난 것으로 파악됐다. 포브스는 이에 대해 “작년에 비해 지원자 수가 증가하며 합격자 수를 공개하지 않은 학교의 합격률도 지난해 대비 떨어졌을 가능성이 높다”고 예측했다. 브라운대학교의 합격률은 14.4%로, 6244명이 지원해 898명이 합격했다. 이는 지난해(12.98%) 대비 1.42%포인트 증가한 수치로, 브라운대 역사상 두 번째로 높은 합격률이다. 팬데믹 이후 많은 대학들이 대학입학자격시험(SAT)과 대학입학학력고사(ACT)를 지원요건에서 제외하면서, 학생들이 “한번 넣어나 보자”는 마음으로 지원하는 것이 조기전형 지원 증가에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된다. 윤지혜 기자 [email protected]조기전형 지원자 지원자 증가세 조기전형 지원 입학 조기전형
2023.12.15. 21:06
많은 대학에서 SAT 점수 제출 의무화를 폐지함에 따라, 대학 조기전형 지원자가 급증한 것으로 파악됐다. 16일 교육전문매체 인사이드하이어에드(IHE)가 공통지원서(Common App·커먼앱)의 통계자료를 입수해 보도한 데 따르면, 명문 대학 조기전형 지원 마감일인 11월 1일까지 공통지원서에 접수된 2024~2025학년도 대입 지원서는 2019~2020학년도보다 41% 증가했다. 대부분 대학이 11월 1일 조기전형 접수를 마감하기 때문에, 조기전형 지원자가 크게 늘어났다고 볼 수 있다. 특히 소수계 학생 지원자 수는 67% 증가했는데, 전문가들은 이에 대해 “연방대법원이 소수계 우대 대학 입학제도인 ‘어퍼머티브 액션’(Affirmative Action) 위헌 판결을 냈음에도 조기전형에 지원한 소수계 지원자가 늘어난 것이 인상적”이라고 평가했다. 소득별로 보면, 저소득층 지역 학생들의 증가율이 돋보였다. 저소득층 지역 고등학생들의 지원 건수는 팬데믹 이전인 2019~2020학년도보다 52% 늘었고, 부유층 지역 학생들의 증가율은 32%에 그쳤다. 최근 몇 년 동안 조기전형의 인기가 높아진 데다, 조기전형 옵션을 제공하는 대학 수가 크게 늘어난 것도 한몫했다. 대입 경쟁률이 더 치열해지고 입학에 대한 학생들의 불안감이 커지면서 더 높은 합격률을 기대할 수 있는 조기전형을 선택하는 수험생이 늘어났기 때문이다. 또 팬데믹 이후 많은 대학들이 대학입학자격시험(SAT)과 대학입학학력고사(ACT)를 지원요건에서 제외하면서, 학생들이 “한번 넣어나 보자”는 마음으로 지원하는 것이 조기전형 지원 증가에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된다. 마크 프리먼 커먼앱 데이터 분석 및 연구 담당자는 “학생들이 정규 결정 과정에 앞서 합격 통지를 받는 대가로 매우 선별적인 일부 대학에 조기 지원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얼리 액션(EA·early-action)’ 지원 건수가 가장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고 전했다. 조기전형은 크게 얼리디시전(Early Decision.ED)과 얼리 액션으로 나뉘는데, 얼리 디시전의 경우 합격하면 다른 대학의 진학 기회를 포기해야 한다. 커먼앱 데이터에 따르면, EA와 ED 1차 지원자는 2019년 이후 38% 증가했으며 2차 지원자는 90% 증가했다. 윤지혜 기자조기전형 지원자 조기전형 지원자 대학 조기전형 소수계 지원자
2023.11.17. 21:08
