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주중앙일보

광고닫기

전체

최신기사

구조견 수송하던 한인 조종사 사망

강아지 구조에 나섰던 한인 조종사가 비행기 추락으로 사망했다.   27일 뉴욕주 그린카운티 셰리프국·ASN에 따르면, 버지니아주 스프링필드에 거주하던 한인 조종사 석 김(Seuk Kim·49) 씨가 지난 24일 경비행기 ‘Mooney M20J(1986)’에 구조한 강아지 3마리를 태우고 눈쌓인 뉴욕주 캐츠킬 산을 지나다 윈덤타운에 추락했다.   이 사고로 김 씨와 강아지 한 마리(리사)가 사망했고, 다리 골절 등 상대적으로 경미한 부상을 입은 래브라도 믹스견 위스키(4개월)·요크셔테리어 플루토(18개월)는 회복중이다.   비영리 동물 셸터 ‘포에버 체인지드 애니멀 레스큐’는 김씨가 셸터 프로그램인 ‘파일럿 앤 포우즈’에 참여하던 자원봉사자라고 밝혔다.     이 프로그램은 자원봉사 파일럿이 동물을 구조하는 활동이다. 단체는 그가 다른 파일럿들이 꺼리는 대형견이나 고양이 이송 임무에 늘 나섰다고 애도했다.   홍보 마케팅 분야서 근무하던 김씨는 어린 시절 꿈인 파일럿을 포기하지 못하고 결국 관련 직업을 얻은 뒤, 지금으로부터 4년 전 이 프로그램에 참여했다.  사고 당일에도 구조견을 태워 메릴랜드에서 올바니로 향하던 김씨는 오후 6시 10분께 올바니로부터 남서쪽으로 35마일가량 떨어져 있는 윈덤타운에 추락했다.   연방항공청(FAA)과 연방교통안전위원회(NTSB)가 사고를 조사중이며, 셰리프국은 사고 당일 시야 확보가 어려워 고도 조절이 어려웠을 것이라고 추측했다.   한편 사촌 크리스틴 김 씨는 에버러브드(everloved.com/life-of/seuk-kim/)에 모금 페이지를 열었다. 유족으로는 부인과 자녀 3명이 있다.     장례식은 다음달 5일 페어팩스 메모리얼 퓨너럴 홈에서 열리며, 온라인 생중계될 예정이다. 강민혜 기자 [email protected]구조견 조종사 한인 조종사 강아지 구조 자원봉사 파일럿

2024.11.28. 18:47

썸네일

[디지털 세상 읽기] AI 전투기 조종사가 온다

미국의 방위고등연구국(DARPA)은 최근 AI가 조종하도록 개조된 F-16 전투기가 인간 조종사가 모는 전투기와 모의 공중전을 벌이는 테스트를 진행했다고 발표했다.     하지만 실제 항공기가 아닌 시뮬레이션을 통한 가상 대결에서는 AI가 인간 조종사를 이긴다는 결과가 이미 2020년에 나왔다. 이번 테스트는 물리적인 비행에서도 같은 결과를 재현할 수 있는지 확인하는 절차였고, 개조한 AI 전투기는 만일의 사태에 대비해서 인간 조종사 두 명이 탑승해있었지만, 실제 조종은 하지 않았다고 한다.   인간과 AI 조종사 중 어느 쪽이 공중전에서 승리했는지는 발표하지 않았지만, 테스트가 성공적으로 끝났다면 다음 단계는 아예 인간을 태우지 않는 AI 전용 전투기의 개발이고, 이는 이미 진행 중이다. 전투기를 인간이 조종할 경우 엄청난 중력 가속도를 견뎌야 하기 때문에, AI 조종사는 그런 제한 없이 전투기의 성능을 마음껏 사용하게 해준다.   게다가 군의 관점에서는 전투기 조종사가 부담스러운 이유가 더 있다. 일단 조종사를 양성하는 데 엄청난 시간과 비용이 들어가고, 만약 이들이 실제 전투에서 격추될 경우 구출하는 작전에도 큰 비용과 희생이 따르기 때문에 이를 고려하지 않을 수 없다. 미군은 앞으로 인간 조종사가 전투에 직접 참가하는 대신, 이들에게 여러 대의 드론 전투기를 지휘하는 계획으로 알려져 있다 박상현 / 오터레터 발행인디지털 세상 읽기 전투기 조종사 대의 전투기 ai 전투기 인간 조종사

