잇따른 지진 원인 아직 밝혀지지 않아 매년 규모 2.0 이상 지진 10~20회 발생 지난주 조지아 북부 지역에서 작은 지진이 이어진데 이어 지난 10일 밤에도 래니어 호수 남쪽 끝에서 2.3 규모의 지진이 발생했다. 조지아는 지진 활동이 활발하지 않은 곳이어서 최근의 잦은 지진은 주민들에게 혼란을 주고 있다. 지질조사국(USGS)은 이날 래니어 호수 인근 주민 수백 명이 지진 진동을 느꼈다고 밝혔다. 지진으로 인한 피해나 부상은 없었지만, 지진의 원인과 다음 지진이 또 올 것인지 등에 대한 의문이 뒤따랐다. 래니어 호수에서 가까운 뷰포드에서는 지난 7일 두 차례 지진이 발생했었다. 강도는 각각 2.5와 2.1 규모로 주변 지역에서 몇 시간 동안 진동이 느껴졌다. 또 지난 3일에는 북서부 달튼 외곽에서 작은 지진이 발생했다. 캘리포니아주처럼 주요 판의 경계에 있는 지역에 강한 지진이 주로 발생지만, 조지아는 북미판 중앙에 있어서 큰 지진이 발생할 가능성이 낮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조지아에서는 소규모 지진이 흔한 편이다. 앤디 뉴먼 조지아텍 교수(지구물리학)에 따르면 조지아는 일반적으로 매년 규모 2.0 이상의 지진을 10~20회 경험한다. 그러나 최근 여러 차례 이어진 지진의 원인은 아직 밝혀진 바 없다. 마틴 채프먼 버지니아공대 교수는 “래니어 호수는 ‘브레바드 존’이라고 알려진 수억 년 전 애팔래치아 산맥이 형성될 때 활성화됐던 주요 단층계 근처에 있다”고 애틀랜타 저널(AJC)에 설명했다. 단, 이런 고대 단층은 대부분 더이상 활성화되지 않기 때문에 호수 근처에서 발생하는 대부분의 지진은 지도에 표시되지 않은 작은 단층에서 발생할 가능성이 더 높다고 그는 덧붙였다. 달튼 근처에서 발생한 지진은 테네시주 동부 지진대 남쪽 끝에서 시작됐다. 토마스 프랫 USGS 연구원은 “이곳과 조지아 북서쪽 지진이 연관됐을 수 있지만, 해당 지진대에서 발생하는 지진은 일반적으로 훨씬 더 깊은 곳에서 발생한다”고 전했다. 다른 가설은 인공 저수지다. 래니어 호수는 애틀랜타의 주요 수원인데, 일반적으로 저수지가 채워지거나 큰 수위 변동이 발생하면 지진과 같은 현상이 일어날 수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호수를 관리하는 미 육군공병대의 데이터에 의하면 래니어 호수의 수위는 올들어 매우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있다. 그렇다면 지진이 또 발생할까. 뉴먼 교수는 “다음 지진이 어디에서 발생할지 짐작하기 가장 좋은 곳은 바로 같은 위치 근처”라고 답했다. 전문가들은 작은 지진이 더 큰 지진의 전조일 수 있지만, 조지아에서는 가능성이 적다고 말한다. 채프먼 교수는 “지나치게 걱정할 것 없이, 강한 흔들림이 일어날 가능성을 인지하고 대비하라”고 조언했다. 윤지아 기자지진 호수 호수 근처 호수 남쪽 조지아 북서쪽
2024.06.11. 15:20
북조지아에 가뭄과 건조한 날씨가 이어지는 가운데, 바토우 카운티 앨라투나호수 북쪽 해안선 인근에서 산불이 발생했다고 미육군공병대(USACE)가 15일 오전 밝혔다. 불이 난 곳은 레드탑 마운틴 주립공원 호수 건너편에 있는 인기 하이킹 지역인 쿠퍼 브랜치 인근 숲이다. 공병대는 화재 현장 사진을 공개했으나, 화재 규모, 화재 진압 정도 등은 밝히지 않았다. 최근 조지아 서북부 지방은 계속되는 가뭄, 낙엽, 거센 바람 등 산불이 발생하기 이상적인 조건이 갖춰졌다고 전문가들은 입을 모았다. 조지아는 지난 9~10월 비정상적으로 낮은 강수량을 기록했다. 조지아 산림위원회(GFC)에 따르면 최근 몇 주 동안 조지아주에서 최소 5건의 대형 화재(50에이커 이상)가 발생했으며, 이중 가장 심각한 화재는 조지아 북서쪽, 채터누가 남쪽에 위치한 워커 카운티에서 발생, 현재까지 700에이커 이상에 피해를 입혔다. 해당 산불은 지난달 21일에 시작돼 현재 약 99% 진압됐다. USACE는 "앨라투나호수 주변 날씨가 매우 건조한 상태라는 점을 기억하기 바란다"며 방치된 모닥불과 담배꽁초를 경고했다. 윤지아 기자산불조심 조지아 조지아 산림위원회 동안 조지아주 조지아 북서쪽
2023.11.15. 15:47