명문대 입학 경쟁이 치열해진 것은 누구나 다 아는 사실이다. 대학 입시생은 대학 방문, 에세이와 이력서 작성 등 지원서 준비를 시작하기 위해 시간을 현명하게 활용해야 한다. 지난 3월 컬럼비아대는 아이비리그 대학 중 최초로 표준시험 점수 제출 옵셔널 제도를 영구적으로 도입한다고 발표했다. 이 대학은 전국의 다른 1800개 학교처럼 지원서와 함께 SAT 또는 ACT 점수를 제출하는 것을 학생이 선택할 수 있도록 했다. UC계열대, 칼텍 등은 ‘테스트 블라인드’ 정책을 채택해 학생이 시험 점수를 제출하더라도 검토 과정에서 이를 고려하지 않는다. 지원 대학 리스트를 확정할 때 시험점수 제출 관련 정책과 그 기간이 얼마나 연장되었는지 확인해야 한다. 예를 들어 존스홉킨스대는 2025~2026학년도까지 이 정책을 유지할 예정이지만, 미시간대는 2023~2024학년도까지만 테스트 옵셔널 정책을 유지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반면 MIT는 이미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동안 중단했던 모든 지원자에 대한 SAT/ACT 점수 제출을 다시 의무화했다. 대학 지원자 규모는 전반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공통지원서(Common Application, 커먼 앱)에 따르면 총 지원자 규모는 2019~2020학년도보다 2022~2023학년도에 30% 증가했다. 더 많은 학생들이 대학에 지원하고 있으며, 이들은 평균적으로 더 많은 학교에 지원하고 있다. 예를 들어, 올해 뉴욕대(NYU)의 신입생 지원자 수는 약 12만 명으로 지난해보다 13% 증가했으며, 조지아대의 지원자 수는 4만3700여 명으로 10% 더 늘었다. 그래서 합격자는 누구였을까. 뉴욕대는 12만 명의 지원자 중 8%만 합격한 반면, 조지아대는 약 35%가 합격했다. 다양한 조기전형 제도를 통해 대학에 지원하는 것은 현재 인기가 높은 입시 방법이다. 이러한 제도는 학생들의 합격률을 높이는 경향이 있는데 일반적으로 합격한 대학에 꼭 진학해야 하는 얼리 디시전(ED)이 가장 큰 이점을 제공한다. 뉴욕대는 이전보다 14% 증가한 2만2000명의 ED 지원자를 받았으며, 노스캐롤라이나대의 조기전형 지원자는 10% 증가한 3만8650명에 육박했다. 일반적으로 조기전형의 합격률이 더 높지만, 이러한 옵션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이점은 감소하기도 한다. 이 때문에 현실적인 기대치를 갖는 것이 중요하다. ED의 합격률이 더 높다고 해서 반드시 합격 가능성이 더 높다는 의미는 아니다. 경쟁력을 갖춘 지원자가 아니라면 합격할 확률이 올라가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 대학 입시에서 ‘레거시’는 그 대학 졸업생의 자녀에게 특혜를 주는 전형이다. 영국 일간 가디언에 따르면 이러한 정책은 백인 부유층 학생에게 유리한 경향이 있으며, 경쟁이 치열한 미국 대학 중 상당수가 2020년 현재까지도 입학 과정에서 레거시 학생을 고려하고 있다. 그러나 2019년 일명 ‘바서티 블루스 대입 스캔들’과 하버드대, 노스캐롤라이나대 같은 명문대를 상대로 제기된 어퍼머티브 액션 소송 이후 레거시 정책은 입학 결정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줄어들고 있다. 코넬대와 앰허스트 칼리지는 레거시 학생이 우대받지 못하는 대표적인 학교들로 통한다. 직접 의학 프로그램이라고도 하는 학사/석사 프로그램은 의학에 관심 있는 학생이 학부와 의대에 동시에 지원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다. 프로그램에 합격하면 파트너 의대에 입학이 보장된다. 이러한 프로그램은 항상 경쟁이 심했는데 특히 지난 몇 년 동안 경쟁이 더욱 치열해졌다. 브라운대의 리버럴 의학교육 프로그램의 경우 2022~2023학년도에 4192명이 지원했고, 2021~2022년에는 3827명이 지원했다. 대학 입학은 그 어느 때보다 경쟁이 치열하므로, 자신에게 유리한 정책과 입학경쟁률 등을 고려해 최적의 대학을 찾기 위해 현명하게 여름방학을 보내야 한다. 지난 학년도의 트렌드를 살펴봄으로써 이번 학년도를 준비할 수 있는 정보로 무장할 수 있다. ▶문의:(855)466-2783 www.theadmissionmasters.com 빈센트 김 카운슬러 / 어드미션 매스터즈시험점수 조기전형 조기전형 지원자 대학 지원자 시험점수 제출
