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최신기사

[열린광장] 조동진, 가을의 길목에서 다시 만나다

'여름은 벌써 가버렸나/ 거리엔 어느새 서늘한 바람/ 계절은 이렇게 쉽게 오고 가는데/ 우린 또 얼마나 어렵게 사랑해야 하는지/ 나뭇잎 사이로 여린 별 하나/ 그 별빛 아래로 너의 작은 꿈이.'   계절은 가을로 가고 있다. 가을이 되면서 더욱 생각나는 조동진의 명곡 '나뭇잎 사이로'의 가사다.   우리 시대의 음유시인이자 '얼굴 없는 가수'의 효시였던 그는 1978년 첫 앨범 '행복한 사람'으로 대중에게 이름을 알렸다. 그리고 1980년 발표한 2집 앨범의 '나뭇잎 사이로'가 밀리언셀러를 기록하며 1980년대 언더그라운드 음악의 상징적 존재가 되었다.   서른을 넘어 뒤늦게 솔로로 데뷔했지만, 그는 평생 여섯 장의 앨범만으로 한국 대중음악사에 굵직한 족적을 남겼다. 특히 그의 1집 앨범은 '한국대중음악 100대 명반'에 선정되기도 했다. 미국에 밥 딜런이 있다면 한국에는 조동진이 있다고 할 만큼, 그는 계절의 변화와 삶의 진리를 주옥같은 노랫말에 담아냈다. '제비꽃', '겨울비', '진눈깨비', '빗소리' '달빛 아래서', '해 저무는 공원', '배 떠나네' 등 자연을 소재로 한 그의 노래들은 계절과 시간, 그리고 우리들의 인생과 사랑을 깊이 있게 담아냈다.   그를 기억하는 이들은 낮은 목소리, 느린 걸음걸이, 깊은 눈빛, 그리고 맑고 청아한 통기타 선율을 떠올린다. 그를 추억하자면 밤을 새워도 모자랄 정도다.   그가 세상을 떠난 지 벌써 8년이 지났다. 끝내 이루지 못했던 LA 단독 콘서트의 꿈을 추모 콘서트로라도 대신하고 싶었다.     지난 12일 가을의 문턱에서 그를 추억하는 많은 이들이 LA에서 모였다. 와인 한 잔을 기울이며 음악을 이야기하고, 이민 생활의 고단함을 서로에게 털어놓는 동안, 그의 노래는 마치 그가 우리 곁에 다가와 나지막하게 말을 건네는 듯했다.     한밤의 선율은 공연장 안 모두의 마음을 하나로 모았다. 팝 피아니스트 김영균, 플루트와 색소포니스트 주훈, 트럼펫 연주자 강진한, 드러머 듀크 김, 보컬 겸 기타리스트 박강서, 그리고 주성까지, '음악'이라는 공통분모로 뭉친 이들의 앙상블은 조동진의 '제비꽃'에서 절정에 달했다.   조동진이 서른여덟이 되어서야 세상에 내놓았다는 '제비꽃'은 인간의 성장에 대한 깊은 성찰을 담고 있다. '아주 한밤중에도 깨어 있고 싶다'는 노랫말처럼, 사람에 대한 그의 깊은 애착은 공연장을 찾은 모두에게 울림으로 다가왔다. 이날 공연에는 조동진이 음악의 꿈을 키웠던 7인조 재즈 록 밴드 '쉐그린'의 멤버 이태원과 전언수까지 서울과 뉴욕에서 날아와 그 의미를 더했다.   가수는 자신이 부른 노래처럼 그 인생이 흘러간다고 했던가. 불후의 명곡 '행복한 사람'을 모두가 떼창을 하는 그 순간 영상 속 그의 모습은 더 없이 행복해 보였다.   그렇게 가을의 한 페이지는 조동진의 음악과 함께 아름다운 추억으로 또 넘어가고 있다.     이광진 / 문화기획사 에이콤 대표열린광장 조동진 가을 조동진 가을 한국 대중음악사 언더그라운드 음악