2024.04.24. 21:18

SD 해병대 항공 기지서 전투기 추락, 조종사 사망

샌디에이고 해병대 기지 인근에서 24일 오후 F-18D 호넷 전투기 한 대가 추락해 조종사가 사망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국방부 관계자에 따르면 사고 전투기는 이날 오후 11시 54분쯤 15번 프리웨이 동쪽 지역에 추락했다.     국방부는 25일 보도자료를 통해 수색구조팀이 현장에 나갔으며 조종사 시신을 수습했다고 발표했다. 이어 사고 지점은 항공기지 동쪽에 위치한 정부 소유 토지이며 사고로 인한 지상 시설에 대한 피해는 없다고 덧붙였다.     사고 전투기는 제2 해병대 항공비행단 부대 소속으로, 이날 미라마 제3 해병대 항공비행단에서 작전을 수행 중이었다. 미라마는 샌디에이고 다운타운에서 10마일 정도 떨어진 곳이다. 장연화 기자 [email protected]해병대 조종사 해병대 항공비행단 추락 조종사 항공기지 동쪽

2023.08.25. 21:59

도로에 불시착 경비행기, 한인이 조종 참극 피했다

지난 9일 코로나 인근 91번 프리웨이에 불시착한 경비행기의 조종사가 한인 앤드류 조 (사진)씨로 밝혀졌다.   NBC와의 인터뷰에서 조씨는 "LA에서 경비행기(파이퍼 PA-32)를 타고 카탈리나 섬으로 갔다가 코로나 시립 공항으로 돌아오던 길이었다"며 "엔진 속도를 늦추려고 했지만 작동이 안 됐다"고 당시 상황을 전했다.   이후, 비행기는 빠르게 고도를 잃고 추락하듯 프리웨이 위로 불시착했다. 이 과정에서 지나던 차량 1대와 충돌했지만 다행히 인명 피해는 발생하지 않았다. 특히 비행기는 불시착한 뒤 불길에 휩싸였지만 조씨와 다른 탑승객은 무사히 탈출했다. 조씨는 "비행기가 통제력을 잃은 후 공항에 정상 착륙할 수 없게 됐다고 판단해 고속도로의 빈 틈을 찾아 비상 착륙했다"고 설명했다.   가주고속도로순찰대(CHP)의 리바이 밀러 캡틴은 "사고 당시 교통이 복잡하지 않아서 천만다행"이라며 "특히 조종사가 현명하게 대처해서 비극을 피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이날 낮 12시 30분쯤 발생한 사고로 91번 프리웨이의 두 차선과 일부 진입로가 오후 7시까지 폐쇄됐다. 한편 연방 항공국(FAA)은 현재 추락 원인에 대해 조사 중이다. 김예진 기자경비행기 조종사 경비행기 추락사고 추락 경비행기 조종사 생사