2023.07.30. 18:34
2023~2024학년도 아이비리그 대학 입학 조기전형 지원자가 지난해에 이어 역대 최다 수준을 유지한 반면 합격률은 여전히 역대 최저 수준에 머물렀다. 하버드대는 올해 총 9553명이 조기전형에 지원해 722명이 합격통보를 받았다. 합격률은 7.56%로 역대 최저를 기록한 2년 전에 이어 두 번째로 낮았다. 전년도에는 9406명이 조기전형에 지원해 740명이 합격통보를 받았다. 예일대는 7744명이 지원해 776명이 합격 통보를 받았다. 합격률은 10%로 전년도 10.9% 대비 0.9%포인트 하락했다. 다트머스대도 조기전형에 3009명이 지원해 578명만 합격했다. 합격률은 19.21%로 전년도 20.1% 대비 소폭 하락했다. 매년 조기전형 및 정시 합격률 통계를 공개해오던 펜실베이니아대(유펜)는 올해 조기전형 지원자가 8000명 이상을 기록했다고만 밝혔다. 유펜은 앞으로 조기전형 및 정시 합격률 통계를 공개하지 않을 예정이다. 컬럼비아대 역시 조기전형에 5738명이 몰렸다고 밝히면서 합격자 수는 공개하지 않았다. 코넬대와 프리슨턴대는 각각 지난 15일 지원자들에게 합격을 통보했지만, 지원자·합격자수·합격률 통계 등은 공개하지 않았다. 브라운대는 20일 오후 7시(동부시간) 조기전형 합격자를 발표할 예정이다. 한편, 대입 경쟁률이 더 치열해지고 학생들의 입학에 대한 불안감이 커지면서 더 높은 합격률을 기대할 수 있는 조기전형을 선택하는 수험생이 늘면서, 조기전형에 대한 경쟁률이 치열해지자 합격률은 떨어지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또 코로나19 팬데믹으로 각 학교가 대학입학자격시험(SAT)과 대학입학학력고사(ACT)를 지원요건에서 제외하기로 하면서 학생들이 너 나할 것 없이 “한번 넣어나 보자”는 식으로 지원하고 있어 입시 경쟁이 더 치열해지고 있다고 풀이된다. 심종민 기자조기전형 아이비리그 조기전형 지원 입학 조기전형 조기전형 합격자
2022.12.18. 18:49
▶문= 얼리 디시전(ED)으로 두 개 대학에 동시지원이 가능한가? ▶답= 불가능하다. ED 한 곳과 얼리 액션(EA) 여러 곳 지원은 가능하다. 또한 ED로 한 곳 이상의 대학에 지원하면 '제한적 얼리 액션'(REA)은 단 한 곳도 지원할 수 없다. 하버드대 예일대 프린스턴대 스탠포드대 등이 REA를 시행하는 대표적인 대학들이다. ▶문= 커먼앱을 통해 ED2 원서를 ED1 원서 마감일 전에 접수할 수 있는가? ▶답= 접수할 수 있다. 그러나 ED2 원서를 일찍 접수하는 것에 대한 베네핏은 전혀 없다. 마감일 전에 대학들이 원서를 들여다보지 않기 때문이다. ED1 마감일은 11월15일이고 ED2 마감일은 내년 1월15일이라면 ED2 원서를 11월15일 전에 접수하는 게 아무 의미가 없다는 얘기다. 학생이 한 대학에 ED1으로 지원한 후 12월 중순께 불합격이나 보류(defer) 통보를 받을 경우 다른 대학에 ED2로 지원할 것을 권한다. ▶문= UC계열대학 원서 마감일은 11월30일이다. UC원서 마감일과 사립대 EA ED 지원은 어떤 관계가 있는가? ▶답= UC는 조기전형 제도를 시행하지 않는다. 11월30일이 정시지원(RD) 마감일이라고 이해하면 된다. 또한 UC는 공립대이기 때문에 사립대 조기전형과는 아무 상관이 없다. UC에 원서를 넣으면서 조기전형으로 사립대에 자유롭게 지원할 수 있다. 다만 4개의 UC에세이 조기전형으로 지원하는 사립대 추가에 세이 커먼앱 메인 에세이를 거의 동시에 작성해야 하기 때문에 학생 입장에서 시간 관리를 잘 해야 한다. ▶문= EA로 세이프티 스쿨에 지원하는 것이 현명한가? ▶답= 세이프티 스쿨은 학생이 합격할 가능성이 높은 학교를 말한다. 따라서 세이프티 스쿨은 RD로 지원하는 게 더 나은 선택이다. 하지만 대학이 제공하는 메릿 장학금에 도전하고 싶다면 EA로 세이프티 스쿨이 지원하는 것이 현명한 방법이다. ▶문= 조기전형에서 대학들이 지역별로 원서를 심사하는가? ▶답= 그렇다. 만약 가주에서 뛰어난 지원자들이 조기전형을 통해 특정 대학에 대거 지원할 경우 예상했던 것보다 더 많은 가주학생들이 합격통보를 받을 것이다. 이 경우 가주학생이 같은 대학에 RD로 지원할 경우 다소 불리한 위치에 놓이게 된다. ▶문의: (855)466-2783 지나김 대표미국 조기전형 uc원서 마감일 조기전형 입시 사립대 조기전형