2025.09.21. 19:00

썸네일

조동진 8주기 추모 콘서트…12일 가든스위트호텔에서

한국 포크 음악의 거장 고(故) 조동진을 기리는 8주기 추모 콘서트가 오는 12일 오후 6시, LA 한인타운 가든 스위트 호텔 2층 뱅킷 홀에서 열린다.   이번 행사는 문화기획사 에이콤(대표 이광진)이 주관하며, 특별 초청 가수 쉐그린(이태원, 전언수)을 비롯해 한인 사회 음악인들이 무대에 오른다.     출연자는 ▶김영균(팝 피아니스트) ▶주훈(색소폰) ▶강진한(트럼펫) ▶에스더 민(바이올린) ▶박강서(보컬·기타) ▶주성(보컬·기타) 등이며, 사회는 한미옥 씨가 맡는다.   콘서트는 한인 문화예술인과 조동진 음악을 사랑하는 팬들을 위한 자리로, 참가비는 무료다.     현장에서는 와인과 간단한 식사가 제공되며, 참석을 원하는 이는 사전 예약이 필요하다.   ▶예약: (213) 215-3063가든스위트호텔 조동진 추모 콘서트 조동진 음악 한인 문화예술인

2025.09.02. 18:36

[열린광장] ‘행복한 사람’ 조동진, LA에 남긴 노래

대한민국 60년 포크 음악사에서 어쿠스틱 기타에 본인의 곡을 직접 작사 작곡하여 활동한 포크 1세대 싱어송라이터들은 서유석, 송창식, 윤형주, 이장희, 조동진, 김민기, 한대수, 양병집, 이필원, 백영규, 정태춘, 방의경 등을 이야기할 수 있다. 그중에서도 80년대부터 2000년대 포크 팝 음악의 중심에는 언제나 조동진이 수장으로 포크 음악계를 이끌었다.   조동진은 계절과 사람, 자연을 배경으로 노래한 한국 언더그라운드 음악의 대부라 할 수 있다. 한 편의 서정시를 읊조리듯 나지막한 목소리와 노랫말, 잔잔한 선율은 그 당시 시대의 유감을 노래에 담아 표현한 가수들과는 달랐다.     그가 남긴 주옥같은 노래들만 살펴보더라도 알 수 있다. ‘행복한 사람’, ‘나뭇잎 사이로’, ‘작은 배’, ‘배 떠나가네’ 등 60여 곡에서는 한결같이 높은 문학성과 대중성을 찾아볼 수 있다.   문학평론가 함동균은 “미국에 노벨문학상 수상 가수 밥 딜런이 있다면 한국에는 조동진이 있다”라고 말할 정도로 조동진 음악의 문학적 가치를 높이 평가했다.     그의 음악에서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받은 후배 뮤지션 들도 여럿이 있다. 시인과 촌장, 한동준, 유희열, 김광석, 김현철, 김광진, 조동익, 장필순, 이규호, 고찬영 등인데 그들은 지금도 추모 음악회를 통해 조동진의 음악을 기리고 음악적 유산을 이어나가고 있다.   조동진과 LA한인들의 첫 만남은 언제였을까. 1985년 3가와 라브레아 코너에 가수 이장희가 운영하던 붉은벽돌 카페 ‘로즈가든’ 콘서트가 만남의 시작이었다. 그리고 그 다음해, 1986년 추억의 열기로 가득 찬 헐리트론 포크 페스티벌이 열렸던 슈라인 오디토리엄 무대에서 조영남, 송창식, 윤형주, 이장희, 김세환, 이종용, 양희은과 함께 무대에서 노래했다. 또 1994년 그가 음악 총감독으로 기획, 연출해 ‘제2의 대학 가요제’라 불린 ‘아남 델타 가요제’ 미주 예선 대회도 있었다.     그 이후 7080 열풍이 본격적으로 불기 시작한 지난 2000년대 중반부터 조동진 단독 콘서트를 여러 번 기획하고 섭외했지만 이뤄지지 못했다. 갑자기 찾아온 병으로 제주도 생활이 장기화되면서였다. 결국 LA 단독 콘서트의 꿈은 이루지 못한 채 그는 나뭇잎 사이로 우리 곁을 떠났다.   올해는 조동진이 세상을 떠난 지 8주년이다. LA에도 그의 음악을 사랑하고 그리워하는 뮤지션들과 팬들이 많다. 그리고 조동진과 학창 시절을 같이 보낸 대광고등학교 18회 동기동창들도 20여 명이 넘는다고 한다.   돌아오는 9월, 가을이 스밀 때 소규모라도 아름다운 추모 음악회를 마련해 보고 싶다. 이광진 / 문화기획사 에이콤 대표열린광장 조동진 행복 조동진 음악 이장희 조동진 포크 음악사

2025.06.25. 19:16

썸네일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