2022.08.12. 20:48

썸네일

항공 조종사의 꿈은 이루어집니다.한인 운영 M.I.AIR 학교

  한인이 운영하는 ( 피터 김 Chief교관) 남가주 치노에 위치한  M.I.AIR 비행학교가 AOPA에서 선정한 21-22년 Flight Training Experience 우수학교로 선정됐다.      AOPA는 Aircraft Owners & Pilots Association으로 미국에서 가장 큰 항공기 소유주와 조종사들이 모인 1939년에 창설된 비영리 단체다. 현재  40,000명 이상의 조종사와 항공기 소유주가 회원으로 가입되어 있고, 비행 조종 뿐만 아니라 항공 산업에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전달하며 항공  사업에도 영향력을 행사하는 단체다.     AOPA는 21-22년 Flight training을 실시하는  미국 전역의 749의 비행 조종학교와 1,740명의 비행교관이 참여한 Flight Training Experience 평가에서 M.I.Air학교에 에게 높은 점수를 수여하며 21-22년 Training award의 우수학교로 선정했다.       이 수상을 통해 M.I.Air 비행학교는 캘리포니아 뿐만 아니라  미국 전역의 비행학교 중 우수학교로 인정되어 비행 훈련생들의  성공적인 훈련 수료의 목표 달성을 위한 높은 수준의 비행교육을 하는 교육기관으로 인정받게 된 셈이다.     M.I.Air비행학교는는 미국 FAA 141,61과정을 교육하며 외국 유학생들을 위한 비자발급과 Sevis 인증 항공학교로 한국의 아시아나,진에어,티웨이, 제주항공 등 한국 대형 항공사는 물론 미국의 항공사에 취업을 전문으로 하는 최고의 예비 조종사들을 배출한다     M.I.Air 비행학교는 최적의 비행 기상과 조건을 가지고 있으며 1997년 개교 이래 한서대 운항학과와 헬기과,극동대학교 해양경찰 그리고 아시아나 항공 PPP과정 및 티웨이 연계과정 등 여러 기관의 위탁 교육기관으로서의  노하우와  고도의 비행 능력을 갖추는데  최선의 노력을 기울여 왔다.    M.AIR 비행학교의 밀도 높은 교육프로그램을 이수한 훈련생들은  자신이 원하는 항공사로 취업하는 성공적인 성과를 거두고 있고, 미국 항공대학 준비 과정을 통해 성공적인 대학입학의 꿈도 가능케 됐다.    ▶문의 : https://www.miairservices.com/          주소:  7000 Merrill Ave, Chino, CA, 91710  전화: 909-393-7686           https://www.miair.kr/index.php    (한글)           https://m.cafe.naver.com/miair7000      조종사 항공 air 비행학교 인증 항공학교 비행 조종학교

2022.03.04. 15:13

썸네일

전세계 조종사 3분의 1 논다…코로나 3년에도 고용 62%

코로나19 위기 3년차에 접어들었지만 전세계 조종사의 3분의 1 이상은 여전히 일손을 놓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26일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영국의 항공 분야 채용대행업체 ‘구스 리쿠르트먼트’는 자사에 등록된 전세계 조종사 1743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를 이날 항공 정보 사이트인 ‘플라이트 글로벌’에 발표했다.   결과를 보면 전체 응답자 중 현재 비행기를 몰고 있다고 사람은 62%였다. 지난해 조사의 응답률 43%에 비하면 19%포인트 높지만, 아직도 3명 중 1명은 본업을 하지 않고 있다는 말이다.   실직 조종사의 비율은 20%로, 지난해 30%보다는 낮았다. 그러나 2020년 항공기 운항률이 최저치로 떨어졌다 반등하던 때의 실직 비율 17%에 비해서는 여전히 높은 수준이다.   현재 항공기를 몰고 있다고 답한 조종사 중에서도 61%가 실직을 우려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직 조종사 비율은 특히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 높았다. 각국이 국경 봉쇄 등 강력한 방역 조치를 적용하고 있는 영향이다.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실직 조종사 비율은 지난해 23%에서 올해 25%로 올랐다. 비행기를 몰고 있다는 응답률은 53%로 지역별로 볼 때 가장 낮았다.   또 전체 응답자의 55%는 청년들에게 자신의 직업을 권하지 않는다고 했고, 56%는 향후 1년 안에 이직을 고려하고 있다고 밝혔다.   구스 리크루트먼트 측은 “많은 이들에게 상황은 여전히 암울하다”며 “고용 불안이 만연하고 자신감이 낮은 상태”라고 말했다.   이와 함께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 일하던 외국인 조종사 중에는 격리 조치나 가족·친지들과의 관계 단절을 우려해 본국으로 돌아간 이들도 있다”고 밝혔다.   외국인 조종사 비율이 높은 홍콩 항공사 캐세이퍼시픽의 경우 자회사인 ‘캐세이드래곤’ 폐업과 일부 해외 지사 폐쇄로 조종사 수백명이 퇴사한 바 있다.   캐세이퍼시픽은 운항 스케줄이 없는 승무원들을 호텔에만 머물도록 하는 엄격한 환승 규정을 적용하고 있어 이직을 택하는 조종사가 늘고 있다.   중동과 아프리카 등지를 오가는 한 조종사는 “북미주에서만 항공 승객이 코로나19 이전 수준을 회복한 것 같다”며 “특히 개발도상국 등 다른 지역은 여전히 백신 조달에 어려움을 겪고 있고 항공 여행을 삼가고 있다”고 말했다고 로이터는 전했다. 전세계 조종사 전세계 조종사 실직 조종사 외국인 조종사