2022.10.12. 17:48
▶문= 2023년 가을학기 조기전형 입시와 관련, 학생 및 부모들이 가장 궁금해하는 것은 무엇일까? ▶답= 가장 자주 등장하는 질문들을 문답식으로 정리한다. ----얼리 디시전(ED)으로 두 개 대학에 동시지원이 가능한가? ED로 두 개 이상의 대학에 동시 지원은 불가능하다. ED 한 곳과 얼리 액션(EA) 여러 곳 지원은 가능하다. 또한 ED로 한 곳 이상의 대학에 지원하면 ‘제한적 얼리 액션’(REA)은 단 한 곳도 지원할 수 없다. 하버드대, 예일대, 프린스턴대, 스탠포드대 등이 REA를 시행하는 대표적인 대학들이다. -----커먼앱을 통해 ED2 원서를 ED1 원서 마감일 전에 접수할 수 있는가? 접수할 수 있다. 그러나 ED2 원서를 일찍 접수하는 것에 대한 베네핏은 전혀 없다. 마감일 전에 대학들이 원서를 들여다보지 않기 때문이다. ED1 마감일은 11월15일이고, ED2 마감일은 내년 1월15일이라면 ED2 원서를 11월15일 전에 접수하는 게 아무 의미가 없다는 얘기다. 학생이 한 대학에 ED1으로 지원한 후 12월 중순께 불합격이나 보류(defer) 통보를 받을 경우 다른 대학에 ED2로 지원할 것을 권한다. -----UC계열대학 원서 마감일은 11월30일이다. UC원서 마감일과 사립대 EA, ED 지원은 어떤 관계가 있는가? UC는 조기전형 제도를 시행하지 않는다. 11월30일이 정시지원(RD) 마감일이라고 이해하면 된다. 가장 자주 등장하는 질문들을 문답식으로 정리한다.또한 UC는 공립대이기 때문에 사립대 조기전형과는 아무 상관이 없다. UC에 원서를 넣으면서 조기전형으로 사립대에 자유롭게 지원할 수 있다. 다만 4개의 UC에세이, 조기전형으로 지원하는 사립대 추가에 세이, 커먼앱 메인 에세이를 거의 동시에 작성해야 하기 때문에 학생 입장에서 시간 관리를 잘 해야 한다. UC의 경우 SAT∙ACT점수를 입학사정에서 고려하지 않기 때문에 에세이 비중이 과거보다 커졌다는 사실을 명심해야 한다. -----EA로 세이프티 스쿨에 지원하는 것이 현명한가? 세이프티 스쿨은 학생이 합격할 가능성이 높은 학교를 말한다. 따라서 세이프티 스쿨은 RD로 지원하는 게 더 나은 선택이다. 하지만 대학이 제공하는 메릿 장학금에 도전하고 싶다면 EA로 세이프티 스쿨이 지원하는 것이 현명한 방법이다. -----조기전형에서 대학들이 지역별로 원서를 심사하는가? 그렇다. 만약 가주에서 뛰어난 지원자들이 조기전형을 통해 특정 대학에 대거 지원할 경우 예상했던 것보다 더 많은 가주학생들이 합격통보를 받을 것이다. 이 경우 가주학생이 같은 대학에 RD로 지원할 경우 다소 불리한 위치에 놓이게 된다. ▶문의: (855)466-2783미국 조기전형 uc원서 마감일 uc에세이 조기전형 사립대 조기전형
2022.10.11. 16:06
▶문= 2023년 가을학기 사립대 조기전형 마감일이 약 3개월 앞으로 다가왔다. 조기전형을 심각하게 고려 중인 학생들이 알아야 할 사항들은 무엇인가? ▶답= 라이징 시니어들은 12학년 가을학기 개학이 얼마 남지 않았다. 이 시점에서 사립대 조기전형 전략을 다듬을 필요가 있다. 지난 수년간 조기전형으로 대학에 지원하는 것은 인기 트렌드로 자리매김 했다. 조기전형으로 대학에 지원하느냐 마느냐는 전적으로 학생 본인의 선택에 달려 있다. 조기전형은 여러 대학에 지원이 가능한 얼리 액션(EA), 한 곳의 사립대에만 지원할 수 있지만 EA로는 여러 대학에 지원할 수 있는 얼리 디시전(ED), 한 곳의 사립대만 지원할 수 있는 싱글 초이스 얼리 액션(SCEA) 등 3가지로 나뉜다. EA와 SCEA는 합격해도 등록할 의무가 없지만 ED의 경우 합격하면 그 대학에 진학해야 할 의무가 있기 때문에 ED로 지원한 후 합격하면 다른 대학에 제출한 원서를 모두 철회해야 한다. 조기전형의 가장 큰 장점은 정시지원(RD)보다 합격률이 높다는 것이다. 따라서 대부분의 학생들은 조기전형으로 ‘드림스쿨’의 문을 두드린다. EA, ED(ED1과 ED2로 나뉘는 대학들도 있음), SCEA로 지원하면 보통 12월 중순 이전에 결과를 통보 받기 때문에 드림스쿨에 합격할 경우 해가 바뀌기 전에 입시를 끝낼 수 있다. ED 지원자의 경우 더욱 그렇다. 이 경우 학생은 12학년 봄학기에 학업에만 집중할 수 있으며, 고교 생활을 마무리하고 여유 있게 대학으로 전환을 준비할 수 있다. 조기전형은 단점도 있다. 원서 마감일이 11월1일 또는 15일이라 가을학기 도중 학업, 과외활동, 대학입시를 병행해야 한다. ‘12학년이 되면 몸이 파김치가 된다’는 말이 괜히 있는 게 아니다. 명문대 일수록 조기전형 지원자들은 매우 강력한 스펙을 보유하고 있다. RD보다 더 강한 경쟁자들과 겨뤄야 하기 때문에 원서 준비에 심혈을 기울여야 한다. 조기전형으로 합격할 경우 대학 입학사무처는 학생이 실제로 등록의사를 표명할 때까지 적극적인 구애작업을 벌인다. 일부 학생들은 해당 대학과 사랑에 빠져 입시 과정에서 많은 기회가 온다는 점을 망각하기도 한다. 따라서 조기전형, 특히 ED 대학은 신중하게 선정해야 한다. 조기전형은 양면이 있는 동전과도 같다. 내가 원하는 것과 필요한 것을 꼼꼼히 따져본 후 조기전형 대학을 선택해야 후회하지 않을 것이다. ▶문의: (855 )466-2783 www. Theadmissionmasters.com미국 조기전형 조기전형 대학 조기전형 지원자들 과외활동 대학입시
2022.08.05. 15:38
2022~2023학년도 아이비리그 대학 입학 조기전형 지원자가 지난해에 이어 역대 최다 수준을 유지한 반면 합격률은 여전히 역대 최저 수준에 머물렀다. 하버드대는 올해 총 9406명이 조기전형에 지원해 740명이 합격통보를 받았다. 합격률은 7.9%로 역대 최저를 기록한 전년도의 합격률 7.4%에 이어 두 번째로 낮았다. 예일대는 7288이 지원해 800명이 합격 통보를 받았다. 합격률은 10.9%로 전년도 10.5% 대비 소폭 상승했다. 펜실베이니아대(유펜)도 전체 조기전형 지원자 7795명 중 15.6%인 1218명이 합격했다. 브라운대는 이번에 조기전형 합격률 14.6%를 기록했는데, 대학에 따르면 이는 역대 최저치다. 총 6146명 중 896명이 뽑혔다. 다트머스대도 조기전형에 지원한 2633명 중 530명만 합격해 합격률이 전년도 21.2%보다 1.1%포인트 떨어진 20.1%를 기록했다. 컬럼비아대는 조기전형에 지원자가 6305명이 몰렸다. 코넬대도 9500명이 지원했다고 밝혔다. 프린스턴대도 지난 16일 지원자들에게 합격을 통보했지만, 앞으로 조기전형 및 정시 합격률 통계를 공개하지 않겠다고 발표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대입 경쟁률이 더 치열해지고 학생들의 입학에 대한 불안감이 커지면서 더 높은 합격률을 기대할 수 있는 조기전형을 선택하는 수험생이 늘고 있다고 지적했다. 코로나19 팬데믹으로 각 학교가 대학입학자격시험(SAT)과 대학입학학력고사(ACT)를 지원요건에서 제외하기로 하면서 학생들이 너나할 것 없이 “한번 넣어나 보자”는 식으로 지원하고 있어 입시 경쟁이 더 치열해지고 있는 가운데, 하루라도 빨리 대입 스트레스에서 벗어나고 합격률이 더 높은 조기전형에 기대를 거는 학생들이 많아지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심종민 기자아이비리그 조기전형 조기전형 합격률 아이비리그 조기전형 역대최저 수준
2021.12.20. 18: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