2022.01.27. 19:54

철로 추락 경비행기 조종사 극적 구조

 경비행기 조종사 조종사 극적 철로 추락

2022.01.10. 20:19

썸네일

기차와 충돌 3초 전에 가까스로 구출된 비행기 조종사

 비행기 조종사 비행기 조종사

2022.01.10. 17:55

썸네일

조종사 '렛츠고 브랜든' 한마디에 항공사 보이콧 위기

  텍사스주에 본사를 둔 사우스웨스트 항공이 조종사의 기내방송 탓에 보이콧 위기에 처했다.   2일 뉴욕타임스(NYT)에 따르면 사우스웨스트항공사는 지난달 29일 한 항공편의 기내방송에서 '렛츠고 브랜든'(Let's go Brandon)이란 문구가 나온 데 대해 고객들에게 사과하고 자체 조사에 착수했다.   문구 자체에 아무런 문제가 없어 보이는 '렛츠 고 브랜든'이 논란이 된 것은 이 문구의 유래가 조 바이든 대통령에 대한 욕설이기 때문이다.   NYT의 설명에 따르면 '렛츠고 브랜든'은 지난달 초 앨라배마에서 열린 미국 최대 자동차 경주대회인 나스카(NASCAR)에서 탄생했다. 중계를 맡은 NBC의 기자가 우승자를 인터뷰하는 과정에서 관중은 알파벳 네 글자로 된 욕설과 함께 조 바이든의 이름을 연호했다. 그러자 NBC 기자는 관중이 '렛츠고 브랜든'을 외치고 있다고 언급했다.   인터넷에서 이 상황이 화제가 되면서 '렛츠고 브랜든'이라는 문장 자체가 바이든 대통령을 비꼬는 말이 됐다는 것이다. 공화당 소속 정치인들은 대놓고 이 문구를 사용하는 상황이다.    그레그 애벗 텍사스 주지사는 지난달 22일 트위터를 통해 바이든 행정부의 이민정책과 경제 상황 등을 비판하면서 '렛츠고 브랜든'이라는 문구를 말머리에 붙였다. 로자 알렉산더라는 가수는 아예 '렛츠고 브랜든'이라는 제목의 노래를 발표해 빌보드 '핫 100' 차트에 진입하기도 했다.   당연히 민주당 지지자들은 이 문구에 민감한 반응을 보이고 있다. 사우스웨스트 항공에 대한 보이콧을 주장하는 인터넷 이용자들은 조종사의 해고를 요구하고 있다.   사우스웨스트 항공은 "직원들이 자신의 정치적 성향을 업무 중 드러내는 것을 용납하지 않는다"는 입장을 밝혔지만, 조종사에 대한 징계 여부는 공개하지 않았다.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조종사 렛츠고 렛츠고 브랜든 조종사 렛츠고 항공사 보이콧

2021.11.02. 10:48

썸네일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